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2. 상세[편집]
3. 목록[편집]
3.1. 원내정당[편집]
원내교섭단체(20석 이상 보유 정당)은 볼드체 처리.
3.1.1. 여당[편집]
3.1.2. 야당[편집]
3.2. 원외정당[편집]
가나다 순으로 나열.
3.3. 창당준비위원회[편집]
- 직접민주지역자치당
- 핵나라당
- 국민우선당
- 평화민주당
3.4. 역사적 정당[편집]
3.4.1. 해방 이전 정당[편집]
3.4.2. 해방 이후 정당[편집]
아래 문서들을 참고.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대한민국의 종교정당
- 대한민국의 단일쟁점정당
[1] 여당이지만 원내 2당이다.[2] 야당이지만 원내 1당이자 단독 과반 정당이다. 이래서 범야권이 180석 소리를 듣는다[3] 현재 구청장 1석을 자력으로 따낼 정도의 결집력을 가졌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헌재에서 위헌정당으로 판결되어 해산된 통합진보당의 실질적 후신으로 보기도 하여 관련 논란이 있기도 하다.[4] 허경영이 당 대표로 존재하는 정당. 다만 선관위에 등록된 법적 대표는 송순권이다. 현재 종교정당 논란이 있다.[5] 한자명이 大韓民國黨이 아니라 大韓旻國讜이다.[6] 구 정의당. 21대 대선 한정으로 해당 당명을 사용하고, 이후에는 정의당으로 환원될 예정이다.[7] 민생당과 기후민생당의 후신으로, 계보를 거슬러 올라가면 제20대 국회 원내정당이던 민주평화당이 나오지만 법적으로는 별개의 정당이다.[8] 이름에 민중민주가 들어가지만 실제 운동권 계보로는 민중민주(PD)가 아니라 민족해방(NL) 계열에 속한다.[9] 국민의힘의 전신인 새누리당과는 이름만 같은 정당이다.[10] 이낙연 전 총리의 정당.[11]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창당한 정당.[12] 구 열린민주당이 더불어민주당으로 흡수합당되는 것에 반대한 당원들이 창당했다.[13] 국민의힘의 전신인 한나라당과는 이름만 같은 정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