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굶주린 게 Hungry Crab | ![]() | |
등급 | ||
세트 | ||
직업 | ||
종류 | ||
![]() | ||
효과 | 전투의 함성: 멀록을 처치하고 +2/+2를 얻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 멀록은 저녁거리입니다. (Murloc. It's what's for dinner.) | |
제작 또는 카드 팩 |
2. 평가[편집]
굶주린 게는 특정 종족인 멀록을 카운터하기 위해 설계된 가장 대표적인 테크 카드다. 이 카드의 가치는 극단적으로 상황에 따라 변한다. 상대 필드에 멀록이 없을 경우, 1마나 1/2라는 매우 비효율적인 하수인에 불과하다. 하지만 전투의 함성 효과를 발동시키는 데 성공하면, 1마나로 상대 하수인 하나를 제거하고 3/4 하수인을 필드에 남기는, 게임의 판도를 뒤집을 수 있는 엄청난 템포 이득을 가져온다.
이러한 높은 잠재력 때문에, 굶주린 게는 멀록 덱이 메타의 중심으로 떠오를 때마다 그 가치가 급상승했다. 심지어 자신의 멀록을 먹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큰 손해이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야수 종족값을 가지고 있어 사냥꾼 덱에서는 사냥개조련사나 살상 명령과 같은 카드와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소소한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굶주린 게는 덱에 넣는 것 자체가 메타에 대한 예측이자 도박인 카드다. 멀록 덱이 유행하지 않을 때는 쓸모가 거의 없지만, 멀록 덱이 강세를 보일 때는 그 어떤 카드보다 강력한 효율을 보여주는 극단적인 테크 카드다.
이러한 높은 잠재력 때문에, 굶주린 게는 멀록 덱이 메타의 중심으로 떠오를 때마다 그 가치가 급상승했다. 심지어 자신의 멀록을 먹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큰 손해이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야수 종족값을 가지고 있어 사냥꾼 덱에서는 사냥개조련사나 살상 명령과 같은 카드와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소소한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굶주린 게는 덱에 넣는 것 자체가 메타에 대한 예측이자 도박인 카드다. 멀록 덱이 유행하지 않을 때는 쓸모가 거의 없지만, 멀록 덱이 강세를 보일 때는 그 어떤 카드보다 강력한 효율을 보여주는 극단적인 테크 카드다.
3. 역사[편집]
- 하스스톤 베타 시절, 멀록 흑마법사 덱이 유행하자 스트리머 Trump가 대회에서 마법사 덱에 이 카드를 채용하여 상대 멀록을 잡아먹는 플레이를 선보인 것은 매우 유명한 일화다. 이는 테크 카드의 중요성을 보여준 상징적인 순간이었다.
- 매머드의 해
- 운고로를 향한 여정에서 온순한 메가사우루스의 등장으로 멀록 성기사가 1티어 덱으로 군림하자, 굶주린 게는 이 덱을 카운터하기 위한 필수 카드로 다시 떠올랐다.
- 용의 해
- 어둠의 반격에서 마법의 뒤안길 낚시꾼을 중심으로 한 멀록 주술사가 강력한 모습을 보이자, 굶주린 게는 또다시 메타의 주요 테크 카드로 주목받았다. 심지어 멀록 주술사 덱이 미러전을 대비해 직접 이 카드를 채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4. 기타[편집]
- 굶주린 게의 카드 일러스트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확장팩 대격변에서 등장한 가시 바위 게(Spiny Rock Crab)와 유사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워크래프트 세계관에 굶주린 게라는 특정 네임드 몬스터는 없지만, 멀록의 천적인 게라는 컨셉은 카드의 효과와 완벽하게 일치한다. 이 카드 아트는 본래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TCG의 사냥꾼 야수 집게(Clamps)의 일러스트로 사용되었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1992년 미국에서 진행된 유명한 소고기 소비 촉진 광고 캠페인 "Beef. It's What's for Dinner."를 패러디한 것이다. 하스스톤 특유의 재치 있는 유머가 돋보이는 부분이다.
5. 둘러보기[편집]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