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전(하스스톤)
,
,
,
,
,
1. 개요2. 평가3. 역사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야수 정령
Feral Spirit
파일:야수 정령.png
등급
세트
직업
종류
파일:하스 마나.png 3
파일:공격력.png 15 | 파일:생명력.png 15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3
파일:Hearthstone-WeaponAttack.png 3 |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2
파일:Hearthstone-Armor.png 7
파일:생명력.png 7
효과
도발 능력이 있는 2/3 늑대 정령을 둘 소환합니다. 과부하: (1)
(기울임 효과 텍스트 작성)
플레이버
텍스트
늑대 정령들은 일반 늑대와 유사하지만 발바닥이 더 보들보들하다고 합니다.
(Spirit wolves are like regular wolves with pom-poms.)
제작 또는 카드 팩

카드팩

확장팩 예약 구매

2. 평가[편집]

야수 정령은 막대한 초반 템포 장악 능력과 그에 상응하는 명확한 위험(과부하)을 동시에 지닌, 주술사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카드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3마나라는 낮은 비용으로 즉시 필드에 2개의 도발 하수인을 전개하여 상대의 공격적인 플레이를 차단하는 능력이다. 총합 4/6이라는 비용 대비 높은 능력치는 초반 필드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게 하며, 특히 불꽃의 토템이나 마나 해일 토템과 같은 핵심 하수인을 보호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두 개의 개별 하수인으로 소환된다는 점은 단일 제압기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며, 다수의 공격을 강제하여 어그로 덱을 상대로 효율적인 방어 수단이 된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과부하로 인한 다음 턴의 템포 손실이다. 특히 과부하가 (2)였던 시절에는 3턴에 카드를 사용하면 4턴에 영웅 능력 외의 행동이 거의 불가능해져 주도권을 내주기 쉬웠다. 과부하가 (1)로 줄어든 현재에도 여전히 다음 턴의 플레이를 신중하게 계획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또한, 소환되는 늑대 정령의 생명력이 3이라 불기둥 같은 광역 주문에 취약한 점도 명확한 한계다. 이 때문에 야수 정령은 게임의 흐름과 상대의 패를 예측하며 사용해야 하는, 숙련도가 필요한 카드다.

3. 역사[편집]

  • 오리지널 미드레인지 주술사의 핵심 카드였다. 3턴에 필드를 장악하고 상대의 초반 공세를 막아내는 역할로, 이후 불의 정령같은 강력한 하수인을 안전하게 내기 위한 발판을 마련해주었다. 당시 필드 싸움 중심의 메타에서 거의 모든 주술사 덱에 채용되며 황금기를 누렸다.
  • 탐험가 연맹에서 땅굴 트로그의 등장과 함께 어그로 주술사의 시대를 열었다. 1턴 트로그, 2턴 동전-야수 정령 콤보는 상대가 대처하기 힘든 강력한 필드를 구축했다.
  • 크라켄의 해
  • 매머드의 해
    • 비열한 거리의 가젯잔에서 사로나이트 광산 노예이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등장하며 쇠퇴기를 맞았다. 4마나에 과부하 없이 2/3 도발 하수인을 둘 소환하는 이 카드는 템포 손실이 없는 안정성 덕분에 야수 정령의 자리를 대체했다. 게임의 파워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서 과부하 (2)의 페널티는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 되었고, 야수 정령은 점차 경쟁력 있는 덱에서 자취를 감췄다.
  • 그리핀의 해
    • 불모의 땅에서 과부하 비용이 (1)로 감소하는 상향 조정을 받았다. 이로 인해 카드의 가장 큰 단점이 완화되었지만, 이미 강력해진 현대 하스스톤 환경에서 주류 카드로 복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 알터랙 계곡에선 자갈발 동굴을 사용하는 덱에서 선택적으로 고려되는 카드로 남아있다.
  • 늑대의 해
    • 전설노래자랑에서 자연 주문 계열이 추가되었다. 특정 자연 주문 시너지가 어느정도 생겼다.

4. 기타[편집]

  • 이 카드는 워크래프트 3 오크 호드의 영웅 선견자(Far Seer)가 사용하던 동명의 기술에서 유래했다. 원작에서는 레벨에 따라 치명타 공격이나 투명화 능력을 가진 늑대를 소환하는 다목적 기술이었으며,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고양 주술사의 핵심 공격 기술 중 하나로 계승되었다.
  • 카드 아트는 클린트 랭리(Clint Langley)가 그렸으며, 푸른 영체 늑대 두 마리가 포효하는 역동적인 모습을 담고 있다. 이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혼령 늑대(Ghost Wolf)가 반투명한 외형을 가진 설정을 충실히 반영한 것이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카드의 위협적인 이미지와 대조되는 재치 있는 문구로, 하스스톤 특유의 유머러스한 분위기를 보여준다.

5.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