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목록
2.1. 현존 정당
2.1.1. 원내2.1.2. 원외
2.2. 역사적 정당
2.2.1. 해방정국~제2공화국2.2.2. 제3~4공화국2.2.3. 제5~6공화국
3. 인물
3.1. 대통령3.2. 부통령3.3. 국회의장3.4. 국무총리
3.4.1. 내각제 국무총리3.4.2. 대통령제 국무총리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에서 주로 민주당이란 이름을 사용하며 보수정당과 경쟁하고 있는 정당 계열.

단, 역사적으로는 민주당 외에 다른 당명을 사용한 시기도 있었다.[1]

보수정당에 대비되어 진보 진영으로 엮이기도 하지만, 초기 민주당계 정당은 진보와는 거리가 멀었고, 지금도 진보정당과는 별개의 계보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현존 민주당계 정당의 원류가 된 정당으로는 한국민주당, 민주당(1955년), 평화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등이 꼽히는데 넷 다 각각 나름의 근거가 있어서 어느 한쪽이 맞다고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

2. 목록[편집]

2.1. 현존 정당[편집]

2.1.1. 원내[편집]

2.1.2. 원외[편집]

2.2. 역사적 정당[편집]

2.2.1. 해방정국~제2공화국[편집]

  • 한국민주당
  • 민주국민당(1949년)
  • 민주당(1955년)
  • 신민당(1960년)

해방정국~제2공화국 시기의 정당은 5.16 군사정변 직후 완전히 해산되었다.

2.2.2. 제3~4공화국[편집]

  • 민정당(1963년)
  • 민주당(1963년)
  • 자유민주당(1963년)
  • 국민의당(1963년)
  • 민중당(1965년)
  • 신한당
  • 신민당(1967년)
  • 국민당(1971년)
  • 민주통일당

제3~4공화국 시기의 정당은 1980년 신군부에 의해 완전히 해산되었다.

2.2.3. 제5~6공화국[편집]

제5공화국 시기의 몇몇 정당은 87년 개헌 이후에도 존속했다.

3. 인물[편집]

3.1. 대통령[편집]

3.2. 부통령[편집]

  • 제2대: 김성수
  • 제4대: 장면

3.3. 국회의장[편집]

3.4. 국무총리[편집]

3.4.1. 내각제 국무총리[편집]

3.4.2. 대통령제 국무총리[편집]

  •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 제36대: 이해찬
    • 제37대: 한명숙
    • 제45대: 이낙연
    • 제46대: 정세균
    • 제47대: 김부겸

4. 관련 문서[편집]

[1] 새정치국민회의, 열린우리당 등.[2] 현 제1야당이자 원내1당.[제3지대] 3.1 3.2 3.3 3.4 3.5 3.6 3.7 제3지대 정당으로 분류되기도 한다.[4] 제20대 국회 원내정당이었던 민생당의 후신이다.[6] 제22대 국회 원내정당이었던 새로운미래의 후신이다.[7] 송영길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당.[8] 제21대 국회 원내정당이었던 열린민주당이 더불어민주당으로 흡수합당되는 것에 반대한 당원들이 창당했다.[관제야당] [A] 10.1 10.2 10.3 10.4 10.5 10.6 당명 변경이 있었으나 법적으로 동일 정당이다.[12] 신민주연합당과 민주당(1990년)의 신설합당으로 창당.[13] 신한국당과 함께 한나라당으로 신설합당.[16] 민주당(2005년)과 중도개혁통합신당의 신설합당으로 창당.[18] 민주당(2007년)과 대통합민주신당의 신설합당으로 창당[20]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 변경.[24] 국민의당(2016년)과 바른정당의 신설합당으로 창당되어 보수정당으로 분류되기도 한다.[비례위성정당] 27.1 27.2 [29] 대통령제였던 제1공화국 체제에서 제2대 국무총리를 역임하기도 했지만, 2대 총리 시절에는 무소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