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1. 개요2. 문자3. 표준 아랍어(푸스하)
3.1. 쿠란 아랍어3.2. 현대 표준 아랍어
4. 아랍어 방언(암미야)

1. 개요[편집]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이자 아랍인들의 언어.

중동과 아프리카에 걸친 광범위한 지역인 아랍권에서 널리 사용되며, 비아랍권에서도 이슬람 경전 쿠란의 언어로 널리 쓰이는데, 이와 같은 영향력 덕분에 UN 공식 언어로도 지정되었다.

2. 문자[편집]

아랍어는 주로 아랍 문자를 이용해 표기한다.

다만 일부 지역의 아랍어 방언은 로마자나 현지의 토착 문자로 표기되기도 한다.

3. 표준 아랍어(푸스하)[편집]

표준 아랍어는 푸스하라고 하며 이슬람 경전 쿠란의 아랍어에 기초를 두고 있다.

3.1. 쿠란 아랍어[편집]

이슬람 경전 쿠란의 아랍어로 아랍권은 물론이고 전세계 이슬람권의 쿠란은 이 언어로 작성된 것만이 경전으로서의 권위를 인정받는다.

다만 쿠란 아랍어는 예언자 무함마드가 활동하던 7세기 아랍어를 그대로 쓰고 있기에, 비아랍인은 물론이고 아랍인들도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데다, 7세기 이후에 생겨난 다양한 어휘를 포괄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어서 종교 활동 이외의 분야에서는 후술할 현대 표준 아랍어에 표준 지위를 내주게 되었다.

3.2. 현대 표준 아랍어[편집]

쿠란 아랍어를 현대적으로 개량한 아랍어로 오늘날 표준 아랍어 또는 푸스하라 하면 이 언어를 말하며, 아랍권 공영방송에서 사용하고 공교육에서 가르치는 아랍어, 그리고 비아랍인을 대상으로 한 아랍어 교재에서 가르치는 아랍어는 모두 이 언어를 말한다.

4. 아랍어 방언(암미야)[편집]

아랍어는 암미야라 불리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는데, 위에서 설명한 표준 아랍어(푸스하)를 유창하게 사용하는 사람들도 이해하기 어려운 방언이 다수고, 아랍인들끼리도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방의 방언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즉, 아랍어 방언들은 말이 방언이지 실질적으로는 다른 언어라 봐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