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힘의 축복 Blessing of Might | ![]() | |
등급 | ||
세트 | ||
직업 | ||
종류 | ||
![]() | ||
효과 | 하수인에게 공격력을 +3 부여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 "이런 내가 힘까지 세지면 어떨 것 같아?" - 토드 매클, 최근에 상향된 징벌 성기사 ("As in, you MIGHT want to get out of my way." - Toad Mackle, recently buffed.) | |
야생전 잠금 해제 |
2. 평가[편집]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1마나로 즉시 3의 추가 피해를 기대할 수 있다는 압도적인 비용 효율성이다. 이 때문에 초반부터 필드를 장악하려는 어그로 성기사 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1 신병 같은 약한 하수인도 순식간에 위협적인 공격수로 만들 수 있으며, 이미 공격이 가능한 하수인에게 사용하여 예상치 못한 피해를 주거나 상대의 강력한 하수인을 제거하는 유리한 교환을 만드는 데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필드에 하수인이 존재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는 명백한 한계를 가진다. 필드가 비어있을 경우 손에서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하며, 버프를 받은 하수인이 공격해보기도 전에 제압기나 침묵 효과로 제거되면 1마나와 카드 한 장을 그대로 손해 보는 결과를 낳는다. 또한, 생명력을 전혀 올려주지 않기 때문에 하수인의 생존력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도 명확한 단점이다.
하지만 필드에 하수인이 존재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는 명백한 한계를 가진다. 필드가 비어있을 경우 손에서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하며, 버프를 받은 하수인이 공격해보기도 전에 제압기나 침묵 효과로 제거되면 1마나와 카드 한 장을 그대로 손해 보는 결과를 낳는다. 또한, 생명력을 전혀 올려주지 않기 때문에 하수인의 생존력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도 명확한 단점이다.
3. 역사[편집]
- 힘의 축복은 출시 초기부터 다양한 어그로 성기사 덱의 핵심 부품으로 활약했다. 1마나라는 낮은 비용으로 공격력을 +3이나 높여주는 효율 덕분에, 초반 필드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거나 예상치 못한 순간에 폭발적인 피해를 입혀 게임을 끝내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었다. 초창기부터 존재했던 어그로 성기사 덱에서 힘의 축복은 빠지지 않는 카드였다. 은빛십자군 종자나 영웅 능력으로 소환된 은빛 성기사단 신병 같은 저비용 하수인에게 사용하여 초반부터 강력한 압박을 가하는 것이 주된 전략이었다. 생명력 버프가 없는 대신 공격력에만 집중된 효과는, 하수인의 생존보다 상대 영웅의 명치를 빠르게 공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덱의 방향성과 완벽하게 일치했다.
- 까마귀의 해
- 마녀숲 확장팩에서 달을 삼킨 구렁이 바쿠가 등장하며 탄생한 홀수 성기사 덱에서도 힘의 축복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강화된 영웅 능력으로 1/1 신병을 둘씩 전개할 수 있었기 때문에, 힘의 축복을 사용할 대상이 항상 필드에 존재했다. 이를 통해 필드를 순식간에 위협적인 공격수들로 채우고 레벨 업! 같은 카드로 경기를 마무리하는 강력한 시너지를 만들어냈다.
4. 기타[편집]
- 이 카드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W) 성기사의 동명 기술인 힘의 축복(Blessing of Might)에서 유래했다. WoW에서 이 기술은 아군의 전투력이나 숙련도를 올려주는 핵심 강화 효과 중 하나였으며, 여러 확장팩을 거치며 효과가 변경되다가 결국 다른 기술로 대체되거나 삭제되었다.
- 이 카드의 삽화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TCG의 무한한 힘(Boundless Might)이라는 카드에서 가져온 것이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Might라는 단어의 힘과 ~일지도 모른다는 두 가지 의미를 활용한 말장난이다. 토드 매클이라는 인물은 이 플레이버 텍스트를 위해 만들어진 가상의 인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