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쟁
분류
아시아의 발현악기
중화권의 현악기
동아시아의 악기
지터류 악기
현악기
[ 펼치기 · 접기 ]
찰현악기
아시아의 찰현악기
동아시아
호금
·
해금
·
저음 해금
·
아쟁
·
소해금
·
얼후
(
파생 악기
)·
쓰후
·
코큐
·
마두금
·
대마두금
중앙아시아
코비즈
·
비잔치
·
기작
·
이킬
동남아시아
트로
·
단 니
·
소 두앙
서·남아시아
레밥
·
카마이차
·
카만체
·
사랑기
유럽 / 기타 지역의 찰현악기
바이올린류
바이올린
·
비올라
·
첼로
·
콘트라베이스
·
옥토베이스
비올류
비올라 다 감바
·
파르드쉬 드 비올
·
바리톤
·
비올라 다모레
·
비올로네
이외
요우힉코
·
니켈하르파
·
구슬레
·
아르페지오네
·
피들
·
일렉트릭 바이올린
발현악기
아시아의 발현악기
동아시아
거문고
·
가야금
·
대쟁
·
철현금
·
한아고
·
비파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 ·
월금
·
공후
·
고금
·
슬
·
쟁
·
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고토
·
이치겐킨
·
야특
·
샨즈
·
옥류금
중앙아시아
돔브라
·
알타이 야특
·
텁쇼르
·
제티겐
·
더슈플루르
동남아시아
단 짜인
·
단 보우
·
미 갸웅
·
사산도
서·남아시아
라바브
·
시타르
·
우드
·
사로드
·
세니 레밥
유럽 / 기타 지역의 발현악기
지터류
지터
·
칸텔레
류트류
사즈
·
부주키
·
아이리시 부주키
·
류트
·
테오르보
·
만돌린
·
발랄라이카
·
반도라
·
차랑고
·
밴조
·
시턴
·
오르파리온
·
반두라
·
코브자
기타류
기타
(
클래식
/
어쿠스틱
/
일렉트릭
) ·
바리톤
·
우쿨렐레
하프류
리라
·
하프
·
코라
·
라이어
이외
티체스트 베이스
·
하프시코드
·
베이스 기타
·
일렉트릭 베이스
타현악기
양금류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피아노류
피아노
(
그랜드
/
업라이트
) ·
클라비코드
이외
베림바우
·
하르페지
·
벨렘바오투얀
기타분류
휠 피들류
드렐라이어
·
비올라 오르가니스타
틀:타악기
·
틀:관악기
·
틀:현악기
쟁 (箏, zhēng)
1
. 개요
2
. 구조
3
. 역사
4
. 관련 악기
5
. 연주 동영상
1.
개요
[편집]
중화권
의 전통악기. '
고쟁
(古箏, gǔzhēng)'이라고도 불린다.
2.
구조
[편집]
15-25줄의 현이 달려 있는데, 21줄이 일반적이다. 원래는 비단으로 만든 현을 사용했으나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주로 금속제 현을 사용하게 되었다.
3.
역사
[편집]
진(秦)나라 때부터 사용된 오래된 악기이며, 조금 더 고형의 악기들인
금
(琴),
슬
(瑟) 등의 영향을 받아서 발전되었다는 설이 가장 일반적인 설명이고 인도, 서아시아, 메소포타미아 등지에서 사용되던 악기가 중국에 도입된 후 독자적으로 중국화한 것이라는 설 등이 있다고 한다.
4.
관련 악기
[편집]
한국의
가야금
, 베트남의
단 짜인
(đàn tranh, 彈箏), 일본의
고토
(琴 또는 箏), 몽골의
야특
(
몽골어
: ᠶᠠᠲᠤᠭᠠ , Яатга) 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악기라고 한다.
생김새는 비슷하고 음도 어느 정도 연관성은 있지만, 실제로 이 악기들을 같이 놓고 들어 보면 각자의 특색을 느낄 수 있는 편이다.
고쟁, 가야금, 고토의 합주
5.
연주 동영상
[편집]
고쟁으로 연주한 ‘모리화’
중국과 한국은 같은 음계를 쓰기 때문에 고쟁으로
아리랑
을 연주할 수 있다.
‘천녀유혼(倩女幽魂)' 연주자: 왕웨이
고쟁협주곡으로 유명한 여시(如是)
이 문서는
2025-07-21 02:43:55
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Liberty
|
the s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