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전(하스스톤)
,
,
,
,
,
1. 개요2. 평가3. 역사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천리안
Far Sight
파일:천리안.png
등급
세트
직업
종류
파일:하스 마나.png 3
파일:공격력.png 15 | 파일:생명력.png 15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3
파일:Hearthstone-WeaponAttack.png 3 |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2
파일:Hearthstone-Armor.png 7
파일:생명력.png 7
효과
카드를 뽑습니다. 그 카드의 비용이 (3) 감소합니다.
(기울임 효과 텍스트 작성)
플레이버
텍스트
드렉타르는 앞을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잘 보인다고 하는군요. 뭔 소리냐고요? 글쎄요.
(Drek'thar can't see, but he can see. You know what I mean? It's ok if you don't.)
제작 또는 카드 팩

카드팩

확장팩 예약 구매

주술사고전 특급 카드.

2. 평가[편집]

천리안은 극적인 템포 이득의 잠재력과 그에 상응하는 높은 수준의 무작위성을 동시에 지닌, 주술사의 대표적인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드로우 주문이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덱에서 뽑은 카드의 비용을 3이나 줄여주는, 강력한 마나 사기 능력에 있다. 이 효과는 특히 비용이 높은 핵심 하수인이나 주문을 뽑았을 때 극대화된다. 예를 들어, 5~6 비용의 하수인을 뽑아 다음 턴에 2~3마나로 내거나, 10 비용에 가까운 거대 하수인을 7마나로 사용하는 등 상대가 예측하지 못한 타이밍에 강력한 필드를 구축하여 게임의 흐름을 완전히 가져올 수 있다. 이는 사실상 3마나를 선지불하여 미래의 특정 턴에 막대한 템포 우위를 확보하는, 주술사 방식의 지연된 정신 자극과 같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극심한 변동성이다. 만약 비용이 3 이하인 카드를 뽑게 되면, 비용 감소 효과의 이득이 없거나 오히려 손해가 발생한다. 3마나를 투자하여 3마나 카드를 뽑아 비용이 0이 되면 본전이지만, 3턴의 귀중한 템포를 그대로 소모한 셈이다. 1~2 비용의 카드를 뽑는다면 명백한 템포 손실로 이어진다. 이 때문에 천리안은 덱의 평균 비용이 낮은 어그로나 일반적인 미드레인지 덱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고비용 카드가 다수 포함된 특정 콤보 덱이나 빅 덱에서만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매우 까다로운 카드다.

3. 역사[편집]

  • 출시 초기, 천리안은 대부분의 플레이어에게 외면받는 카드였다. 당시 주류였던 미드레인지 주술사 덱은 필드 싸움이 중요했기에 3턴에 아무런 필드 영향력 없이 카드를 한 장 뽑는 플레이는 너무나 큰 템포 손실이었다. 일부 유저들이 빅 주술사와 같은 예능 덱에서 거인이나 전설 하수인을 빨리 내기 위해 채용하는 정도에 그쳤다.
  • 까마귀의 해
    • 마녀숲에서 두억시니가 등장하면서, 천리안은 두억시니 주술사 덱의 핵심 부품으로 자리 잡았다. 두억시니 콤보에 필요한 다양한 전투의 함성 하수인(사로나이트 광산 노예 등)을 찾아 비용을 줄여줌으로써, 콤보의 완성 시점을 앞당기고 안정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에서 천리안은 빅 주술사두억시니 주술사 덱에서 꾸준히 핵심 카드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선조의 부름, 유레카! 등 하수인을 손에서 바로 필드로 소환하는 카드들과의 연계를 통해, 천리안으로 비용을 줄인 고비용 하수인을 빠르게 내는 전략이 정착했다.

4. 기타[편집]

  • 이 카드의 이름과 콘셉트는 워크래프트 3의 영웅 선견자(Far Seer)가 사용하던 동명의 정찰 기술에서 유래했다. 원작에서는 지정한 지역의 안개를 걷어 시야를 밝히는 순수한 유틸리티 기술이었으나, 하스스톤에서는 '덱의 미래를 엿본다'는 개념으로 재해석되어 카드 드로우 및 비용 감소 효과로 구현되었다.
  • 카드 아트는 라스 그랜트-웨스트(Lars Grant-West)가 그렸으며,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TCG의 "Worldbreaker" 시리즈에 등장했던 정령의 시야(Elemental Vision) 카드의 아트를 그대로 사용했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앞을 보지 못하는 드렉타르가 정령의 힘으로 미래를 보는 모습을 재치있게 표현했다.

5.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