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파일:Semi_protect.svg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파일:독도 깃발 투명.svg
독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울릉읍
도동리, 독도리, 사동리, 저동리
북면
나리, 천부리, 현포리
서면
남서리, 남양리, 태하리


[ 펼치기 · 접기 ]
*: 제도나 열도, 섬의 일부만 점유하거나 통제하고 있는 경우
  
1: 범주 내에서 면적이 가장 큰 섬이나 제도
제주도1 · 거제도 · 진도 · 강화도 · 남해도 · 김포도 · 영종도 · 안면도 · 완도 · 울릉도 · 돌산도 · 거금도 · 창선도 · 자은도 · 압해도 · 교동도 · 고금도 · 임자도 · 백령도 · 용호도 · 비금도 · 도초도 · 석모도 · 청산도 · 보길도 · 암태도 · 신지도 · 금호도 · 나로도 · 장산도 · 노화도 · 영흥도 · 가덕도 · 덕적도 · 하의도 · 흑산도 · 한산도 · 욕지도 · 독도 · 백마도 · 선유도 · 밤섬 · 여의도 · 노들섬 · 서래섬 · 당정섬 · 남이섬 · 뱀섬 · 영도 · 붕어섬 · 묘도· 육도 · 금구도 · 대부도 · 제부도 · 풍도 · 국화도 · 격렬비열도 · 저도 · 오륙도 · 조약도 · 생일도 · 여서도 · 소록도 · 사량도 · 소매물도 · 좌사리제도 · 칠천도 · 오동도 · 지심도 · 외도 · 망산도 · 을숙도 · 추자도 · 차귀도 · 비양도 · 범섬 · 문섬 · 섶섬 · 우도 · 고군산군도 · 어청도 · 십이동파도 · 금란도 · 대청도 · 가의도 · 실미도 · 팔미도 · 운염도 · 안마 군도 · 굴업도 · 자월도 · 신시모도 · 관매도 · 여자도 · 해금강 · 우도(창원) · 대저도 · 눌차도 · 둔치도 · 고파도 · 외연도 · 우무도 · 원산도 · 유부도 · 녹도 · 삽시도 · 덕도 · 동백섬 · 맥도 · 명지도 · 중사도 · 진우도 · 다려도 · 가파도 · 마라도 · 사수도 · 토끼섬 · 형제섬 ·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랑 · 물치도 · 볼음도 · 증도 · 관매도 · 거문도 · 까막섬 · 가우도 · 가거도 · 고도 · 금오도 · 노력도 · 눌옥도 · 도초도 · 모황도 · 삼학도 · 소안도 · 영산도 · 우이도 · 지죽도 · 탄도 · 홍도 · 금란도 · 무녀도 · 위도 · 빙도 · 문갑도 · 미법도 · 신시도 · 시루섬 · 서검도 · 사렴도 · 사승봉도 · 선갑도 · 선재도 · 세어도 · 소무의도 · 소청도 · 수수떼기 · 승봉도 · 아암도 · 연평도 · 이작도 · 잠진도 · 장봉도 · 조름섬 · 주문도 · 해녀도 · 하의도 · 하태도 · 우도(서해 5도) · 장고도 · 고구마섬 · 고하도 · 두미도 · 추봉도 · 나치도 · 방축도
독도
獨島
Dokdo
파일:독도 깃발.svg
파일:독도 지도.svg
지도
[ 다른 문자 표기 - 펼치기 · 접기 ]
명칭
한글
로마자
한자
일본어
한국 측
독도
Dokdo
獨島
独島(トクト)
일본 측
타케시마[1]
Takeshima
竹島
竹島(たけしま)[2]
기타[3]
리앙쿠르 암초[4]
Liancourt
- [5]
リアンクール
소속 행정구역
도로명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동도), 독도안용복길(서도)
위치
북위 37°14′ | 동경 131°52′
면적
[높이 및 둘레]
총면적 187,554㎡
동도 73,297㎡ [높이: 98.6m, 둘레 2.8km]
서도 88,740㎡ [높이: 168.5m, 둘레 2.6km]
부속 도서(바위, 암초) 25,517㎡
지질학적 형성
신생대 네오기 플라이오세 잔클레절[6]
쾨펜의 기후 구분
온난 습윤 기후(Cfa)[7]
연 평균 기온
약 13℃
연 평균 강수량
1,000mm-1,800mm 내외
인구
40여 명[8]
관할 경찰
경상북도경찰청 독도경비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외교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한국해양과학기술원)
라이브영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KBS)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독도종합정보시스템)
1. 개요2. 지리3. 기후4. 인문 환경5. 특산물6. 영유권 논쟁
6.1. 경찰과 군대의 파견
7. 여담

