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전(하스스톤)
,
,
,
,
,
1. 개요2. 평가3. 역사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야생의 힘
Power of the Wild
파일:야생의 힘.png
등급
세트
직업
종류
파일:하스 마나.png 2
파일:공격력.png 15 | 파일:생명력.png 15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3
파일:Hearthstone-WeaponAttack.png 3 | 파일:Hearthstone-Durability.png 2
파일:Hearthstone-Armor.png 7
파일:생명력.png 7
효과
선택 - 내 하수인들에게 +1/+1을 부여합니다. 또는 3/2 표범을 소환합니다.
(기울임 효과 텍스트 작성)
플레이버
텍스트
표범을 만났을 땐 표범과 눈을 마주치지 마십시오. 아니, '계속 표범의 눈을 보십시오'였던가? 뭐 둘 중 하나였던 것 같습니다.
(Never look a panther in the eye. Or is it 'Always look a panther in the eye'? Well, it's one of those.)
제작 또는 카드 팩

카드팩

확장팩 예약 구매
[ 관련 카드 ]

드루이드고전 일반 카드.

2. 평가[편집]

야생의 힘은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카드다. 이 카드의 핵심 가치는 2마나라는 저렴한 비용으로 필드 강화와 필드 전개라는 두 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이 카드의 주된 강점은 압도적인 유연성이다. 필드에 다수의 하수인이 깔려 있을 때는 광역 +1/+1 버프를 선택하여 필드를 순식간에 강력한 위협으로 바꿀 수 있다. 이는 보랏빛 여교사살아있는 뿌리 등으로 다수의 토큰을 전개하는 토큰 드루이드 덱에서 게임을 굳히거나 마무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반대로 필드가 비어있거나 초반에 하수인이 필요할 때는 3/2 표범을 소환하여 템포를 잡을 수 있다. 2마나에 3/2 능력치는 그 자체로도 준수한 초반 하수인이다.

하지만 이 카드의 선택지는 각각 명확한 한계를 가진다. 광역 버프 효과는 필드에 하수인이 없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말림 패가 된다. 표범 소환 역시 게임 후반으로 갈수록 2마나로 3/2 하수인 하나를 내는 것은 템포 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플레이가 된다. 결국 이 카드의 가치는 현재 필드 상황과 덱의 전략에 따라 극명하게 갈리며, 어느 한쪽으로 특화된 카드들에 비해 개별적인 효과의 위력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3. 역사[편집]

  • 야생의 힘은 하스스톤 초창기부터 토큰 드루이드 덱의 핵심 카드로 활약했다. 보랏빛 여교사로 토큰을 생성하고, 야생의 힘야생의 포효로 강화하여 한 번에 폭발적인 피해를 입히는 전략은 당시 드루이드의 대표적인 승리 공식 중 하나였다. 2마나라는 저렴한 비용으로 필드를 강화하거나 하수인을 보충하는 능력은 어떤 상황에서도 유용했기 때문에 거의 모든 토큰 기반 드루이드 덱에 두 장씩 채용되었다.

4. 기타[편집]

  • 야생의 힘은 자연의 힘을 다루는 드루이드의 두 가지 측면을 보여준다. 내 하수인들에게 +1/+1 부여는 자연의 생명력으로 아군 전체를 강화하는 드루이드의 지원가적인 면모를 나타낸다. 이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W)에서 드루이드가 파티원 전체에게 이로운 효과를 주는 야생의 징표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 반면, 3/2 표범 소환은 야성 드루이드가 야수와 교감하거나 직접 표범으로 변신하여 싸우는, 자연의 흉포하고 원초적인 힘을 상징한다. 이처럼 두 가지 선택지는 드루이드의 다재다능한 역할을 한 장의 카드에 잘 녹여냈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야생 동물을 대하는 방법에 대한 상반된 속설을 나열하며 불확실성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한다. "표범의 눈을 보지 마라"와 "표범의 눈을 똑바로 봐라"는 두 가지 상반된 조언을 던진 뒤, "둘 중 하나인데..."라며 무책임하게 결론을 내리는 모습은 이 카드가 가진 선택의 딜레마를 재치있게 비유한다. 어떤 선택이 정답일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결정을 내려야 하는 플레이어의 고민을, 야생의 위험 앞에서 갈팡질팡하는 모습에 빗대어 표현한 영리한 텍스트다.

5.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