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2. 목록[편집]
2.1. 현존 정당[편집]
2.1.1. 원내[편집]
2.1.2. 원외[편집]
2.2. 역사적 정당[편집]
2.2.1. 해방정국~제2공화국[편집]
- 한국민주당
- 민주국민당(1949년)
- 민주당(1955년)
- 신민당(1960년)
해방정국~제2공화국 시기의 정당은 5.16 군사정변 직후 완전히 해산되었다.
2.2.2. 제3~4공화국[편집]
- 민정당(1963년)
- 민주당(1963년)
- 자유민주당(1963년)
- 국민의당(1963년)
- 민중당(1965년)
- 신한당
- 신민당(1967년)
- 국민당(1971년)
- 민주통일당
제3~4공화국 시기의 정당은 1980년 신군부에 의해 완전히 해산되었다.
2.2.3. 제5~6공화국[편집]
제5공화국 시기의 몇몇 정당은 87년 개헌 이후에도 존속했다.
- 민주한국당[관제야당]
- 신한민주당
- 통일민주당
- 평화민주당 ~ 신민주연합당[A]
- 평화민주당
- 신민주연합당
- 한겨레민주당
- 민주당(1990년)
- 민주당(1991년) ~ 통합민주당(1995년)[A]
-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 민주당(2005년)[A]
- 새천년민주당
- 민주당(2005년)
- 중도개혁통합신당
- 중도통합민주당 ~ 민주당(2007년)[A]
- 중도통합민주당[16]
- 민주당(2007년)
- 대통합민주신당
- 통합민주당(2008년) ~ 민주당(2008년)[A]
- 통합민주당(2008년)[18]
- 민주당(2008년)
- 시민통합당
- 민주통합당 ~ 민주당(2013년)[A]
- 민주통합당
- 민주당(2013년)
- 새정치민주연합[20]
- 국민의당(2016년)[제3지대]
- 민주평화당[제3지대]
- 대안신당[제3지대]
- 민생당[제3지대]
- 더불어시민당[비례위성정당]
- 열린민주당
- 더불어민주연합[비례위성정당]
3. 인물[편집]
3.1. 대통령[편집]
3.2. 부통령[편집]
- 제2대: 김성수
- 제4대: 장면
3.3. 국회의장[편집]
3.4. 국무총리[편집]
3.4.1. 내각제 국무총리[편집]
3.4.2. 대통령제 국무총리[편집]
4. 관련 문서[편집]
[1] 새정치국민회의, 열린우리당 등.[2] 현 제1야당이자 원내1당.[제3지대] 3.1 3.2 3.3 3.4 3.5 3.6 3.7 제3지대 정당으로 분류되기도 한다.[4] 제20대 국회 원내정당이었던 민생당의 후신이다.[6] 제22대 국회 원내정당이었던 새로운미래의 후신이다.[7]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당.[8] 제21대 국회 원내정당이었던 열린민주당이 더불어민주당으로 흡수합당되는 것에 반대한 당원들이 창당했다.[관제야당] [A] 10.1 10.2 10.3 10.4 10.5 10.6 당명 변경이 있었으나 법적으로 동일 정당이다.[12] 신민주연합당과 민주당(1990년)의 신설합당으로 창당.[13] 신한국당과 함께 한나라당으로 신설합당.[16] 민주당(2005년)과 중도개혁통합신당의 신설합당으로 창당.[18] 민주당(2007년)과 대통합민주신당의 신설합당으로 창당[20]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 변경.[24] 국민의당(2016년)과 바른정당의 신설합당으로 창당되어 보수정당으로 분류되기도 한다.[비례위성정당] 27.1 27.2 [29] 대통령제였던 제1공화국 체제에서 제2대 국무총리를 역임하기도 했지만, 2대 총리 시절에는 무소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