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분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분류:분류에서 적절한 분류를 찾아 문서를 분류해주세요!
쿠웨이트국 دولة الكويت | State of Kuwait | ||
국기 | 국장 | |
국가 정보 | ||
국가명 | 쿠웨이트 | |
수도 | 쿠웨이트 | |
독립 | 1961년 6월 19일, 영국으로부터 독립 | |
언어 | 아랍어 | |
면적 | 178만 2천㏊ (156위) | |
인구 | 431만 108명 (128위) | |
국교 | 이슬람교 | |
종교 | 이슬람교 74.6% 기독교 18.2% 기타 종교 7.2% | |
경제개발 수준 | ||
상징 | ||
국기 | ||
정치 | ||
정치체제 | ||
군주 | 나와프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2020년 9월 30일 ~ 현직) | |
총리 | 아마드 나와프 알아마드 알사바 | |
외교 | ||
가입 국제기구 | ||
국가 코드 | ||
414, KW, KWT | ||
국제 전화 코드 | ||
+965 | ||
여행 경보 | ||
이라크 접경지역, Mutla'a, Jeleeb Al-Shuyoukh, Khaitan지역 여행자제 여행자제 지정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여행유의 |
1. 개요[편집]
2. 역사[편집]
1752년 쿠웨이트 셰흐국이 건국됐다. 1871년 오스만 제국 지배에 들어가 바스라 주의 일부가 됐다가 1899년 영국 보호령이 됐으며 헌법으로 민주주의가 채택되고 주권재민을 포함했으나 국가 원수는 사바가(家) 세습 군주였다.
1961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1990년에서 1991년 걸프 전쟁 때 이라크에 점령됐다. 1990년 이라크군이 쿠웨이트를 침공한 이후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자국의 19번째 주로 강제 편입했다. 알사바 국왕은 사우디아라비아로 도피하고 망명 정부를 세웠으며 1991년 1월 다국적군이 이라크를 축출하고 3월 국토를 되찾았다.
1961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1990년에서 1991년 걸프 전쟁 때 이라크에 점령됐다. 1990년 이라크군이 쿠웨이트를 침공한 이후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자국의 19번째 주로 강제 편입했다. 알사바 국왕은 사우디아라비아로 도피하고 망명 정부를 세웠으며 1991년 1월 다국적군이 이라크를 축출하고 3월 국토를 되찾았다.
3. 행정구역[편집]
쿠웨이트는 6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 알아마디주(Al Ahmadi)
- 알파르와니야주(Al Farwaniyah)
- 수도주(Al Asimah)
- 알자라주(Al Jahra)
- 하왈리주(Hawalli)
- 무바라크알카비르주(Mubarak Al-Kabeer)
쿠웨이트의 주요 도시로는 쿠웨이트시티와 알자라가 있다. 살미야와 하왈리는 많은 사람들이 주거하는 도시이고 상업적인 도시이다. 알아시마의 슈와이크는 공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쿠웨이트의 궁전인 아스-시프 궁전(As-Seef Palace)는 쿠웨이트 수도의 살로와라는 도시에 있다. 쿠웨이트의 에미르가 주거하는 곳이며, 정치적인 일이 해결되는 도시이다.
4. 정치[편집]
쿠웨이트는 명목상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군주의 칭호는 "아미르"(토후(土侯)라는 뜻)으로 유럽의 "공"(公) 또는 "대공"(大公)에 해당한다.
쿠웨이트는 걸프 아랍국에서는 유일하게 명실상부한 의회를 보유하고 있다. 군인과 공무원의 참정권은 허용되지 않고 있다. 쿠웨이트에서는 정당 결성이 금지되고 있으나 각각의 계층을 대변하는 정치단체가 6개 이상 존재하고 있으며 1997년부터 온건파 자유주의자들이 새로운 정치 운동 단체결성을 시도하였다. 1999년 자베르 국왕이 총선에서 대승했고 야당의 개혁파가 의회를 장악한다. 쿠웨이트는 당초 2003년부터 여성에게 투표권 및 피선거권을 부여할 계획이었으나 1999년 11월 의회에서 부결되었고 2005년 여성에게도 투표권이 부여되었다.
쿠웨이트는 걸프 아랍국에서는 유일하게 명실상부한 의회를 보유하고 있다. 군인과 공무원의 참정권은 허용되지 않고 있다. 쿠웨이트에서는 정당 결성이 금지되고 있으나 각각의 계층을 대변하는 정치단체가 6개 이상 존재하고 있으며 1997년부터 온건파 자유주의자들이 새로운 정치 운동 단체결성을 시도하였다. 1999년 자베르 국왕이 총선에서 대승했고 야당의 개혁파가 의회를 장악한다. 쿠웨이트는 당초 2003년부터 여성에게 투표권 및 피선거권을 부여할 계획이었으나 1999년 11월 의회에서 부결되었고 2005년 여성에게도 투표권이 부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