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서울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의 서울에 대한 내용은 서울(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대한민국의 특별시
서울특별시
서울特別市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파일:서울특별시 시기.sv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1.jpg
시기
휘장
표어
파일:동행 매력 특별시 서울.jpg동행 매력 특별시 서울
기본 정보
국가
시청 소재지
하위 행정구역
25자치구
면적
605.2㎢[1]
상징
시화
개나리
시목
은행나무
시조
까치
인문 환경
인구
9,343,304명[2]
인구 밀도
15,438.37명/㎢[3]
정치
시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오세훈 (4선)[4]
교육감
진보

정근식 (초선)
경제
GRDP(명목상)
$3,841억(2022)[5]
1인당 GRDP(명목상)
$40,816(2022)[6]
기타 정보
지역번호
02
도시 코드
SEL
ISO 3166-2
KR-11
홈페이지
SNS
파일:서울 경치.jpg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 본 서울특별시
파일:서울특별시 야경.jpg
서울특별시의 야경
1. 개요2. 상징
2.1. 휘장2.2. 시기2.3. 시정 슬로건2.4. 슬로건2.5. 마스코트
3. 지명
3.1. 유래3.2. 순우리말3.3. 외국어 표기법
3.3.1. 동양3.3.2. 서양
3.4. 일반명사
4. 역사5. 지리
5.1. 위치5.2. 한강5.3. 산5.4. 인문지리5.5. 기후5.6. 교통5.7. 하위 행정구역
5.7.1. 서울특별시의 행정 단위5.7.2. 서울특별시 행정 구조
6. 인구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동행 매력 특별시 서울
Seoul My Soul
서울특별시대한민국수도이자 최대도시[7],정치,문화,인문,경제 등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도시이며, 경기도,인천광역시로 구성된 수도권의 중심인 도시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특별시로 지정된 도시로, 제1의 도시이다. 현재 인구는 약 9,343,304명이다.[8][9]
오랜 역사 동안, 서울은 우리나라의 수도였으며 오랜 역사를 가지고 다양한 명칭으로 개칭되었다. 백제 시대에 위례성[10]으로 시작으로 고려 시대에는 남경[11], 조선 시대에는 한양[12], 일제시대에는 경성부, 미군정 시기에는 서울특별자유시라고 불렸으며 1949년에 오늘날의 명칭으로 개칭되었다.
과거에는, 강북 지역중 일부만 서울로 구성되었으나 1970년대에 한강 이남으로 확장하면서 강남 지역을 개발하며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중앙으로 한강이 흐르고 여러 가지 산들로 둘러 쌓인 분지 지형 도시다.[13]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2002년 FIFA 월드컵, 2010 G20 정상 회의 등의 국제행사도 다수 개최한 국제적인 도시로 수도로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전통 건축물과 명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14]

2. 상징[편집]

2.1. 휘장[편집]

서울특별시의 휘장
파일:서울특별시 휘장1.jpg
한글 서울을 서울의 산, 해, 한강으로 나타내면서 전체적으로는 신명나는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인간 중심 도시를 지향하는 서울을 상징한다. 자연, 인간, 도시의 맥락 속에서 녹색 산은 환경 사랑, 청색 한강은 역사와 활력, 가운데 적색 해는 미래의 비전과 희망을 함축하고, 이 세 요소를 붓터치로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서울의 이미지와 사람의 활력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했다.
[ 역대 휘장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구 상징.jpg
1947년~1996년 10월 27일
이 휘장은 1947년 당시 서울특별자유시[15]를 둘러싸고 있던 8개의 산인 남산, 와우산, 안산, 인왕산, 북악산, 낙산, 무학봉, 응봉을 상징하는 8각의 외각 안에 도성을 나타내는 원을 넣은 모습이다. [16] 산하 구청에서는 1990년대 초중반까지 같이 썼고, 1990년대 중후반까지 서울 관내 동사무소 현판에 쓰이기도 했다. 지금은 쓰이지 않지만, 맨홀 등에 아직까지도 흔적들이 꽤 많이 남아있다.

2.2. 시기[편집]

서울특별시의 시기
파일:서울특별시 시기.svg
1996년부터 쓰이고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기이다.
[ 역대 시기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기(1946-1996).svg
1946년~1996년
1946년부터 1996년까지 쓰였던 서울특별시의 시기이다.

