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알림] 알파위키는 여러분의 기여가 필요합니다. 신규 이용자이신 경우 먼저 알파위키:도움말 문서를 확인해 주세요.
[선거] 19기 운영진 선출 후보자 등록 기간입니다.
[이벤트] 2023년 11월 알파위키 포인트 이벤트가 진행 중입니다.
[선거] 19기 운영진 선출 후보자 등록 기간입니다.
[이벤트] 2023년 11월 알파위키 포인트 이벤트가 진행 중입니다.
일본어 (日本語) 화어 (和語) | 일어 (日語) Japanese (language) | ||
![]() | ||
유형 | 교착어 | |
문자 | ||
원어민 | 약 1억 3,000만 명 | |
주요 사용 국가 및 지역 | ||
언어 코드 | ||
ISO 639-1 | ja | |
ISO 639-2 | jpn | |
ISO 639-3 | jpn |
1. 개요[편집]
2. 문자[편집]
일본어는 가나 문자, 한자를 통해 표기된다.
2.1. 가나 문자[편집]
가나문자의 경우는 히라가나(平仮名)와 가타카나(片仮名)로 나뉘며, 히라가나는 平이라는 이름대로 한자의 필기체인 초서체에서 따온 가나이고 가타카나는 片이라는 이름대로 한자의 일부분을 따온 가나이다. 현재 일본은 히라가나가 보편적이고 가타카나는 외래어, 의성어, 의태어 등의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중이지만 과거에는 가타카나가 보편적이었다.
2.2. 한자[편집]
우리가 아는 정체자가 아닌 일본만의 한자인 신자체(新字体)를 사용한다. 정체자의 경우에는 과거 자체라는 뜻의 구자체(旧字体)라고 칭한다.
3. 사용국 목록[편집]
4. 어족[편집]
언어학계에서는 일본어와 류쿠어를 한데 묶어 일본어족 또는 일류어족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일본어와 류쿠어를 개별 언어로 보거나 일본어족 밑에 일본어파와 류쿠어파, 그 밑에 여러 방언을 각각 언어로 보는 등 수많은 분류 방식이 존재하며 아직 언어학계에서도 정리가 되지 않았다. 유네스코에서는 류쿠어를 한 어파로 보고 그 밑에 여러 섬들의 방언들을 각각 별개 언어로 보고 있으며, 그 각 언어들을 소멸위기 언어들로 보고 있다. 또 이 일본어족이 고대에 한반도 남부에 있었다는 내용의 학설이 있는데, 그것이 알렉산더 보빈 교수가 주장한 반도 일본어설이다.
5. 조어[편집]
일본어족이 한반도를 거쳐가기 이전에 원향지로는 언어학자 알렉산더 보빈이 주장한 중국 남부 지역[4], 요서 지방, 일본 규슈 지역등이다.
6. 여담[편집]
は행은 나라 시대이전에 (p)발음을 냈었다.
な행 조차도 마찬가지, 고대 일본어에서는 な행의 탁음은 だ행이다.
な행 조차도 마찬가지, 고대 일본어에서는 な행의 탁음은 だ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