1. 개요[편집]
암흑칼날 Nightblade | ![]() | |
등급 | ||
세트 | ||
직업 | ||
종류 | ||
![]() | ||
효과 | 전투의 함성: 적 영웅에게 피해를 3 줍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 단검을 가장 피하고 싶은 부분은 당신의 얼굴일 겁니다. 그러니 도적이 그곳을 노릴 겁니다. (Your face is the place you'd probably least like a dagger, and where rogues are most likely to deliver them.) | |
야생전 잠금 해제 |
소환: 놈들은 뭐에 당했는지도 모를 거예요.(They'll never know what hit them.)
공격: 내가 상대하죠.(This one's mine.)
2. 평가[편집]
암흑칼날은 5마나에 4/4라는 능력치 자체는 비용 대비 다소 평범하거나 낮은 편으로 평가받는다. 이 카드의 핵심적인 가치는 전투의 함성으로 즉시 상대 영웅의 생명력에 3의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이 효과는 특히 공격적인(어그로) 덱에서 게임의 마지막 결정타를 날리거나, 중반에 추가적인 명치 압박을 가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발 하수인을 무시하고 직접 영웅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하스스톤 초창기에는 4의 공격력이 당시 사제의 주요 제압기였던 어둠의 권능: 고통(공격력 3 이하 파괴)과 어둠의 권능: 죽음(공격력 5 이상 파괴)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정 상황에서 이점을 가지기도 했다.
그러나 필드에 즉각적인 영향(하수인 정리 등)을 주지 못하고, 본체의 능력치가 비용에 비해 뛰어나지 않아 필드 싸움에서 불리한 경우가 많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흡혈충(4마나 3/3, 전투의 함성: 적 영웅에게 피해를 3 주고, 내 영웅의 생명력을 3 회복)와 같이 더 낮은 비용으로 유사한 피해량에 추가적인 생명력 회복 효과까지 제공하는 카드가 등장하면서, 암흑칼날은 종종 하위 호환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암흑칼날은 경쟁적인 덱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았으나, 카드 풀이 제한적인 투기장에서는 나쁘지 않은 선택지로 여겨졌으며, 특정 어그로 덱이나 매우 특수한 상황에서 깜짝 카드로 기용될 여지는 있었다.
하스스톤 초창기에는 4의 공격력이 당시 사제의 주요 제압기였던 어둠의 권능: 고통(공격력 3 이하 파괴)과 어둠의 권능: 죽음(공격력 5 이상 파괴)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정 상황에서 이점을 가지기도 했다.
그러나 필드에 즉각적인 영향(하수인 정리 등)을 주지 못하고, 본체의 능력치가 비용에 비해 뛰어나지 않아 필드 싸움에서 불리한 경우가 많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흡혈충(4마나 3/3, 전투의 함성: 적 영웅에게 피해를 3 주고, 내 영웅의 생명력을 3 회복)와 같이 더 낮은 비용으로 유사한 피해량에 추가적인 생명력 회복 효과까지 제공하는 카드가 등장하면서, 암흑칼날은 종종 하위 호환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암흑칼날은 경쟁적인 덱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았으나, 카드 풀이 제한적인 투기장에서는 나쁘지 않은 선택지로 여겨졌으며, 특정 어그로 덱이나 매우 특수한 상황에서 깜짝 카드로 기용될 여지는 있었다.
3. 역사[편집]
- 게임 초창기, 카드 풀이 넓지 않았던 시절에는 일부 공격적인 덱에서 명치 피해를 누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간혹 사용되었다. 5마나로 즉시 3의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이 주요 고려 사항이었다.
- 까마귀의 해
- 마녀숲에서 일부 홀수 번 마법사(Odd Burn Mage) 덱에서 암흑칼날이 사용된 기록이 있다. 이 덱은 홀수 비용의 카드들로 구성되어 영웅 능력 강화 효과를 받으며, 암흑칼날의 5마나 비용과 즉발적인 영웅 대상 피해가 덱의 전략과 부합했던 것으로 보인다.
4. 기타[편집]
- 암흑칼날(Nightblade)는 워크래프트 세계관에서 특정한 유명 인물이나 종족을 직접적으로 지칭하기보다는, 어둠 속에서 활동하는 암살자, 첩자, 또는 그림자 마법을 사용하는 존재를 일반적으로 일컫는 용어에 가깝다. 이들은 종종 민첩하고 은밀하게 움직이며, 단검이나 어둠의 힘을 사용하여 적을 공격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하스스톤 카드의 플레이버 텍스트는 이러한 이미지를 도적 직업과 연결 짓고 있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카드의 직접적인 영웅 대상 피해 효과를 도적 직업의 공격적인 성향과 단검을 사용하는 이미지에 비유하여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내용이다.
5. 둘러보기[편집]
중립 고전 카드 / 모든 직업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