2.3. 시정 슬로건[편집]

서울특별시의 시정 슬로건
파일:동행 매력 특별시 서울.jpg
오세훈 시정 4기 서울시정 슬로건이다.[17]
[ 역대 시정 슬로건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창의 시정.jpg
오세훈 시정 1기 서울시정 슬로건이다.[18]
파일:서울특별시 디자인서울.jpg
오세훈 시정 2기 서울시정 슬로건이다.[19]
파일:서울특별시 희망 서울.jpg
박원순 시정 1기 서울시정 슬로건이다.[20]
파일:서울특별시 함께 서울.jpg
박원순 시정 2기~3기 서울시정 슬로건이다.[21][22]
파일:서울특별시 다시 뛰는 공정 도시 서울.jpg
오세훈 시정 3기 서울시정 슬로건이다.[23]

2.4. 슬로건[편집]

서울특별시의 브랜드와 슬로건
파일:seoul my soul.jpg
서울을 이루는 중심에는 사람이 있고 서울을 향한 다양한 마음이 모여 더 좋은 서울을 만들어 간다는 의미를 담았다. 영문 타이포 디자인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메타포(metaphor, 간접적이고 암시적인 은유)기법을 활용하여 서울에 대한 다양한 마음을 이미지화 했다. 하트(LOVE), 느낌표(INSPIRE), 웃음(FUN)은 각각 마음이 모여 사랑으로 가득 찬 도시 서울, 다채롭고 새로운 경험을 주는 도시 서울, 즐겁고 매력으로 가득 찬 매력 도시 서울을 의미하며 사람들의 다양한 마음이 모여 조화를 이루는 매력 있는 도시 서울을 상징한다.
(오세훈 4기)
[ 역대 브랜드와 슬로건 펼치기 · 접기 ]
파일:hi seoul.jpg
대한민국 최초의 지자체 브랜드이며 2002년 7월부터 2006년 11월 12일까지 사용되었다.
(이명박 시정)
파일:HiSeoul.svg
2006년 11월 13일에 기존의 서울시 브랜드에 Soul of Asia라는 슬로건을 추가하여 2015년 10월 27일까지 사용되었다.
(오세훈 1~2기, 박원순 1기)
파일:서울특별시 브랜드_I SEOUL U.svg
2015년 10월 28일부터 처음 사용되어 2015년 11월 24일에 부분 개정되었고 이후 2023년 8월 16일까지 사용됐던 서울시의 브랜드와 슬로건이다.
(박원순 2~3기, 오세훈 3기)

2.5. 마스코트[편집]

서울특별시의 마스코트
파일:해치와 소울프렌즈.jpg
해치와 소울 프렌즈
신 해치로, 2024년에 새롭게 리뉴얼되었다. 서울의 상징 캐릭터 해치는 서울의 600년의 문화, 역사와 함께한 상상의 동물인 해치를 형상화한 것으로서 정의와 안전을 지켜주고 꿈과 희망, 행복을 가져다주는 해치의 전통적 의미와 함께 맑고 매력 있는 세계도시인 서울의 비전을 전달하는 새로운 상징으로 재탄생되었다는 의미를 가졌다.
[ 역대 마스코트 펼치기 · 접기 ]
1995 - 1998
파일:서울정도600캐릭터.jpg
서울 정도 600 기념으로 만들어진 마스코트였으며, 다울이, 새울이, 신명이, 여울이로 구송되어 있다. 왕범이 캐릭터 개발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1998 - 2006
파일:서울특별시 구 마스코트_왕범이(리뉴얼 전).svg
구 왕범이로, 왕범이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의 마스코트인 호돌이와 호순이의 자식이라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2006 - 2009
파일:신 왕범이.jpg
신 왕범이로, 2006년 6월에 리뉴얼되었으며 사용된 기간이 짧아 대중에게 비교적 생소한 마스코트이기도 하다.
2009 - 2024
파일:서울특별시 해치.png
구 해치로, 2009년부터 2024년까지 약 15년간 사용되었던 마스코트 해치. 사용되었던 기간이 상당히 길었기에 대중 사이에서도 잘 알려진 캐릭터이기도 하다.

