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정의당 | |
영문명 | Justice Party (JP) |
슬로건 | 노동의 희망, 시민의 꿈 |
오직 민생을 위해 양당말고 다당제로 정치교체 | |
고유번호 | 107-82-16814 |
창당일 | |
당명 변경 | |
주소 | |
대표 | |
부대표 | |
사무총장 | |
국회의원 | 0석[3] / 300석 (0%) |
광역단체장 | 0석 / 14석 (0%) |
기초단체장 | 0석 / 226석 (0%) |
광역의원 | 11석[4] / 824석 (1.33%) |
기초의원 | 24석[5] / 2,927석 (0.82%) |
당 색 | 노랑 (#FFCC00) [6] |
너랑노랑 (#FFED00) | |
피땀빨강 (#E8306D) | |
산들초록 (#00A366) | |
평등보라 (#623E91) | |
정당연합 | |
정책연구소 | 파일:정의정책연구소 로고.svg (2012년 12월 11일) |
후원회 | 파일:정의당후원회.png (2017년 8월 30일) |
국제조직 | (옵저버) |
(2020년 8월 30일) | |
청소년조직 | 정의당 청소년위원회 |
여성조직 | 정의당 여성본부 |
성소수자조직 | 정의당 성소수자위원회 |
장애인조직 | 정의당 장애인위원회 |
농어민조직 | 정의당 농어민먹거리위원회 |
재외국민조직 | 정의당 해외당원모임 (2019년 1월) |
정당원 수 | 53,080명 (2020년 12월 31일 기준)[7] |
진성당원 수 | 21,282명 (2021년 10월 6일 기준) |
정당보조금 | 793,279,220원 (2022년 2분기) |
당비 수입 | 4,811,000,000원 (2019년) |
재산총액 | -1,108,000,000원[8] (2019년) |
공식 사이트 | |
팟캐스트 | 정의당 TV채널 '정의의 티븨'[9] |
유튜브 채널 | |
SNS |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이자 원외정당이다.
본래 원내3당이자 제2야당이라는 위상을 갖고 있었으나 2024년 22대 총선에서 괴멸적 참패를 당하며 0석 원외정당으로 전락하여 현재까지 연명하고 있다.
본래 원내3당이자 제2야당이라는 위상을 갖고 있었으나 2024년 22대 총선에서 괴멸적 참패를 당하며 0석 원외정당으로 전락하여 현재까지 연명하고 있다.
2. 역사[편집]
2.1. 진보정의당 시절[편집]
2.2. 2024년[편집]
2.2.1. 22대 총선[편집]
녹색당과 연대하여 당명을 일시적으로 녹색정의당으로 변경하고 선거에 임했으나, 모든 의석을 상실하고 원외정당이 되었다.
이후 심상정 전 대표를 비롯한 주요 정치인들이 대거 은퇴하고, 권영국 변호사를 비롯한 중앙정계 경력이 없는 인물들이 지도부를 구성하게 되었다.
이후 심상정 전 대표를 비롯한 주요 정치인들이 대거 은퇴하고, 권영국 변호사를 비롯한 중앙정계 경력이 없는 인물들이 지도부를 구성하게 되었다.
2.3. 2025년[편집]
2.3.1. 제21대 대통령 선거[편집]
원외 진보3당인 정의당, 노동당, 녹색당이 사회대전환 연대회의라는 정당연합을 구성하여 단일후보를 공천하고 해당 후보는 원래 당적과 상관 없이 TV 토론 참여 자격을 보유한 정의당 후보로 참가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노동당 또는 녹색당 소속 정치인이 직접 출마를 선언하지는 않아서, 정의당 권영국 대표와 무소속 한상균[10] 후보가 단일후보 자리를 놓고 경선에서 대결하게 되었다.
권영국 대표가 경선에서 승리한 이후 당명을 민주노동당으로 변경하여 해당 당적으로 후보 등록을 진행했는데, 대선 기간 동안만 해당 당명을 사용하고 선거가 끝나면 정의당으로 환원될 예정이다.
다만 노동당 또는 녹색당 소속 정치인이 직접 출마를 선언하지는 않아서, 정의당 권영국 대표와 무소속 한상균[10] 후보가 단일후보 자리를 놓고 경선에서 대결하게 되었다.
권영국 대표가 경선에서 승리한 이후 당명을 민주노동당으로 변경하여 해당 당적으로 후보 등록을 진행했는데, 대선 기간 동안만 해당 당명을 사용하고 선거가 끝나면 정의당으로 환원될 예정이다.
[1]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는 10월 31일에 등록되었다.[2] 정의당 서울시당(4층), 정의정책연구소(6층)와 같은 건물이다.[3] 22대 총선 참패로 모든 의석을 잃었다.[4] 지역구 1석, 비례대표 10석.[5] 지역구 16석, 비례대표 8석.[6] 정의당에 이메일로 문의한 결과 공식 당 색은 #FFCC00이 맞으나, 실제 이 색상으로 인쇄했을 시 너무 어둡게 보이기 때문에 출력 시에는
#FFD900
으로 인쇄하고 있다고 한다. 아래 네 가지 컬러는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한 서브 컬러이다.[7]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1), 2020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1년 11월 19일 확인), p23. [8] 자산보다 부채가 더 많다.[9] 노유진의 정치카페 종방 이후 정치카페의 피드에 프로필만 바꿔서 쓰이고 있다. 안보학개론, 뉴스원정대 등의 프로그램을 하며 정치카페의 특별편도 간간히 올라온다.[10]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