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25기 운영진 선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모콜리이 | 중국인 모자 섬
Mokoliʻi | Chinaman's Hat
파일:Chinaman_S_Hat_(44276788).jpg
모콜리이 섬
분류
형태
침식 된 순상 화산 능선의 일부 (사화산)
위치
태평양 하와이 제도
북위 21°30′33″서경 157°49′51″
최고점
63m
면적
0.036 km²
국가
행정 구역
주요 도시
없음 (무인 바위섬)
1. 개요2. 명칭과 하와이 신화
2.1. 차이나맨의 모자 명칭 논란
3. 생태계 변화 및 보전 노력4. 역사 및 공공 접근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모콜리이 섬(Mokoliʻi)은 하와이 오아후 섬의 카네오헤 만에 위치한 작은 현무암 섬으로, 쿠알로아 지역 공원에 속해 있다. 이 섬은 본래 코올라우 산의 일부였으며, 오랜 세월 동안 해양 침식에 의해 본토에서 분리되었다. 현재 면적은 약 0.037km²이며, 쿠알로아 포인트에서 약 0.54km 떨어져 있다.

이 섬은 비교적 낮은 해발고도와 가파른 경사를 가진 원뿔형 구조를 하고 있으며, 하와이 원주민들에게 신화적·문화적 의미를 지닌 중요한 장소이다. 1975년, 모콜리이 섬은 호놀룰루 시와 카운티가 매입하면서 공공 소유로 전환되었으며, 현재는 주립 및 연방 공원 규정에 따라 보호되고 있다.

2. 명칭과 하와이 신화[편집]

모콜리이(Mokoliʻi)라는 이름은 하와이어로 "작은 도마뱀"을 의미하며, "모코(moko)"는 도마뱀 또는 용과 같은 신화적 생물을 뜻하고, "리이(liʻi)"는 작다는 의미를 가진다.

하와이 신화에 따르면, 화산 여신 펠레(Pele)의 여동생 히이아카(Hiʻiaka)가 펠레의 연인을 찾기 위해 여행하던 중, 쿠알로아에서 사악한 거대 도마뱀을 처치하였다. 이 도마뱀의 꼬리 부분이 바다에 떨어져 모콜리이 섬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모콜리이와 가까운 본토 지역인 하키푸우 또한 이 전설과 관련이 있다. "하키(haki)"는 부러진 것을 의미하고, "푸우(puʻu)"는 언덕 또는 등을 뜻하는데, 이는 하와이 원주민들이 거대한 도마뱀의 부러진 척추로 해석한 것과 관련이 있다.

2.1. 차이나맨의 모자 명칭 논란[편집]

서구권에서는 모콜리이 섬을 오랫동안 "차이나맨의 모자(Chinaman’s Hat)"라는 별칭으로 불러 왔다. 이는 섬의 원뿔형 모양이 동아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삿갓과 닮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와이 원주민들은 이러한 명칭이 하와이 신화를 바탕으로 한 문화적 의미를 축소시키고, 단순한 물리적 형태만을 강조하는 문제를 지적해 왔다. 하와이 대학 교수 쿠우알로하 호오마나와누이는 "이 명칭은 하와이 원주민의 땅과 신화를 지우는 결과를 낳는다"고 비판하며, 원래의 이름인 모콜리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2007년, 하와이 주 의회는 관광 당국이 공식적으로 "차이나맨의 모자"라는 명칭 사용을 자제하도록 요청하는 결의안을 제출했으나, 법안은 통과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와이 원주민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모콜리이라는 명칭을 복원하려는 운동이 계속되고 있다.

3. 생태계 변화 및 보전 노력[편집]

모콜리이 섬의 생태계는 외래종의 유입으로 인해 큰 영향을 받아왔다. 특히 검은쥐와 노랑미친개미가 조류 번식과 식생에 악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모콜리이 섬에서 번식하는 유일한 주요 바닷새는 쐐기꼬리 슴새이다.

최근 연구(KD Bahr, RJ Toonen, 2015)에 따르면, 하와이 제도 내 작은 섬들의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으며, 침입종이 생태계 균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하와이 주 정부와 연구자들은 2002년부터 쥐 및 개미 제거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일부 해안 지역에서는 토착 식물이 다시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현재 모콜리이 섬에는 총 72종의 식물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대부분이 외래종이다. 그러나 일부 해안 지역에서는 하와이 자생 식물이 다시 자리 잡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아후아와, 나우파카, 일리마 등이 포함된다. 반면, 섬의 경사면에는 란타나, 스페인 바늘, 크리스마스베리등의 외래종이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다.

1983년,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국(USFWS)은 모콜리이 섬을 카터 패닉그라스의 중요한 서식지로 지정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인 생태계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4. 역사 및 공공 접근[편집]

모콜리이 섬은 1840년 미국 탐험대[1]가 카네오헤 만의 항로 지도를 작성하면서 "나무 섬(Wood Island)"이라는 이름으로 표기한 기록이 남아 있다.

한동안 사유지였던 모콜리이 섬은 1975년, 호놀룰루 시와 카운티가 매입하면서 공공 소유로 전환되었다. 현재 이 섬은 호놀룰루 시 및 카운티가 소유하며, 주립 및 연방 공원 규정에 따라 보호되고 있다.

일반인의 출입은 일출부터 일몰까지 가능하며, 섬까지는 카약, 보트, 서핑보드 또는 수영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또한, 간조 시에는 걸어서 건너갈 수도 있지만, 해류가 강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섬에는 약 20분 정도 걸리는 짧은 등반로(트레일)가 있으며, 정상에서는 카네오헤 만과 쿠알로아 지역의 탁 트인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그러나 트레일 일부 구간이 가파르고 안전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경험이 없는 등반객에게는 다소 위험할 수 있다.

5. 관련 문서[편집]

6. 둘러보기[편집]

나 알리이 오 카 모쿠푸니 오 하와이이
하와이 섬의 지배자들
[1] 윌크스 탐험대, Charles Wilkes Exp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