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정예 타우렌 족장 Elite Tauren Chieftain | ![]() | |
등급 | ||
세트 | ||
직업 | ||
종류 | ||
![]() | ||
효과 | 전투의 함성: 두 플레이어 모두 파워 코드 카드를 손으로 가져오고 로큰롤에 흠뻑 취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 현재 드러머를 구하는 중입니다. 풋내기 기술자, 센진 방패대가, 불의 군주 라그나로스가 후보라네요. (He's looking for a drummer. The current candidates are: Novice Engineer, Sen'jin Shieldmasta', and Ragnaros the Firelord.) | |
블리즈컨 2013 참가 보상 |
중립 고전 전설 카드.
2. 파워 코드[편집]
2.1. 도적은 뒤를 치지...[편집]
4마나로 4의 피해를 주고 카드 1장을 뽑는 효과로, 세 카드 중 가장 강력하고 효율적인 주문으로 평가받는다.
2.2. 호드의 힘[편집]
2.3. 나는야 멀록[편집]
3. 평가[편집]
정예 타우렌 족장은 경쟁적인 성능보다는 순수한 재미와 예측 불가능한 상황을 연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 카드다. 5마나 5/5라는 능력치 자체는 비용 대비 표준적이지만, 이 카드의 진정한 가치와 문제점은 모두 전투의 함성 효과에 있다.
가장 큰 단점은 효과가 대칭적이라는 점이다. 상대에게도 잠재적으로 강력한 카드를 제공하기 때문에 자신만의 이점을 쌓아야 하는 경쟁적인 플레이에서는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생성되는 3종류의 파워 코드 카드의 가치 편차가 매우 극심하여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
이러한 극심한 무작위성과 상대에게도 이점을 줄 수 있다는 위험 부담 때문에 정예 타우렌 족장은 대부분의 메타에서 예능 또는 밈(meme) 카드로 취급받으며, 실전적인 덱에서는 거의 채용되지 않는다.
가장 큰 단점은 효과가 대칭적이라는 점이다. 상대에게도 잠재적으로 강력한 카드를 제공하기 때문에 자신만의 이점을 쌓아야 하는 경쟁적인 플레이에서는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생성되는 3종류의 파워 코드 카드의 가치 편차가 매우 극심하여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
이러한 극심한 무작위성과 상대에게도 이점을 줄 수 있다는 위험 부담 때문에 정예 타우렌 족장은 대부분의 메타에서 예능 또는 밈(meme) 카드로 취급받으며, 실전적인 덱에서는 거의 채용되지 않는다.
4. 역사[편집]
- 정예 타우렌 족장은 2013년 블리즈컨 한정 프로모션 카드로 처음 공개되었다. 블리자드는 한정판 카드가 게임의 공정성을 해치지 않도록 의도적으로 경쟁적인 성능보다는 재미에 초점을 맞춰 설계했다. 이 때문에 초기 커뮤니티에서도 카드의 화려한 등장 애니메이션과 독특한 콘셉트는 호평했지만, 실전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 출시 이후 하스스톤의 모든 메타를 통틀어 정예 타우렌 족장이 주류 덱의 핵심 카드로 활약한 적은 없다. 효과의 무작위성과 대칭성이라는 근본적인 문제 때문에 일관성을 중시하는 경쟁적인 덱에 포함되기 어려웠다. 그나마 주로 무작위성을 즐기는 란두인(Randuin)과 같은 예능 덱에서 채용되었다. 유일하게 전략적으로 고려된 사례는 상대의 카드를 강제로 뽑게 하는 효과를 활용한 탈진 도적(Mill Rogue)이었으나, 이마저도 더 효율적인 카드들에 밀려 핵심 카드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5. 기타[편집]
- 원본 카드의 인기와 상징성 덕분에, 이후 광기의 다크문 축제에서 메탈의 신 정예 타우렌 족장, 전설노래자랑에서 밴드 매니저 정예 타우렌 족장와 정예 타우렌 용사 등 여러 후속 카드가 출시되었다.
- 정예 타우렌 족장은 블리자드 직원들로 구성된 실제 밴드에 기반을 두고 있다. 밴드 이름은 워크래프트 게임의 레벨 상한선에 맞춰 L60ETC, L70ETC 등으로 계속 바뀌는 전통이 있었다. 보컬은 수석 아티스트인 샘와이즈 디디에(Samwise Didier)가 맡았으며, 그는 하스스톤 카드의 일러스트도 직접 그렸다. 전투의 함성으로 생성되는 파워 코드 주문들의 이름("Power of the Horde", "I Am Murloc", "Rogues Do It...")은 모두 이 밴드의 실제 곡명에서 따온 것이다. 이 밴드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게임 내에서도 다크문 축제, 샤트라스, 검은바위 나락 등에서 주기적으로 공연하는 NPC로 등장한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하스스톤 오리지널 시절에 널리 사용되던 상징적인 카드들을 언급하는 내용으로, 게임 초창기의 향수를 자극하는 유머러스한 텍스트다.
6. 관련 문서[편집]
중립 고전 카드 / 모든 직업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