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괴수 The Beast | ![]() | |
등급 | ||
세트 | ||
직업 | ||
종류 | ||
![]() | ||
효과 | 죽음의 메아리: 상대편에게 3/3 핍 퀵위트를 소환해 줍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 "검은바위 산에 살고, 노움을 먹습니다. 더 할 말이 없네요. (He lives in Blackrock Mountain. He eats Gnomes. That's pretty much it.) | |
제작 또는 카드 팩 |
2. 평가[편집]
괴수는 하스스톤 역사상 대표적인 함정 카드 또는 꽝 카드로 평가받는다. 6마나에 9/7이라는 압도적인 능력치는 비용 대비 매우 뛰어나지만, 죽음의 메아리로 상대에게 3/3 하수인을 남겨준다는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실질적인 가치는 크게 떨어진다. 만약 상대가 괴수를 쉽게 제압할 수 있다면, 이 카드는 6마나를 소모하여 6/4 능력치의 하수인을 낸 것과 같은 결과를 낳아 막대한 템포 손실을 유발한다. 출시 초기에는 7 이상의 공격력을 가진 하수인을 즉시 파괴하는 나 이런 사냥꾼이야가 널리 쓰였기 때문에, 괴수는 필드에 나오자마자 제압당하는 경우가 많아 더욱 평가가 좋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커뮤니티에서는 괴수를 뽑으면 실망하거나 즉시 마력 추출 대상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이 카드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죽음의 메아리 효과를 무효화하는 전략이 필수적이었다. 사제의 침묵이나 정화, 또는 중립 카드인 주문파괴자나 무쇠부리 올빼미를 사용하여 죽음의 메아리를 지우면 순수하게 9/7이라는 강력한 하수인만 남길 수 있었다. 또한, 타락자 느조스를 활용하는 죽음의 메아리 덱에서 부활시켜 필드를 강화하는 용도로 실험되기도 했으나, 이 역시 상대에게 3/3 하수인을 계속해서 제공하는 부담 때문에 주류 전략으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결국 괴수는 높은 능력치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단점과 불안정성 때문에 경쟁적인 덱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하스스톤 초보자들이 능력치만 보고 선택하기 쉬운 대표적인 함정 카드로 남게 되었다.
이 카드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죽음의 메아리 효과를 무효화하는 전략이 필수적이었다. 사제의 침묵이나 정화, 또는 중립 카드인 주문파괴자나 무쇠부리 올빼미를 사용하여 죽음의 메아리를 지우면 순수하게 9/7이라는 강력한 하수인만 남길 수 있었다. 또한, 타락자 느조스를 활용하는 죽음의 메아리 덱에서 부활시켜 필드를 강화하는 용도로 실험되기도 했으나, 이 역시 상대에게 3/3 하수인을 계속해서 제공하는 부담 때문에 주류 전략으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결국 괴수는 높은 능력치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단점과 불안정성 때문에 경쟁적인 덱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하스스톤 초보자들이 능력치만 보고 선택하기 쉬운 대표적인 함정 카드로 남게 되었다.
3. 역사[편집]
- 괴수는 초기 버전에서 공격력 10, 생명력 6의 능력치를 가졌으나, 이후 현재와 같은 9/7로 변경되었다.
- 출시 이후 괴수는 높은 능력치에 비해 큰 페널티 때문에 경쟁적인 덱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일부 사냥꾼 덱에서 야수 시너지를 보고 채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더 안정적이고 강력한 사바나 사자에 밀려 자리를 잡지 못했다.
- 크라켄의 해
- 고대 신의 속삭임 확장팩 출시 이후, 느조스를 활용하는 일부 죽음의 메아리 사제 덱에서 부활시킬 고비용 하수인으로 실험적으로 채용되기도 했다.
- 그리핀의 해
- 스톰윈드 패치 21.4를 통해, 괴수의 죽음의 메아리로 소환되던 토큰의 이름이 핀클 아인혼(Finkle Einhorn)에서 핍 퀵위트(Pip Quickwit)로 변경되었다. 이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이루어진 변경 사항을 반영한 것으로, 논란의 소지가 있는 과거의 대중문화 패러디를 제거하려는 블리자드의 정책에 따른 조치였다.
4. 기타[편집]
- 괴수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던전 검은바위 첨탑 상층에 등장하는 우두머리 심장부 사냥개다. 그의 가장 큰 특징은 죽음의 메아리 효과와 관련이 있는데, 게임 내에서 야수를 처치하고 무두질을 하면 뱃속에서 노움 NPC인 핀클 아인혼(Finkle Einhorn)이 튀어나온다. 그는 야수에게 잡아먹힌 채 뱃속에서 몇 달을 보냈다고 말하며, 플레이어에게 퀘스트를 제공한다. 하스스톤의 죽음의 메아리 효과는 이 설정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 원래 핀클 아인혼이라는 이름은 1994년 영화 에이스 벤츄라에 등장하는 캐릭터 레이 핀클과 로이스 아인혼을 합친 패러디였으나, 해당 영화의 내용이 트랜스젠더 혐오적이라는 비판을 받으면서 2021년 블리자드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와 하스스톤에서 모두 이 이름을 핍 퀵위트으로 변경했다.
- 플레이어 텍스트는 괴수의 배경 이야기를 매우 직설적이고 유머러스하게 요약한 내용이다. 검은바위 산에 서식하며, 노움(핀클 아인혼)을 잡아먹는다는 핵심 설정을 간결하게 전달한다.
5. 관련 문서[편집]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