1. 개요[편집]

동해에 있으며 울릉도와 오키 제도 사이에 있는 섬. 대한민국과 일본의 영토분쟁 지역으로, 국제법상으로는 한국의 실효지배상태이다. 국제해양법상 암초(rocks)로 구분된다.

2. 지리[편집]

독도는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87.4km만큼 떨어져 있고, 오키 제도에서 서북쪽으로 157km만큼 떨어져 있다. 울릉도에서는 맑은 날에 육안으로 독도를 볼 수 있지만 오키 제도에서는 맑은 날에도 육안으로 독도를 볼 수 없다.

3. 기후[편집]

독도의 기온은 연 평균 약 13℃이다. 독도의 강수량은 1,000mm~1,800mm 내외이다.

4. 인문 환경[편집]

독도의 인구는 약 40여 명이다. 독도의 인구가 적은 이유는 독도의 면적이 좁고, 지형이 완만하지 않아 주택 건설이 어렵기 때문이다.

5. 특산물[편집]

독도의 대표적인 특산물은 독도새우이다.

6. 영유권 논쟁[편집]

현재 독도는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 중이며 명백히 한국의 영토이다. 그러나 일본은 독도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고, 일본은 독도의 역사를 왜곡하며 교과서에 이를 반영하기도 한다.[9] 이는 독도가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곳에 있기 때문인데, 그래서 독도에 있는 수산물 등을 쉽게 포획하려고 하는 것 같다. 한편, 북한의 경우 한반도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고 그 안에 독도도 포함돼있다. 현재 독도경비대가 독도를 지키고 있다.

일본 측의 독도 관련 입장은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6.1. 경찰과 군대의 파견[편집]

독도 자체는 대한민국 헌법상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대한민국 헌법 상에서는 분쟁지역이라고 할 수 없다. 또한 우리나라의 영토임을 분명히 하기 위하고, 그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치안을 위해 군대가 아닌 경찰 독도 경비대가 파견되었다.

7. 여담[편집]

2000년에 대한민국에서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의 제정일인 10월 25일이 독도의 날로 제정되었다. 이후 일본에서는 2005년에 3월 16일이 독도가 일본 제국 시마네 현으로 편입된 것을 기념하여 2월 25일을 타케시마의 날로 제정되었다.
[1] 과거 1890년대 후반에는 울릉도를 타케시마라 부르고 독도는 마츠시마라고 불렸다.[2] 죽도, 이른바 대나무 섬. 그러나 실제로는 독도에 대나무는 없다. 竹은 일본에서 등급이나 순서를 나타낼 때 쓰는 송죽매(松竹梅)에서 따온 것이다. 당연히 松島(울릉도를 가리킴)도 있는데 한 때는 松島와 竹島가 의미하는 섬이 서로 반대였다.[3] 이 명칭의 뒤나 앞에 각 언어별로 '암초'(한국어), '岩礁'(일본어), 'Rocks'(영어), 'Rochers'(프랑스어) 등의 단어가 붙는다.[4] 프랑스포경선 리앙쿠르 호에서 따온 이름이다.[5] 중국어 표기: 利扬库尔(간체자), 利揚庫爾(정체자)[6] 약 500만 년 전(하부 현무암) - 250만 년 전(동도 조면암 관입)[7] 먼바다에서는 서안 해양성 기후가 일부 나타난다.[8] 민간인 최종덕(1925~1987)이 1965년 3월부터 처음으로 거주한 이래 현재 김성도 부부 및 독도경비대원 35명, 등대 관리원 2명, 울릉군청 독도관리 사무소 직원 2명 등이 거주한다. (2017년 9월 기준) 2018년 10월 21일 김성도가 사망하면서 법적 주민으로는 김신열이 유일하다. #[9] 일본이 주장하는 근거는 한국이 주장하는 근거에 비해 허점이 많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