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머리 후려치기 Headcrack | ||
등급 | ||
세트 | ||
직업 | ||
종류 | ||
![]() | ||
효과 | 적 영웅에게 피해를 2 줍니다. 연계: 다음 턴에 이 카드를 내 손으로 다시 가져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 모든 공격이 실패해도, 머리 후려치기만큼은 당신을 배신하지 않을 겁니다. (When all else fails, nothing beats a swift whack upside the head.) | |
제작 또는 카드 팩 |
2. 평가[편집]
머리 후려치기는 이론적인 무한한 밸류와 그에 상응하는 치명적인 템포 손실이라는 명확한 장단점을 동시에 지닌 카드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2마나 시절에 극대화되었다. 당시 악명 높았던 주문 도적(Miracle Rogue) 덱에서 이 카드는 단순한 피해 주문이 아니었다. 저렴한 비용으로 매 턴 주문 발동을 보장하며 가젯잔 경매인의 드로우를 촉발시키고, 퀘스트 중인 모험가나 에드윈 밴클리프의 공격력을 증폭시키는 핵심 엔진이었다. 손으로 계속 돌아오는 특성 덕분에, 덱에 단 한 장만 넣어도 마르지 않는 주문의 샘 역할을 하며 덱의 안정성을 비약적으로 상승시켰다. 이는 상대와 상호작용 없이 혼자 게임을 풀어나가는, 소위 벽게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한 원동력이었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3마나로 비용이 증가하며 명확해졌다. 3마나를 소모해 적 영웅에게 고작 2의 피해를 주는 것은 하스스톤 내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교환 중 하나다. 이는 카드를 소모하지 않는 사냥꾼의 영웅 능력과 동일한 효과를 내기 위해 1마나를 더 지불하는 셈이다. 연계 효과를 발동시키기 위해 다른 카드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는 점은 실질적인 비용을 4마나 이상으로 만들어, 극심한 템포 손실을 유발한다. 도적은 템포를 중시하는 직업인데, 머리 후려치기는 밸류 중심의 느린 카드이므로 근본적인 불일치가 발생한다. 하수인을 공격할 수 없다는 점 또한 필드 컨트롤이 중요한 대부분의 상황에서 이 카드를 무용지물로 만든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2마나 시절에 극대화되었다. 당시 악명 높았던 주문 도적(Miracle Rogue) 덱에서 이 카드는 단순한 피해 주문이 아니었다. 저렴한 비용으로 매 턴 주문 발동을 보장하며 가젯잔 경매인의 드로우를 촉발시키고, 퀘스트 중인 모험가나 에드윈 밴클리프의 공격력을 증폭시키는 핵심 엔진이었다. 손으로 계속 돌아오는 특성 덕분에, 덱에 단 한 장만 넣어도 마르지 않는 주문의 샘 역할을 하며 덱의 안정성을 비약적으로 상승시켰다. 이는 상대와 상호작용 없이 혼자 게임을 풀어나가는, 소위 벽게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한 원동력이었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3마나로 비용이 증가하며 명확해졌다. 3마나를 소모해 적 영웅에게 고작 2의 피해를 주는 것은 하스스톤 내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교환 중 하나다. 이는 카드를 소모하지 않는 사냥꾼의 영웅 능력과 동일한 효과를 내기 위해 1마나를 더 지불하는 셈이다. 연계 효과를 발동시키기 위해 다른 카드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는 점은 실질적인 비용을 4마나 이상으로 만들어, 극심한 템포 손실을 유발한다. 도적은 템포를 중시하는 직업인데, 머리 후려치기는 밸류 중심의 느린 카드이므로 근본적인 불일치가 발생한다. 하수인을 공격할 수 없다는 점 또한 필드 컨트롤이 중요한 대부분의 상황에서 이 카드를 무용지물로 만든다.
3. 역사[편집]
- 클로즈베타 시기 2마나였던 머리 후려치기는 주문 도적 덱의 핵심 카드로 메타의 일부를 정의했다. 가젯잔 경매인과의 연계를 통해 덱을 순환시키는 엔진 역할을 하며, 당시 가장 강력한 덱 유형 중 하나의 필수 부품으로 널리 쓰였다. 이 카드의 과도한 효율성과 비상호작용적인 플레이 패턴은 결국 비용 증가 너프로 이어졌다.
- 오리지널 2013년 10월 비용이 3마나로 증가한 이후, 머리 후려치기는 경쟁적인 메타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사실상 예능 카드로 전락했다. 커뮤니티에서는 지속적으로 최악의 카드 중 하나로 평가받았으며, 말리고스 도적 덱에서조차 더 효율적인 다른 주문들에 밀려 사용되지 않았다. 투기장에서는 필드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3마나 주문이라는 이유로 최악의 선택지 중 하나로 꼽힌다.
4. 기타[편집]
- 2019년 7월, James Zhang이 그린 어둡고 폭력적인 원본 아트가 Ludo Lullabi의 밝고 만화적인 아트로 교체되었다. 블리자드는 공식적으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밝혔으나, 커뮤니티에서는 중국의 검열이나 등급 심의를 위한 조치로 받아들이며 큰 논란이 일었다. 특히 원본 카드의 역동적이었던 황금 애니메이션이 정적인 버전으로 바뀐 것에 대해 많은 올드 유저들이 아쉬움을 표했다.
5. 업적[편집]
이름 | 조건 |
둔기외상 | 한 게임에서 머리 후려치기 7회 시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