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할퀴기 Claw | ![]() | |
등급 | ||
세트 | ||
직업 | ||
종류 | ||
![]() | ||
효과 | 방어도를 +2 얻고, 이번 턴에 내 영웅이 공격력을 +2 얻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 남자 캐릭터에겐 민망함을 무릅쓰고 상대를 할퀼 용기를 주는 카드입니다. (The claw decides who will stay and who will go.) | |
야생전 잠금 해제 |
쉬엔: 내 힘을 느껴라! (Feel my might!)
2. 평가[편집]
할퀴기는 낮은 비용으로 공수 양면에서 즉각적인 이득을 제공하는 유틸리티 카드다. 이 카드의 핵심 가치는 1마나로 기본 영웅 능력을 뛰어넘는 효율을 보여주며, 초반 필드 싸움에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이 카드의 주된 강점은 초반 템포 장악 능력이다. 1마나로 +2 공격력을 얻어 상대의 저체력 하수인을 정리하는 동시에, 방어도 +2 효과로 영웅이 받는 피해를 상쇄할 수 있다. 이는 드루이드의 영웅 능력과 결합될 때 더욱 빛을 발하는데, 2마나 영웅 능력과 함께 사용하면 총 3의 공격력과 3의 방어도를 얻는 효과를 낸다. 이러한 유연성은 초반 필드 주도권을 잡거나, 후반에 부족한 피해를 보충하는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야생의 포효나 야생성과 같은 영웅 공격력 시너지 카드와 연계하여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잠재력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카드는 게임 후반으로 갈수록 그 가치가 급격히 하락한다는 명확한 한계를 가진다. 후반에는 1마나로 얻는 +2 공격력과 +2 방어도가 필드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며, 카드 한 장을 소모하기에는 비효율적인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게임의 파워 인플레이션이 진행되면서, 할퀴기는 더 효율적인 다른 카드들에 밀려 점차 경쟁력을 잃게 되었다.
이 카드의 주된 강점은 초반 템포 장악 능력이다. 1마나로 +2 공격력을 얻어 상대의 저체력 하수인을 정리하는 동시에, 방어도 +2 효과로 영웅이 받는 피해를 상쇄할 수 있다. 이는 드루이드의 영웅 능력과 결합될 때 더욱 빛을 발하는데, 2마나 영웅 능력과 함께 사용하면 총 3의 공격력과 3의 방어도를 얻는 효과를 낸다. 이러한 유연성은 초반 필드 주도권을 잡거나, 후반에 부족한 피해를 보충하는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야생의 포효나 야생성과 같은 영웅 공격력 시너지 카드와 연계하여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잠재력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카드는 게임 후반으로 갈수록 그 가치가 급격히 하락한다는 명확한 한계를 가진다. 후반에는 1마나로 얻는 +2 공격력과 +2 방어도가 필드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며, 카드 한 장을 소모하기에는 비효율적인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게임의 파워 인플레이션이 진행되면서, 할퀴기는 더 효율적인 다른 카드들에 밀려 점차 경쟁력을 잃게 되었다.
3. 역사[편집]
- 초창기 하스스톤에서는 어그로 드루이드나 미드레인지 드루이드 덱에서 초반 필드 싸움을 위해 채용되곤 했다.
4. 기타[편집]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W)에서 할퀴기(Claw)는 드루이드, 특히 야성 전문화 드루이드가 표범 변신(Cat Form) 상태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근접 공격 기술이다. 이 기술은 날카로운 발톱으로 적을 할퀴어 물리 피해를 입히고, 도적의 연계 점수처럼 콤보 포인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하스스톤의 할퀴기는 이러한 야성 드루이드의 핵심적인 공격 방식을 영웅에게 공격력 부여라는 형태로 단순화하여 구현했다. 방어도를 함께 얻는 것은 드루이드가 변신을 통해 단단해지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공격과 방어가 조화를 이루는 드루이드의 콘셉트를 잘 살린 재해석이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픽사(Pixar)의 애니메이션 영화 토이 스토리(Toy Story)에 등장하는 유명한 장면을 패러디한 것이다. 영화 속 인형 뽑기 기계 안의 외계인 인형들은 집게(The Claw)를 신적인 존재로 숭배하며 "갈고리가 누구를 남기고 누구를 보낼지 결정한다(The Claw chooses who will go and who will stay)"고 외친다. 하스스톤은 이 대사를 차용하여, 드루이드의 발톱이 필드 위의 하수인들의 생사를 결정하는 절대적인 힘을 가진 것처럼 묘사함으로써 카드의 효과를 위트 있게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