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에스토니아 공화국 Eesti Vabariik Republic of Estonia | ||||||||||||||||||||
상징 | ||||||||||||||||||||
역사 | ||||||||||||||||||||
지리 | ||||||||||||||||||||
| ||||||||||||||||||||
인문 환경 | ||||||||||||||||||||
하위 행정 구역 | ||||||||||||||||||||
| ||||||||||||||||||||
정치 | ||||||||||||||||||||
경제 | ||||||||||||||||||||
단위 | ||||||||||||||||||||
외교 | ||||||||||||||||||||
.ee | ||||||||||||||||||||
국가 코드 | ||||||||||||||||||||
233, EST, EE | ||||||||||||||||||||
국제 전화 코드 | ||||||||||||||||||||
+372 | ||||||||||||||||||||
공공 데이터 | ||||||||||||||||||||
여행 경보 | ||||||||||||||||||||
무경보 | 전 지역 |
1. 개요[편집]
[1] 출처[2] 출처[3] 소련 구성국 출신 국가 중 민주주의 지수가 가장 높다. 반대로 이들 중 가장 낮은 지수를 가진 나라는 투르크메니스탄이다. [4] 2024년 민주주의 지수가 대폭 상승하면서, 소련 구성국 출신 국가 중 유일하게 완전한 민주주의로 분류되는 나라가 됐다. [5] Peaminister의 Pea는 머리, 수반을 의미한다. 소련 병합 이전에는 riigivanem로 불리었다.[6] 소련 정부의 독립 승인 직후 수교. 소련은 1991년 12월 26일에 해체되었다.[7] 북한 <조선중앙년감>에 따르면 에스토니아와 1994년 5월 7일에 대사급 외교관계를 맺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한민국 외교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대한민국 단독 수교국으로 간주한다.# 실제로 에스토니아 외교부에서도 수교국 목록에서 북한(North Korea 혹은 DPR Korea)은 찾아볼 수 없으며, 오히려 대한민국을 'Republic of'나 'South'와 같은 수식어 없이 그냥 Korea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살펴볼 때 북한-에스토니아는 수교하지 않은 것은 물론, 에스토니아에서는 북한을 국가로도 승인하지 않고 대한민국만을 정통 정부로 인정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단 국내 기사상으로는 1991년 10월 당시 '북한은 독재 국가'라는 점을 들며 에스토니아 정부가 북한과의 수교를 거부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8] 주영국 북한 공사를 역임했던 태영호 의원이 <3층 서기실의 암호>에서 증언한 바에 따르면, 북한과 에스토니아는 1992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외교관계 설정에 관한 협정에 서명한 바 있다고 한다. 당시 에스토니아 측에서는 주러 임시대리대사가 서명에 참가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 에스토니아 정부는 국내법상 임시대리대사는 국가를 대표해 서명할 권한이 없다는 점을 들어 이를 무효화하고, 이후 지속된 북한의 재서명 및 수교 요청도 거절했다고 한다. (166쪽) 이 내용이 맞는다면 태영호 의원이 1994년을 1992년으로 착각했을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