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쿡 제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 제도나 열도, 섬의 일부만 점유하거나 통제하고 있는 경우
  
1: 범주 내에서 면적이 가장 큰 섬이나 제도
제주도1 · 거제도 · 진도 · 강화도 · 남해도 · 김포도 · 영종도 · 안면도 · 완도 · 울릉도 · 돌산도 · 거금도 · 창선도 · 자은도 · 압해도 · 교동도 · 고금도 · 임자도 · 백령도 · 용호도 · 비금도 · 도초도 · 석모도 · 청산도 · 보길도 · 암태도 · 신지도 · 금호도 · 나로도 · 장산도 · 노화도 · 영흥도 · 가덕도 · 덕적도 · 하의도 · 흑산도 · 한산도 · 욕지도 · 독도 · 백마도 · 선유도 · 밤섬 · 여의도 · 노들섬 · 서래섬 · 당정섬 · 남이섬 · 뱀섬 · 영도 · 붕어섬 · 묘도· 육도 · 금구도 · 대부도 · 제부도 · 풍도 · 국화도 · 격렬비열도 · 저도 · 오륙도 · 조약도 · 생일도 · 여서도 · 소록도 · 사량도 · 소매물도 · 좌사리제도 · 칠천도 · 오동도 · 지심도 · 외도 · 망산도 · 을숙도 · 추자도 · 차귀도 · 비양도 · 범섬 · 문섬 · 섶섬 · 우도 · 고군산군도 · 어청도 · 십이동파도 · 금란도 · 대청도 · 가의도 · 실미도 · 팔미도 · 운염도 · 안마 군도 · 굴업도 · 자월도 · 신시모도 · 관매도 · 여자도 · 해금강 · 우도(창원) · 대저도 · 눌차도 · 둔치도 · 고파도 · 외연도 · 우무도 · 원산도 · 유부도 · 녹도 · 삽시도 · 덕도 · 동백섬 · 맥도 · 명지도 · 중사도 · 진우도 · 다려도 · 가파도 · 마라도 · 사수도 · 토끼섬 · 형제섬 ·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랑 · 물치도 · 볼음도 · 증도 · 관매도 · 거문도 · 까막섬 · 가우도 · 가거도 · 고도 · 금오도 · 노력도 · 눌옥도 · 도초도 · 모황도 · 삼학도 · 소안도 · 영산도 · 우이도 · 지죽도 · 탄도 · 홍도 · 금란도 · 무녀도 · 위도 · 빙도 · 문갑도 · 미법도 · 신시도 · 시루섬 · 서검도 · 사렴도 · 사승봉도 · 선갑도 · 선재도 · 세어도 · 소무의도 · 소청도 · 수수떼기 · 승봉도 · 아암도 · 연평도 · 이작도 · 잠진도 · 장봉도 · 조름섬 · 주문도 · 해녀도 · 하의도 · 하태도 · 우도(서해 5도) · 장고도 · 고구마섬 · 고하도 · 두미도 · 추봉도 · 나치도 · 방축도
쿡 제도
Cook Islands
파일:Map_of_Cook_Islands_Federation_4.png
쿡 제도의 지도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의 기
분류
형태
산호섬과 화산섬 혼합 열도
위치
남태평양
서경 161° W ~ 155° W, 남위 9° S ~ 22° S
최고점
652m[1]
면적
약 236km²
국가
행정 구역
주요 도시
아바루아 (수도)
인구
약 1만 7천명
시간대
쿡 제도 표준시 (CKT, UTC−10)
1. 개요

1. 개요[편집]

쿡 제도는 남태평양 중앙에 위치한 섬무리로, 뉴질랜드와의 자유 연합 형태로 자치를 유지하는 정치 단위를 이룬다. 제도는 북쪽과 남쪽 두 군으로 나뉘며, 북부에는 저지의 산호섬이, 남부에는 화산섬이 주로 분포한다. 주요 섬으로는 라로통가, 아이투타키, 마우케, 마니히키, 푸카푸카 등이 있다.

남부 군도는 열점 활동에 의해 생성된 화산섬으로 중심부에 고도가 높은 지형이 발달해 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침식과 산호초 성장으로 해안 평야와 환초가 형성되었다. 북부 군도는 주로 산호로 이루어진 환초 구조이며, 해수면 상승에 민감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기후는 전형적인 열대 해양성으로 연중 따뜻하고 강수량이 많으며, 남동무역풍의 영향을 받아 일정한 계절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기후는 전통적으로 타로, 코코야자, 열대과일 재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해왔다.

쿡 제도의 주민들은 폴리네시아계로, 전통적인 사회 구조와 문화가 강하게 유지되어 있다. 언어는 쿡 제도 마오리어가 사용되며, 공용어로는 영어도 함께 쓰인다. 각 섬은 고유의 신화, 무용, 음악, 조각 예술 등을 통해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행정적으로 쿡 제도는 자치 정부를 갖추고 있으며, 방위와 외교 등의 분야는 뉴질랜드와 협의하에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치적 구조는 쿡 제도의 국제적 정체성에 독특한 위치를 부여한다.

자연환경은 상대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으며, 섬마다 다양한 산호초 생태계와 바다새 서식지가 발달해 있어 생물다양성 보존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테 마우운가 (라로통가 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