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토템의 힘 Totemic Might | ||
등급 | ||
세트 | ||
직업 | ||
종류 | ||
![]() | ||
효과 | 내 토템들에게 생명력을 +2 부여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 자, 이제 제 토템 한 번 밟아 보시죠. (사악한 미소) (Totem-stomping is no longer recommended.) | |
야생전 잠금 해제 |
2. 평가[편집]
토템의 힘은 잠재력과 한계가 극명하게 갈리는 카드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0마나라는 비용 없이 토템의 생존력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점이다. 주술사의 영웅 능력으로 소환된 기본 토템들을 상대편의 영웅 능력이나 저비용 하수인, 광역 피해로부터 보호하여 필드에 더 오래 남게 할 수 있다. 이는 불꽃의 토템, 마나 해일 토템, 잔.악.무.도. 토템과 같이 지속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핵심 토템들을 지키는 데 특히 유용하다. 토템이 필드에 여럿 존재할 때 사용하면 상대편의 광역 주문 사용을 주저하게 만들거나, 비효율적인 교환을 강요하는 심리적 압박을 줄 수 있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필드에 토템이 없으면 아무런 가치가 없는 완전한 상황 의존형 카드라는 점이다. 손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남아있는 경우가 잦으며, 생명력만 증가시킬 뿐 공격력을 부여하지 않아 필드에 즉각적인 위협을 가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토템의 힘은 특정 토템 주술사 덱 외에는 거의 고려되지 않는, 매우 제한적인 용도의 카드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0마나라는 비용 없이 토템의 생존력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점이다. 주술사의 영웅 능력으로 소환된 기본 토템들을 상대편의 영웅 능력이나 저비용 하수인, 광역 피해로부터 보호하여 필드에 더 오래 남게 할 수 있다. 이는 불꽃의 토템, 마나 해일 토템, 잔.악.무.도. 토템과 같이 지속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핵심 토템들을 지키는 데 특히 유용하다. 토템이 필드에 여럿 존재할 때 사용하면 상대편의 광역 주문 사용을 주저하게 만들거나, 비효율적인 교환을 강요하는 심리적 압박을 줄 수 있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필드에 토템이 없으면 아무런 가치가 없는 완전한 상황 의존형 카드라는 점이다. 손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남아있는 경우가 잦으며, 생명력만 증가시킬 뿐 공격력을 부여하지 않아 필드에 즉각적인 위협을 가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토템의 힘은 특정 토템 주술사 덱 외에는 거의 고려되지 않는, 매우 제한적인 용도의 카드다.
3. 역사[편집]
- 오리지널 시기 토템의 힘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 카드였다. 토템 시너지를 활용하는 덱 자체가 비주류였고, 이 카드를 덱에 포함하는 것은 패 한 장을 낭비하는 것과 같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 대 마상시합에서 토템 골렘, 투스카르 토템지기, 썬더 블러프 용맹전사 등 강력한 토템 시너지 카드들이 대거 등장하며 토템 주술사라는 유형이 처음으로 주목받았다. 이 덱들에서 토템의 힘은 토템들을 필드에 유지시켜 썬더 블러프 용맹전사나 피의 욕망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커 카드로 간혹 채용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필수 카드로 평가받지는 못했다.
- 크라켄의 해
- 비열한 거리의 가젯잔에서 영혼 발톱과 비취 골렘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한 미드레인지 주술사가 메타를 지배했다. 일부 토템 시너지를 채용한 미드레인지 주술사 덱에서 토템의 힘이 사용되기도 했으나, 주류는 아니었다.
- 용의 해
4. 기타[편집]
- 토템의 힘이라는 이름의 주문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 직접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주술사는 다양한 토템을 사용하여 아군을 강화하거나 적을 약화시키는 직업이며, 일부 특성을 통해 토템의 생명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그 콘셉트를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 카드 아트는 트렌트 카니우가(Trent Kaniuga)가 그렸으며,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TCG의 "배신자의 종자(Servants of the Betrayer)" 세트에 등장했던 대지의 부름사제 라이사(Rysa the Earthcaller) 카드의 아트를 그대로 사용했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이 카드로 생명력이 증가한 토템을 함부로 공격하기 어려워진 상황을 재치있게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