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전(하스스톤)
,
,
,
,
,
1. 개요2. 평가3. 역사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용암 폭발
Lava Burst
파일:용암 폭발.png
등급
세트
직업
종류
파일:하스 마나.png 3
파일:공격력.png 15 | 파일:생명력.png 15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3
파일:Hearthstone-WeaponAttack.png 3 |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2
파일:Hearthstone-Armor.png 7
파일:생명력.png 7
효과
피해를 5 줍니다. 과부하: (2)
(기울임 효과 텍스트 작성)
플레이버
텍스트
과음한 친구를 마구 흔들면 자동으로 시전합니다.
(It's like an ocean of liquid magma in your mouth!)
제작 또는 카드 팩

카드팩

확장팩 예약 구매
라그나로스: 불꽃에 휩싸여라! (BE BATHED IN FLAME!)

주술사고전 희귀 카드.

2. 평가[편집]

용암 폭발은 높은 피해량으로 상징되는 강력한 마무리 능력과 과부하라는 명확한 리스크를 동시에 지닌 주문이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3마나로 즉시 5의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게임 중반의 위협적인 하수인을 제거하는 효율적인 정리기로 사용되거나, 상대 영웅에게 직접 사용하여 게임을 끝내는 결정적인 (burn) 주문으로 활용된다. 특히 주술사는 영웅 능력으로 천벌의 토템을 소환할 수 있어 실제 기대 피해량은 그 이상일 때가 많다. 비용이 3마나이므로, 6마나 시점에 두 장을 연달아 사용하여 10의 폭발적인 피해를 입히는 등 유연한 마나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2의 과부하로 인해 발생하는 극심한 템포 손실이다. 3턴에 이 카드를 하수인 제거용으로 사용하면, 다음 4턴에는 단 2마나만 사용할 수 있어 필드 주도권을 완전히 내줄 위험이 크다. 이 때문에 마법사의 화염구(4마나 6피해)와 자주 비교되며, 총합 5마나를 소모하고도 피해량이 1 낮다는 점에서 효율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따라서 용암 폭발은 초반 필드 정리보다는, 과부하의 영향이 덜한 후반에 명치를 노리는 마무리 일격으로 사용할 때 가장 큰 가치를 발휘하는 카드다.

3. 역사[편집]

  • 오리지널 어그로 주술사와 미드레인지 주술사 덱에서 핵심적인 마무리 카드로 활약했다. 둠해머와 함께 주술사의 강력한 순간 화력을 상징하는 카드로, 대부분의 공격적인 덱에 1~2장씩 채용되었다.
  • 고블린 대 노움에서 파지직이라는 새로운 번 주문이 등장하면서 입지가 다소 흔들렸다. 파지직은 더 낮은 비용과 낮은 과부하로 비슷한 피해를 기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계 하수인을 중심으로 한 빠른 템포의 기계 주술사 덱에서는 여전히 상대의 도발을 무시하고 게임을 끝내기 위한 마무리 카드로 꾸준히 기용되었다.
  • 크라켄의 해
    • 고대 신의 속삭임에서 땅굴 트로그, 얼굴 없는 화염투사 등을 앞세운 어그로 주술사가 메타를 지배하면서 용암 폭발의 채용률도 다시 높아졌다. 이 덱들은 초반부터 필드를 강력하게 압박한 뒤, 손에 모아둔 번 주문으로 승리를 확정 짓는 전략을 사용했으며, 용암 폭발은 그 중심에 있는 카드 중 하나였다.
  • 까마귀의 해
    •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에서 용암 폭발은 야생전의 어그로 주술사 덱에서 꾸준히 사용되는 클래식 번 주문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 특히 주문 공격력 시너지나 엘렉트라 스톰서지와 같은 카드와 연계하여 한 턴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용도로 사용된다.

4. 기타[편집]

  • 이 카드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 등장하는 정기 주술사의 동명 기술에서 유래했다. 원작에서 용암 폭발은 주술사의 가장 강력한 단일 대상 공격 주문 중 하나로, 대상에게 화염 충격 효과가 걸려 있으면 반드시 치명타로 적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카드 아트는 Dan Scott이 그렸다.
  • 국내 커뮤니티에서는 특유의 붉은 이펙트 때문에 "김치 폭발"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5.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