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펼치기 · 접기 ]
찰현악기
아시아의 찰현악기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유럽 / 기타 지역의 찰현악기
바이올린류
비올류
이외
발현​악기
아시아의 발현악기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유럽 / 기타 지역의 발현악기
지터류
류트류
기타류
하프류
이외
타현​악기
양금류
피아노류
이외
기타분류
휠 피들류
단 보우 협주곡 "Hoi Tuong”(회상)

1. 개요2. 상세3. 연주법

1. 개요[편집]

베트남의 전통 악기. '단(Đàn, 彈)'은 '현악기', '보우(Bầu, 匏)'는 ''을 뜻한다.

2. 상세[편집]

연주에 사용되는 줄이 하나인 독특한 악기로 영어로는 모노코드(Monochord)라고 부른다.

응우옌 왕조의 역사서인 《대남식록》에 따르면 1770년에 완성됐다고 전해지지만, 학자들은 그보다 약 1천 년 이상 오래됐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베트남 속담에 "단 보우 소리는 자신밖에 못 듣는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전통 단 보우는 소리가 작고 고요하다. 오늘날에는 떠릉과 함께 베트남을 상징하는 악기로 자리매김했다.

중국 남부의 베트남계 민족인 징족(京族)도 사용하며 중국에선 독현금(独弦琴)이라고 불린다.

3. 연주법[편집]

단 보우는 오른손에 작은 피크(pick)를 들고 왼손에는 물소 뿔로 만든 특이한 음 조절대(can dan)로 음을 만들어 연주한다. 줄을 튕기면 음 조절대에 연결된 공명통(박)을 통해 소리가 나온다. 원래는 굵은 대나무 통으로 몸체를 만들고 그 위에 실크 현을 달아 연주했다. 오늘날 단 보우는 개량화를 거치면서 소리를 더 크게 하기 위해 실크에서 쇠줄로 바뀌었고, 왼손의 음 조절대도 대나무보다 더 유연성이 있는 물소 뿔을 쓰기 시작했다. 또한 피크를 가로로 오가면서 터치하는 하모닉스(harmonics) 연주법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발전을 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