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中華人民共和國 People's Republic of China | |||
국기 | 국장 | ||
표어 | |||
为人民服务。 인민을 위해 복무한다. | |||
위치 | |||
기본 정보 | |||
수도 | 베이징시(北京市) | ||
최대도시 | 상하이시(上海市) | ||
하위 행정구역 | 4직할시 23성 5자치구 2특별행정구(명목상) 4직할시 22성 5자치구 2특별행정구(사실상) | ||
면적 | 9,640,821㎢(사실상) | ||
상징 | |||
국기 | 오성홍기 | ||
국가 | 의용군 진행곡 | ||
국조 | 두루미, 금계 | ||
인문 환경 | |||
인구 | 1,448,471,404명(사실상)[1] | ||
인구 밀도 | 149.3명/㎢(사실상)[2] | ||
공용어 | |||
정치 | |||
국가원수 | 국가 주석 | ||
국가 주석 | |||
국무원 총리 | 리창 | ||
여당 | |||
경제 | |||
경제 체제 | 사회주의적 시장경제(명목상) 국가자본주의적 경제(사실상) | ||
통화 | |||
GDP(명목상) | |||
1인당 GDP (명목상) | |||
기타 정보 | |||
국가 코드 | 156, CN, CHN, | ||
국제 전화 코드 | +86 | ||
시간대 | UTC+8 (중국 표준시) |
1. 개요[편집]
2. 역사[편집]
3. 정치[편집]
4. 치안[편집]
5. 지리[편집]
5.1. 자연지리[편집]
5.1.1. 환경오염[편집]
환경오염이 주변국들에 비해 심한 편이다. 심지어 중국에서 배출된 미세먼지가 다른 나라에게 피해를 입히는 경우도 있다. 중국 내부에서도 이걸 알기에 끝임없이 환경예산을 투입하여 개선을 시도중이지만 너무 나라가 큰데다가 부정부패도 심해 이게 잘 되지 않고 있다. 여담으로,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인공강우기술을 가진 이유도 바로 이 환경오염 때문이다. 미세먼지가 너무 심해서 이걸 가라앉히려면 강우만한 것이 없기 때문.
5.2. 행정구역[편집]
6. 인문환경[편집]
6.1. 인구[편집]
중국의 인구는 2021년 기준으로 약 1,410,000,000명(14억 1,000만 명)으로 지구에 위치한 나라들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다만 현재는 저출산 상황임에도 계획생육정책이라는 산아정책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고 있다. 현재 중국이 인정하는 최대 산아가능인 수는 3명이지만, 이미 중국 청년은 생활고로 인해 비혼주의가 강하게 퍼져있어 여전히 출산율은 오르지 않고 있다.
6.2. 언어[편집]
대체로 중국어가 쓰인다. 다만 중국어는 단일 언어라기보다는 한족이 쓰는 여러 언어의 방언연속체에 가깝기 때문에 단일 언어라고 보기는 힘들다. 그리고 중국에서 지정한 56개 민족은 각자의 언어를 쓰며, 예외적으로 만주족은 중국어를 사용한다.
7. 국력[편집]
8. 여담[편집]
- 중국은 공식적으로 국화가 없는 나라이다. 그러나 모란 혹은 매화를 중국의 사실상의 국화로 취급중이며, 매화는 이미 중화민국이 가져간 상태이기 때문에 모란을 더 비중있게 사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