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복제 Duplicate | ![]() | |
등급 | ||
세트 | ||
직업 | ||
종류 | ||
![]() | ||
효과 | 비밀: 아군 하수인이 죽으면, 그 하수인을 둘 복사하여 내 손으로 가져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 카드를 복사해도 계정 정지를 피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입니다! (The one time when duping cards won't get your account banned!) | |
제작 |
2. 평가[편집]
복제는 막대한 후반 밸류 창출 잠재력과 그에 상응하는 명확한 템포 손실의 위험을 동시에 지닌 카드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3마나 투자로 핵심 하수인 카드 두 장을 확보하여 상대와의 자원 싸움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는 능력이다. 특히 썩은위액 누더기골렘이나 낡은 치유로봇 같은 강력한 도발 및 생존 하수인을 복제하는 데 성공하면, 상대편의 공격적인 덱을 상대로 거의 무한에 가까운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다. 후반부에는 실바나스 윈드러너나 켈투자드 같은 전설 하수인을 복제하여 상대편이 정리할 수 없는 필드를 만드는 것이 핵심 승리 전략이었다. 이 때문에 상대편은 어떤 하수인을 먼저 제거해야 할지 끊임없이 고민하게 만드는 심리적 압박을 가하는 데 탁월했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3마나를 투자하여 비밀을 거는 행위 자체가 초반 필드 싸움에서 막대한 템포 손실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미치광이 과학자의 도움 없이는 초반에 사용하기 매우 부담스러웠다. 또한 비밀 카드 특성상 상대 턴에만 발동하므로 발동 시점을 통제할 수 없으며, 상대가 의도적으로 1/1 토큰 하수인 같은 가치가 낮은 하수인을 먼저 공격하여 효과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명확한 한계를 지녔다. 변이나 사술 같은 변신 효과는 하수인 자체를 변신시켜 쓸모없는 하수인을 주게 만드는 완벽한 카운터이며, 손이 10장으로 가득 찼을 때 발동하면 카드가 타버리는 위험도 존재했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3마나 투자로 핵심 하수인 카드 두 장을 확보하여 상대와의 자원 싸움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는 능력이다. 특히 썩은위액 누더기골렘이나 낡은 치유로봇 같은 강력한 도발 및 생존 하수인을 복제하는 데 성공하면, 상대편의 공격적인 덱을 상대로 거의 무한에 가까운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다. 후반부에는 실바나스 윈드러너나 켈투자드 같은 전설 하수인을 복제하여 상대편이 정리할 수 없는 필드를 만드는 것이 핵심 승리 전략이었다. 이 때문에 상대편은 어떤 하수인을 먼저 제거해야 할지 끊임없이 고민하게 만드는 심리적 압박을 가하는 데 탁월했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3마나를 투자하여 비밀을 거는 행위 자체가 초반 필드 싸움에서 막대한 템포 손실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미치광이 과학자의 도움 없이는 초반에 사용하기 매우 부담스러웠다. 또한 비밀 카드 특성상 상대 턴에만 발동하므로 발동 시점을 통제할 수 없으며, 상대가 의도적으로 1/1 토큰 하수인 같은 가치가 낮은 하수인을 먼저 공격하여 효과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명확한 한계를 지녔다. 변이나 사술 같은 변신 효과는 하수인 자체를 변신시켜 쓸모없는 하수인을 주게 만드는 완벽한 카운터이며, 손이 10장으로 가득 찼을 때 발동하면 카드가 타버리는 위험도 존재했다.
3. 역사[편집]
- 낙스라마스의 저주에서 장의사 사냥꾼과 같은 공격적인 덱에 맞서기 위한 컨트롤 마법사 덱의 핵심 카드로 즉시 채용되었다. 특히 함께 출시된 미치광이 과학자의 죽음의 메아리로 비용 소모 없이 복제를 거는 콤보는 템포 손실이라는 가장 큰 약점을 완벽하게 보완해주었다. 썩은위액 누더기골렘을 복제하여 어그로 덱의 공세를 막아내는 것이 당시 컨트롤 마법사의 핵심 생존 전략이었다.
4. 기타[편집]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 동명의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카드는 낙스라마스의 지배자인 리치 켈투자드의 강령술 콘셉트에서 영감을 얻었다. 죽은 부하를 복제하여 다시 손으로 가져오는 효과는, 죽음을 다루고 하수인을 되살리는 켈투자드의 능력을 마법사의 비밀 주문 방식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 아티스트는 Alex Garner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온라인 게임에서 아이템이나 재화를 불법적으로 복제하는 행위(duping)를 유머러스하게 언급한 것이다. 게임의 규칙을 어기는 행위를 카드 효과에 빗대어 하스스톤 특유의 위트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