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전(하스스톤)
,
,
,
,
,
1. 개요2. 평가3. 역사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암살
Assassinate
파일:암살.png
등급
세트
직업
종류
파일:하스 마나.png 4
파일:공격력.png 15 | 파일:생명력.png 15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3
파일:Hearthstone-WeaponAttack.png 3 |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2
파일:Hearthstone-Armor.png 7
파일:생명력.png 7
효과
적 하수인을 처치합니다.
(기울임 효과 텍스트 작성)
플레이버
텍스트
암살당하기 싫다고요? 이름을 바꾸고 불모의 땅으로 가세요. 행운을 빕니다!
(If you don't want to be assassinated, move to the Barrens and change your name. Good luck!)
야생전 잠금 해제

카드팩

확장팩 예약 구매
에드윈 밴클리프: 적들은 조심해야 할 거다. (Let our enemies beware.)

도적고전 무료 카드.

2. 평가[편집]

암살은 어떤 하수인이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명확한 강점과, 높은 비용으로 인한 템포 손실이라는 뚜렷한 약점을 동시에 지닌 카드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확실성이다. 상대가 어떤 강력한 전설 하수인을 내든, 혹은 온갖 강화 효과를 부여한 하수인을 만들든, 암살은 4마나(기존 5마나)로 그 위협을 즉시 필드에서 제거한다. 이는 다른 직업의 변이사술처럼 하수인을 남기지 않는 완전한 제거이며, 카드 한 장으로 상대의 핵심 카드 한 장을 교환하는 순수한 1대 1 교환을 보장한다. 특히 도적에게 부족한 정리 능력을 보완하는 강력한 단일 대상 제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템포 손실이다. 4마나를 소모하여 상대 하수인 하나를 제거하는 동안, 자신은 필드에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한다. 이는 템포를 중시하고 연계를 활용해 필드를 장악해야 하는 도적의 운영 방식과는 다소 맞지 않는다. 시간이 흐르면서 암살과 동일하거나 더 낮은 비용으로 비슷한 효과를 내면서 추가적인 이점(예: 하수인 전개)까지 제공하는 썩은가시 식인꽃 같은 카드들이 등장하면서, 암살의 경쟁력은 크게 하락했다. 이로 인해 암살은 강력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경쟁적인 덱에서는 더 효율적인 다른 카드들에 밀려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3. 역사[편집]

  • 출시 초기, 암살은 도적의 유일한 하드 제압기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특히 투기장에서는 상대의 고비용 하수인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매우 좋은 카드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등급전에서는 5마나라는 비용이 발목을 잡아, 템포를 중시하는 미라클 도적 같은 덱에서는 거의 채용되지 않았다. 일부 컨트롤 성향의 덱에서 고려되었으나, 주류 덱의 필수 카드는 아니었다.
  • 탐험가 연맹에서 메타는 계속해서 빨라졌고, 도적은 묘실 도굴꾼과 같은 카드를 통해 템포를 더욱 가속화했다. 암살은 여전히 템포 손실이 큰 카드로 인식되어 경쟁적인 덱에서는 보기 힘들었다.
  • 매머드의 해
    • 운고로를 향한 여정에서 도적은 썩은가시 식인꽃이라는 강력한 카드를 얻었다. 이 카드는 5마나에 3/4 하수인을 내면서 암살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했기에, 암살을 덱에 넣을 이유는 완전히 사라졌다
    • 코볼트와 지하 미궁에서 왕의 파멸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아키타입이 등장했다. 이 덱은 무기 강화에 집중하고 필드 하수인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었기에, 하수인 교환보다 직접적인 제거가 필요할 때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일부 왕의 파멸 도적 덱에서는 썩은가시 식인꽃 대신 암살을 채용하기도 했다. 이는 암살이 드물게나마 경쟁적인 덱에 다시 모습을 보인 시기였다.
  • 까마귀의 해
    • 마녀숲에선 홀수 도적의 등장했으나 이런 고비용 제압기 암살을 쓸 필요가 없었다.
  • 그리핀의 해
    • 불모의 땅 핵심 세트가 도입되면서 비용이 4마나로 감소하여 효율이 개선되었지만, 이미 강력한 카드들이 즐비한 현대 하스스톤 환경에서 암살이 주류 덱에 포함되는 경우는 거의 없게 되었다.

4. 기타[편집]

  • 카드 아티스트는 Glenn Rane이다. 카드 아트에 그려진 인물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TCG의 캐릭터인 티모 섀도스텝(Timmo Shadestep)이며, 원본 아트는 뇌엽 절제술(Lobotomize)이라는 카드의 삽화였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불모의 땅이 매우 넓고 황량하여 숨기 좋은 장소라는 점을 이용한 유머다.

5.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