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폭풍으로 벼려낸 도끼 Stormforged Axe | ||
등급 | ||
세트 | ||
직업 | ||
종류 | ||
![]() | ||
효과 | 과부하: (1) | |
플레이버 텍스트 | 폭풍에 맞은 듯한 충격을 대뇌의 전두엽까지 전해드립니다. (Yo, that's a nice axe.) | |
제작 또는 카드 팩 |
2. 평가[편집]
폭풍으로 벼려낸 도끼는 초반 템포 장악이라는 막대한 잠재력과 그에 상응하는 명확한 위험을 동시에 지닌, 주술사의 과부하 메커니즘을 상징하는 카드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2마나라는 저렴한 비용으로 즉시 필드에 개입하여 최대 세 번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이다. 특히 게임 초반, 체력 2 이하의 하수인이 핵심 위협으로 작용하는 환경에서 상대의 전개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필드 주도권을 가져오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성공적으로 상대 하수인 셋을 제거한다면 극적인 3대 1 교환을 통해 막대한 카드 이득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시너지를 구축하기 어려운 투기장 환경에서 특히 강력한 장점으로 작용한다. 실질적인 비용은 과부하를 포함해 3마나지만, 2턴에 그 효과를 미리 사용하는 템포는 초반 필드 싸움이 치열했던 오리지널 환경에서 빛을 발했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과부하 (1)로 인한 다음 턴의 템포 손실이다. 2턴에 도끼를 장착하고 상대 하수인을 제거하지 못하면, 중요한 3턴에 단 2마나만 사용해야 하는 치명적인 상황에 놓인다. 또한, 게임의 메타가 발전하며 초반 하수인들의 평균 체력이 3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공격력 2의 한계가 명확해졌다. 유령 들린 거미처럼 죽음의 메아리로 추가적인 가치를 남기는 하수인에게는 오히려 손해가 되는 경우도 발생했다. 결국 이 카드는 상대의 플레이와 메타를 정확히 읽고 사용해야 하는, 성공과 실패의 결과가 극명하게 갈리는 숙련도가 필요한 카드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2마나라는 저렴한 비용으로 즉시 필드에 개입하여 최대 세 번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이다. 특히 게임 초반, 체력 2 이하의 하수인이 핵심 위협으로 작용하는 환경에서 상대의 전개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필드 주도권을 가져오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성공적으로 상대 하수인 셋을 제거한다면 극적인 3대 1 교환을 통해 막대한 카드 이득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시너지를 구축하기 어려운 투기장 환경에서 특히 강력한 장점으로 작용한다. 실질적인 비용은 과부하를 포함해 3마나지만, 2턴에 그 효과를 미리 사용하는 템포는 초반 필드 싸움이 치열했던 오리지널 환경에서 빛을 발했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과부하 (1)로 인한 다음 턴의 템포 손실이다. 2턴에 도끼를 장착하고 상대 하수인을 제거하지 못하면, 중요한 3턴에 단 2마나만 사용해야 하는 치명적인 상황에 놓인다. 또한, 게임의 메타가 발전하며 초반 하수인들의 평균 체력이 3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공격력 2의 한계가 명확해졌다. 유령 들린 거미처럼 죽음의 메아리로 추가적인 가치를 남기는 하수인에게는 오히려 손해가 되는 경우도 발생했다. 결국 이 카드는 상대의 플레이와 메타를 정확히 읽고 사용해야 하는, 성공과 실패의 결과가 극명하게 갈리는 숙련도가 필요한 카드다.
3. 역사[편집]
- 오리지널 미드레인지 및 컨트롤 주술사 덱에서 초반 필드를 장악하기 위한 핵심 무기였다. 당시 메타는 위니 흑마법사처럼 체력이 낮은 하수인을 대량 전개하는 덱이 많았기에, 3의 내구도를 가진 폭풍으로 벼려낸 도끼는 이들을 상대로 높은 효율을 보였다. 전사의 이글거리는 전쟁 도끼와 자주 비교되었는데, 이글도끼가 3체력 하수인을 한 번에 끊는 데 특화되었다면, 폭풍도끼는 2체력 하수인을 여러 턴에 걸쳐 정리하며 필드를 유지하는 데 강점이 있었다.
- 크라켄의 해
4. 기타[편집]
- 카드의 이름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대장기술 전문 기술로 제작 가능한 동명의 아이템에서 따왔다. 하지만 실제 카드에 사용된 아트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TCG의 파도의 왕좌 세트에 등장하는 번개 소라 도끼(Lightning Whelk Axe)의 것이다
- 카드 아티스트는 네이트 보든(Nate Bowden)으로, 초기에는 Nathan Bowden으로 잘못 표기되었다가 패치를 통해 수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