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후삼국시대에 견훤이 세운 국가에 대한 내용은 후백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백제
百濟
Bakjae
파일:백제의 지도 (4세기, 진출지 표시).png
건국
기원전 18년
멸망
660년
수도
위례성(한성)[1]
웅진성[2]
사비성[3]
국교
백제 토착신앙(초기)
불교(침류왕 이후)
멸망 이후

1. 개요2. 국호 역사3. 지리
3.1. 수도3.2. 행정구역
4. 역사
4.1. 한성백제4.2. 웅진백제4.3. 사비백제4.4. 멸망 이후
4.4.1. 백제부흥운동4.4.2. 후백제
5. 언어6. 외교 관계7. 정치
7.1. 국왕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반도 서남부에 있었던 고대 국가.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삼국의 일원으로서 경쟁했다.

2. 국호 역사[편집]

십제[6] -> 백제 -> 남부여 [7]

3. 지리[편집]

3.1. 수도[편집]

처음, 온조가 마한한테서 땅을 빌려 나라이름을 십제라 짓고 수도를 위례성에 세웠다. 그리고 이는 그대로 한강덕분에 백제가 제일 먼저 전성기를 이끌었다.

하지만, 5세기에 고구려가 침략하여 수도를 웅진성(공주)으로 옮겼다.

그리고 이후 성왕이 수도를 사비 (부여) 로 옮겨서 다시 한번 백제를 일으켜세우려 했으나..[8]

3.2. 행정구역[편집]

대목악군
가림군
설림군
마시산군
혜군
소부리군
풍달군
황등야산군
우술군
결이군
일모산군
기군
탕정군
완산군
고룡군
대시산군
고사부리군
진잉을군
덕근군
시산군
도실군
금마저군
백이군
임실군
무진군
분차군
복홀군
추자혜군
월나군
무시이군
감평군
욕내군
이릉부리군
파부리군
발라군
도무군
물아혜군
인진도군

... 등이 있다.

4. 역사[편집]

4.1. 한성백제[편집]

4.2. 웅진백제[편집]

4.3. 사비백제[편집]

4.4. 멸망 이후[편집]

4.4.1. 백제부흥운동[편집]

4.4.2. 후백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후백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언어[편집]

고구려어 와 마한어를 사용했을 거라고 추정한다.

6. 외교 관계[편집]

6.1. 고구려[편집]

4세기 때 고국원왕을 죽여 원수가 되어 이는 5세기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이후 나당동맹으로 인해 위협이 느껴졌는지 돌궐-고구려-백제-가야-일본이 동맹을 맺어 관계가 약간 이나마 계선되었다.

6.2. 신라[편집]

자신의 나라를 멸망시킨 주적, 즉 고구려 보다도 관계가 나쁘다. 다만 항상 나쁘기만 한건 아니였는데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한 때는 동맹(나제동맹)을 맺기도 하였다.

6.3. 가야[편집]

가야의 철광석 때문이지는 몰라도 나쁘지 않게 잘 지냈다.

6.4. 야마토(일본)[편집]

공식적인 협력을 하고, 이는 당나라신라가 쳐들어왔을 때도 일본이 백제를 지원한 이력이 있다.

7. 정치[편집]

7.1. 국왕[편집]

[ 펼치기 · 접기 ]
초대

온조왕
제2대

다루왕
제3대

기루왕
제4대

개루왕
제5대

초고왕
제6대

구수왕
제7대

사반왕
제8대

고이왕
제9대

책계왕
제10대

분서왕
제11대

비류왕
제12대

계왕
제13대

근초고왕
제14대

근구수왕
제15대

침류왕
제16대

진사왕
제17대

아신왕
제18대

전지왕
제19대

구이신왕
제20대

비유왕
제21대

개로왕
제22대

문주왕
제23대

삼근왕
제24대

동성왕
제25대

무령왕
제26대

성왕
제27대

위덕왕
제28대

혜왕
제29대

법왕
제30대

무왕
제31대

의자왕
멸망 이후
대방군왕

부여융
대방군왕

부여경

8. 관련 문서[편집]

[1] 지금의 서울특별시.[2]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시.[3] 지금의 충청남도 부여군.[4] 통일신라[5] 웅진도독부[6] 건국 초기[7] 성왕이 국호를 변경하였으나 이는 일시적일 현상으로 대부분의 학자가 추정한다.[8] 신라, 당나라와의 전투에서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