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자카르타 수도특별구 휘장.png 자카르타 수도특별구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 로고.svg 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
입법,사법

파일:푸트라자야 연방 직할구 로고.svg 푸트라자야 연방 직할구
행정
파일:하노이시 문장.svg 하노이 중앙 직할시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반다르스리브가완시 CI.png 반다르스리브가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Kathmandu_city_logo.jpg 카트만두 광역시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예루살렘 휘장.svg 예루살렘 관구
정치

파일:텔아비브.svg 텔아비브 관구
경제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1. 개요

1. 개요[편집]

다마스쿠스시리아수도이자 최대도시다.[1]

다마스쿠스(Damascus)는 라틴어 명칭에 따른 표기이며, 현지에서 사용되는 공용어인 아랍어어로는 디마슈크, 한국 개신교 성경에서는 다메섹[2], 영어로는 다마스커스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류 문명이 시발한 중동 지역의 핵심 도시로 기능했기 때문에 도시 자체가 문화재라고 해도 무방하다.[3]

성경에서는 사도 바오로(바울)[4]이 이 곳에서 회심하고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와 관련한 영어 관용어구로 'road to Damascus', 번역하면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 이 있다.
[1] 시리아 내전 이전까지만 해도 인구로는 알레포가 최대도시고 다마스쿠스는 제2의 도시에 머물렀으나, 내전으로 알레포가 초토화되면서 다마스쿠스가 최대도시 지위까지 확보했다.[2] 현재 한국 가톨릭 성경에서는 라틴어 명칭을 반영해서 다마스쿠스라고 한다.[3] 실제로 다마스쿠스는 메소포타미아 다신교부터 시작해서 그리스 로마 다신교, 기독교, 이슬람 등 다양한 종교를 수용하고 그로부터 문화적 영향을 받았다.[4] 가톨릭 성경에서는 바오로, 개신교 성경에서는 바울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