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전(하스스톤)
,
,
,
,
,
1. 개요2. 평가3. 역사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타사리안
Thassarian
파일:타사리안.png
등급
세트
직업
종류
파일:하스 마나.png 4
파일:공격력.png 3 | 파일:생명력.png 3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3
파일:Hearthstone-WeaponAttack.png 3 |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2
파일:Hearthstone-Armor.png 7
파일:생명력.png 3
효과
환생, 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 무작위 적에게 피해를 2 줍니다.
(기울임 효과 텍스트 작성)
플레이버
텍스트
타고난 지도자입니다. 환생했으니까 환골탈태한 거겠죠?
(A natural born leader. And an unnatural reborn leader.)
제작 또는 카드 팩

카드팩

확장팩 예약 구매
소환: 우리는 산 자들은 못 하는 걸 할 수 있소. (We do what the living cannot.)
공격: 칠흑의 기사단의 이름으로! (By the Ebon Blade!)

죽음의 기사고전 전설 카드.

2. 평가[편집]

타사리안은 한 장의 카드로 즉각적인 필드 영향력, 지속적인 위협, 그리고 자원 생성까지 모두 수행하는 매우 가치 높은 하수인이다. 4마나 3/3이라는 능력치 자체는 다소 낮지만, 이 카드의 진정한 힘은 여러 효과의 강력한 시너지에서 나온다.

우선, 전투의 함성으로 즉시 2의 피해를 입혀 상대의 저체력 하수인을 정리하거나 영웅에게 피해를 누적시켜 템포를 가져올 수 있다. 여기에 환생 능력 덕분에 3/3 본체가 파괴되더라도 3/1 하수인으로 다시 부활하여 필드에 끈질기게 살아남는다. 이 과정에서 죽음의 메아리가 두 번(본체 사망 시, 환생체 사망 시) 발동하여 총 6의 무작위 피해를 입힐 잠재력을 가진다.

또한, 환생으로 인해 두 번 죽는다는 점은 부정 죽음의 기사의 핵심 자원인 시체를 2구나 안정적으로 공급해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처럼 필드 정리, 필드 유지, 시체 생성이라는 세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냉기 룬을 단 하나만 요구하기 때문에 혈기나 부정 덱에서도 유연하게 채용할 수 있는 만능 카드다.

3. 역사[편집]

  • 히드라의 해
    • 리치 왕의 진군 출시 직후부터 타사리안은 번 주문과 하수인을 혼합하여 상대를 압박하는 냉기 죽음의 기사 덱의 핵심적인 4코스트 하수인으로 자리매김했다. 겨울의 전령으로 초반을 넘긴 후 등장하는 타사리안은 필드를 정리하고 게임의 주도권을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단일 냉기 룬만을 요구하는 유연성 덕분에, 혈기나 부정 룬을 중심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덱에서도 꾸준히 채용되었다. 특히 혈기 덱에서는 부족한 초중반 필드 장악력을 보완해주고, 부정 덱에서는 귀중한 시체를 공급해주는 등 다방면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4. 기타[편집]

  • 타사리안은 워크래프트 세계관에서 로데론의 군인이었으나, 스컬지와의 전투에서 사망한 후 리치 왕 아서스 메네실에 의해 되살아난 최초의 죽음의 기사 중 한 명이다. 그는 리치 왕의 정신 지배에서 벗어나 자유 의지를 되찾은 후, 칠흑의 기사단에 합류하여 리치 왕에게 대항했다.

    특히 그는 적대 진영인 호드의 블러드 엘프 죽음의 기사 콜티라 데스위버와 진영을 초월한 깊은 유대 관계를 맺은 것으로 유명하다. 하스스톤의 환생 키워드는 그가 죽음에서 돌아온 존재임을, 그리고 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로 반복해서 피해를 주는 효과는 꺾이지 않는 그의 투지를 잘 표현하고 있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타사리안의 배경 이야기를 재치있게 요약한 말장난이다. 타고난(natural born) 지도자는 그가 인간이었을 때의 모습을, 부자연스럽게 다시 태어난(unnatural reborn) 지도자는 그가 언데드 죽음의 기사로 부활한 것과 카드에 부여된 환생(Reborn) 키워드를 동시에 나타낸다.

5.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