3. 지명[편집]

3.1. 유래[편집]

서울은 고대 시대부터 사용되어진 수도를 지칭하는 말인 서라벌에서 유래되었다는게 제일 유력한 학설으로, 서라벌을 우리말로 음역하면 서울[24]이 되는데 여기에서 따왔을 것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백제나 고구려,고려등에서도 수도를 지칭하는 말이 서울이 되었다는 흔적들이 있다. 결론적으로 수도를 지칭하는 일반명사가 서울이 되었다는 것이 같다.

3.2. 순우리말[편집]

수도를 지칭하는 순우리말 뜻을 담고 있는 지명으로, 대한민국의 (광역/기초)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순우리말 지명을 사용하고 있다.[25]

3.3. 외국어 표기법[편집]

언어별 명칭
서울
Seoul
Séoul
Seúl
Сеул
首尔 (Shǒu’ěr)
سول
首爾 (sau2 ji5)
Seoul
Сөүл
Seoul / Xơ-un
ソウル
首爾 (Shǒu’ěr)
โซล
سئول
סיאול
सियोल / सोल
Σεούλ
Seoel
Seoul
Seoul
Seul
Seul
Seul
Seul
Seulum
Seulo
한국에서 수도이기 때문에 과거부터 잘 알려진 도시로서, 유달리 외국어 표기법이 많이 존재한다.

3.3.1. 동양[편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순우리말[26] 지명이기 때문에 서울이라는 한자가 존재하지 않아 이전에는 중국에서는 서울을 한청[27]이라 불렀고, 1988년 서울올림픽도 한청올림픽[28]이라고 불렀으나, 한청[한성]과 서울의 발음 혼재로 인한 여러 가지 불편한 점 때문에, 2005년에 서울특별시가 서울과 발음이 유사한 셔우얼[30]을 서울의 공식적인 중국어 표기로 지정하면서 점차 이 표기가 확산되어 가는 추세이다. 일본어 공식 표기는 소우루[31]이다.

3.3.2. 서양[편집]

서울 로마자 표기 Seoul은 19세기 프랑스 선교사들이 서울을 쎄-울[32]로 표기한 데서 비롯했다. 오늘날 프랑스에서는 서울을 Séoul로 표기하고, 스페인어권에서는 Seúl로 쓰나 모두 쎄울로 읽는다. 또, 영미권에서는 일반적으로 Seoul로 쓰고 영혼을 뜻하는 단어 Soul처럼 '쏘울'로 읽는다.[33]

3.4. 일반명사[편집]

많은 국민들이 모르는 내용이지만 서울은 국어사전에 따르면 고유명사가 아닌 수도[34]를 지칭하는 일반명사이다.
즉,이런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영국의 서울은 런던이다.
미국의 서울은 워싱턴D.C이다.
독일의 서울은 베를린이다.
하지만,현재 서울은 거의 서울특별시를 가리키는 고유명사로 쓰이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것이 고유명사화된 일반명사라고 정의할 수 있다.

4. 역사[편집]

5. 지리[편집]

5.1. 위치[편집]

서울은 한반도 중부에 위치하고, 북쪽으로는 북한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경기도와 인접해 있다.서울의 면적은 약 605.21㎢로, 대한민국의 광역시 중에서 가장 크며,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핵심 부분을 차지한다.

5.2. 한강[편집]

서울을 가로지르는 한강은 서울의 주요 지리적 특징 중 하나이다. 한강은 서울을 동서로 나누며, 서울의 많은 주요 시설과 교량들이 한강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한강은 다양한 문화 및 레저 활동의 중심지로, 시민들의 중요한 휴식 공간이다.

5.3. [편집]

서울은 전반적으로 산지가 많은 지형을 갖고 있다. 서울을 둘러싼 산들은 도시의 자연 환경과 풍경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서울의 대표적인 산으로 북한산(북쪽), 관악산(남서쪽), 도봉산(북동쪽), 청계산(동남쪽) 등이 있다.이 산들은 서울 시민들의 등산과 야외 활동의 명소이며, 서울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로도 유명하다.

5.4. 인문지리[편집]

서울의 주요 도심은 한강을 따라 형성된 평지에 위치하고 있다. 강을 따라 다양한 주거지와 상업 지구들이 발달했으며, 서울의 경제적 중심지인 강남, 광화문, 명동, 여의도 등은 모두 한강을 기준으로 넓은 평지에 자리잡고 있다.

