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에스토니아 공화국
Eesti Vabariik
Republic of Estonia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장.svg
상징
역사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 최대도시
면적
45,227km²
내수면 비율
4.56%
접경국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인구
1,344,232명(2025년) | 세계 157위
민족
에스토니아인 68.7%, 러시아인 21.5%, 우크라이나인 5.0%, 기타 5.7%
인구밀도
31명/㎢(2024년)[1]
출산율
1.4명(2024년)[2]
평균 수명
79.3세
공용 언어
공용 문자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무종교 55%, 동방 정교회 17%, 루터교 10%, 기타 3%, 무응답 15%
군대
하위 행정 구역
[ 펼치기 · 접기 ]
15개
지구
239개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민주주의 지수
8.13점, 완전한 민주주의 (2024년)
(167개국 중 21위)[3][4]
대통령
(국가원수)
총리[5]
(정부수반)
크리스텐 미할
(Kristen Michal)
위리 라타스
(Jüri Ratas)
경제
[ 펼치기 · 접기 ]
전체 GDP
$434억 8,600만 (2024년 4월)
1인당 GDP
$31,854 (2024년 4월)
전체 GDP
$615억 9,800만 (2024년 4월)
1인당 GDP
$45,122 (2024년 4월)
$810억 / 세계 87위(2019년)
신용 등급
Moody's A1
S&P A+
Fitch AA-
통화
유로(€)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시간대
UTC +2, UTC +3
도량형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 수교 현황
대한민국 1991년 10월 17일[6]
북한 미수교[7][8]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
주한 대사관
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16
위워크 서울스퀘어 22층
.ee
국가 코드
233, EST, EE
국제 전화 코드
+372
공공 데이터
여행 경보
무경보
전 지역

1. 개요

1. 개요[편집]

에스토니아 공화국(Eesti Vabariik), 통칭 에스토니아(Eesti)는 북유럽발트 3국 중 최북단에 위치한 공화국이다.
[1] 출처[2] 출처[3] 소련 구성국 출신 국가 중 민주주의 지수가 가장 높다. 반대로 이들 중 가장 낮은 지수를 가진 나라는 투르크메니스탄이다. [4] 2024년 민주주의 지수가 대폭 상승하면서, 소련 구성국 출신 국가 중 유일하게 완전한 민주주의로 분류되는 나라가 됐다. [5] Peaminister의 Pea는 머리, 수반을 의미한다. 소련 병합 이전에는 riigivanem로 불리었다.[6] 소련 정부의 독립 승인 직후 수교. 소련은 1991년 12월 26일에 해체되었다.[7] 북한 <조선중앙년감>에 따르면 에스토니아와 1994년 5월 7일에 대사급 외교관계를 맺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한민국 외교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대한민국 단독 수교국으로 간주한다.# 실제로 에스토니아 외교부에서도 수교국 목록에서 북한(North Korea 혹은 DPR Korea)은 찾아볼 수 없으며, 오히려 대한민국을 'Republic of'나 'South'와 같은 수식어 없이 그냥 Korea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살펴볼 때 북한-에스토니아는 수교하지 않은 것은 물론, 에스토니아에서는 북한을 국가로도 승인하지 않고 대한민국만을 정통 정부로 인정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단 국내 기사상으로는 1991년 10월 당시 '북한은 독재 국가'라는 점을 들며 에스토니아 정부가 북한과의 수교를 거부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8] 주영국 북한 공사를 역임했던 태영호 의원이 <3층 서기실의 암호>에서 증언한 바에 따르면, 북한과 에스토니아는 1992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외교관계 설정에 관한 협정에 서명한 바 있다고 한다. 당시 에스토니아 측에서는 주러 임시대리대사가 서명에 참가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 에스토니아 정부는 국내법상 임시대리대사는 국가를 대표해 서명할 권한이 없다는 점을 들어 이를 무효화하고, 이후 지속된 북한의 재서명 및 수교 요청도 거절했다고 한다. (166쪽) 이 내용이 맞는다면 태영호 의원이 1994년을 1992년으로 착각했을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