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종교 宗敎 | |
![]() |
1. 개요[편집]
초인간적인 존재를 숭상함으로써 행복을 얻고자 하는 사상.
2. 목록[편집]
2.1. 아브라함계 종교[편집]
2.2. 인도-이란계 종교[편집]
2.2.1. 인도계 종교[편집]
2.2.2. 이란계 종교[편집]
- 조로아스터교
- 미트라교
- 마니교
- 마즈다크교
2.3. 도 계통의 종교(동아시아계 종교)[편집]
- 중국계 종교
- 도교
- 유교[1]
- 마교(좡족)
- 일관도
- 한국계 종교
- 무속[2]
- 동학
- 천도교
- 시천교
- 수운교
- 원불교
- 증산계 종교
- 갱정유도
- 일본계 종교
- 신토
- 국가 신토
- 교파 신토
- 오모토
- 천리교
- 금광교
- 흑주교
- 슈겐도
- 류큐 신토
- 베트남계 종교
- 까오다이교(고대교)
- 호아하오교
2.4. 기타[편집]
위의 계통별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종교들이다.
2.4.1. 지역별 전통종교/민속신앙/고대 종교[편집]
2.4.2. 신흥종교[편집]
- 신이교주의
- 라엘리안 무브먼트
- 사이언톨로지
3. 신화[편집]
4. 경전[편집]
5. 종교인(성직자)[편집]
종교에 따라 성직자(신관, 사제 등), 수도자, 수행자, 승려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1] 종교가 아닌 철학으로 보는는 경우도 많지만, 동아시아에서 종교로 인식된 역사가 길다.[2] 조직적인 교세를 가진 교단은 없고 민간신앙 또는 전통문화의 형태로 존속하고 있다.[3] 현재 중국령이고 인도 문화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티베트에서 발달한 종교이나, 도 계통의 종교에도, 인도계 종교에도 포함되지 않는다.[4] 현재 인도령인 마니푸르 지방의 전통종교지만, 비교적 최근인 영국 식민지 시절에 편입되었기에 인도계 종교에 포함되지 않는다.[5] 현대 신이교로서의 드루이드가 아닌 고대 켈트족의 종교를 가리킨다.[6] 유라시아 대초원 유목민들의 종교로 해당 지역 주민들이 한자문화권과 영향을 주고받긴 했으나, 도 계통의 종교에는 포함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