5.5. 기후[편집]

서울의 기후는 대륙성 기후와 온대 기후가 혼합된 형태로, 사계절이 뚜렷하다. 여름은 덥고 습하며, 겨울은 춥고 건조한 특징을 보인다. 가을과 봄은 상대적으로 기온이 온화하고, 특히 가을은 서울에서 가장 아름다운 계절로 여겨진다.

5.6. 교통[편집]

서울은 지하철을 포함한 다양한 대중교통 시스템이 잘 발달되어 있어, 이동이 매우 편리한 도시이다. 또한 서울에는 서울역, 김포국제공항 등 주요 교통 중심지가 있어, 국내외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톡톡히 하는중이다.

5.7.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서울특별시 자치구.svg
서울특별시[35]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행정 구역상 특별시로, 전국에서 가장 큰 인구를 자랑하는 도시이다. 서울특별시는 25개의 자치구로 나뉘어 있으며, 각 자치구는 독립적인 행정적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서울특별시 정부의 관할 아래에서 운영된다. 이들 자치구는 또 다시 여러 개의 동[36]으로 나뉘어 있다.

5.7.1. 서울특별시의 행정 단위[편집]

서울특별시의 기본적인 행정 단위는 구[37]이다. 각 구는 다시 동[38]으로 나누어지며, 동은 서울의 가장 작은 행정 단위이다. 서울에는 약 423개의 동이 있으며, 각 동은 주민자치센터와 주민등록기관 등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5.7.2. 서울특별시 행정 구조[편집]

서울특별시의 행정은 시장[39] 중심으로 운영된다. 시장은 서울특별시를 대표하며, 서울특별시청에서의 정책 결정과 행정을 이끌어간다. 서울시청은 서울의 행정 중심지로, 서울의 주요 정책이 집행되는 곳이다.
서울특별시의 구청은 자치구를 관리하며, 구청장은 해당 구의 행정 업무를 맡고 있다. 구청장과 시장은 각자 선출직으로, 서울 시민들의 직접적인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

6. 인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특별시/인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둘러보기[편집]

[1] 2023년 12월 기준 국토교통부 국토 면적 현황[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3] 2024년 10월 기준[4] 민선만으로 광역자치단체장 4선을 한 기록은 오세훈이 유일하다. 단, 중간에 시장이 바뀐 적이 있으니 4선 연임은 아니다. 참고로 광역자치단체장 연임은 3번까지만 가능하다.[5] # 적용 환율[6] # 적용 환율[7] 법률상 제1의 도시로 지정되어 있다.[8] 2025년 기준[9] 과거에는 인구가 1000만 이상이었으나 1994년부터 지속해서 떨어졌다.[10] 백제의 수도로 현재 서울 동남부 지역(송파구)와 하남시 지역으로 이루어졌다.[11] 고려 시대 3대 도시 중 하나였다.[12] 공식 명칭은 한성이었다.[13] 북한산,관악산,도봉산,불암산,인릉산,청계산,아차산 등[14] 평균해발은 38m다.[15] 미군정기 서울의 행정명[16] 도봉산, 관악산 등이 없는 이유는 이들 지역은 이 당시에는 아직 서울시 행정구역이 아니었기 때문이다.[17] 2022년~현재[18] 2006년~2010년[19] 2010년~2011년[20] 2011년~2014년[21] I·SEOUL·U가 제정되기 이전까지 Hi seoul를 대신해서 사용되었다.[22] 2014년~2021년[23] 2021년~2022년[24] 셔ᄫᅳᆯ → 셔울 → 서울[25] 읍/면/동 단위로 내려가먼 세종특별자치시에 순우리말로 된 지명이 존재한다.[26] 수도를 지칭한다.[27] 중국어 간체자: 汉城, 정체자: 漢城, 병음: Hànchéng, 한성[28] 혹은 한성올림픽이라고 불렸다.[한성] [30] 중국어 간체자: 首尔, 정체자: 首爾, 병음: Shǒu'ěr, 수이[31] 글자로는(ソウル)이다.[32] Sé-oul[33] 서울시에서는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오세훈 서울시장 재임 기간에 도시 브랜드를 《seoul is my soul》로 지정하였다.[34] 국어사전에서는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고, 경제, 문화, 정치 등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도시'라고 정의하고 있다.[35] 서울特別市, Seoul Special City[36][37][38][39] May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