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제도의 화산 | ||||||||||||||||||
|
마우나로아(서 몰로카이) Mauna loa(Molokai) | Wast MolokaI | |
![]() | |
하늘에서 바라본 서 몰로카이 일대 | |
지도 | |
위치 | |
높이 | 1,381m |
최고봉 | 정상부(이름 없음) |
해저 기준 높이 | 대략 5,000m |
분류 | |
형태 | 침식된 순상 화산 |
지질학적 형성 | 신생대 네오제네 플라이오세 후기 약 180만에서 200만 년 |
외국어 표기 | |
한국어 | 마우나로아(몰로카이) |
영어 | Mauna loa(Molokai) |
하와이어 | Wast MolokaI |
1. 개요[편집]
플라이스토세 시대, 즉 제4기 신생대의 격변 속에서 몰로카이 섬의 서쪽 절반을 형성한 서 몰로카이 혹은 몰로카이의 마우나로아(West Molokai Volcano)라고 불리는 이 화산은 두 차례의 거대한 화산 활동을 통해 형성되었다. 최초의 화산 활동은 1.89백만 년 전, 광대한 톨레이아이트(tholeiitic)질의 순상 화산을 구축하며 마무리되었다. 이후 두 번째 활동이 일어나 1.76백만 년 전 알칼리성 화산암이 분출되었으나, 서 몰로카이 화산에서는 그 이후의 재활성화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다.
서 몰로카이 화산은 거대한 순상 화산인 동 몰로카이 산의 서쪽 사면 위에 자리 잡았다. 이 거대한 산체는 오늘날 몰로카이 섬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규모로, 서쪽을 향해 두 개의 뚜렷한 열곡대(rift zone)를 형성하며 ‘V’자 모양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학자들은 세 번째 열곡대가 동쪽, 즉 현대의 동 몰로카이 화산이 자리한 방향으로 뻗어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러나 이들 화산의 역사는 단순한 융기와 성장의 기록만이 아니다.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자연의 거대한 손길이 이 대지를 뒤흔들었다. 서 몰로카이 화산의 동쪽과 북동쪽 사면에서 대규모 붕괴 사건이 발생했으나, 그 시기는 아직 확실히 규명되지 않았다. 붕괴 후, 동 몰로카이 화산에서 흘러내린 용암이 이 거대한 틈을 메우며 두 화산을 연결하는 ‘몰로카이 새들(Molokai Saddle)’을 형성했다.
현재 서 몰로카이 화산의 동쪽 절벽은 그 대격변의 유일한 흔적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이 붕괴는 이후 동 몰로카이 화산에서 발생한 훨씬 더 거대한 사태와는 별개의 사건이었다.
서 몰로카이 화산은 거대한 순상 화산인 동 몰로카이 산의 서쪽 사면 위에 자리 잡았다. 이 거대한 산체는 오늘날 몰로카이 섬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규모로, 서쪽을 향해 두 개의 뚜렷한 열곡대(rift zone)를 형성하며 ‘V’자 모양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학자들은 세 번째 열곡대가 동쪽, 즉 현대의 동 몰로카이 화산이 자리한 방향으로 뻗어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러나 이들 화산의 역사는 단순한 융기와 성장의 기록만이 아니다.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자연의 거대한 손길이 이 대지를 뒤흔들었다. 서 몰로카이 화산의 동쪽과 북동쪽 사면에서 대규모 붕괴 사건이 발생했으나, 그 시기는 아직 확실히 규명되지 않았다. 붕괴 후, 동 몰로카이 화산에서 흘러내린 용암이 이 거대한 틈을 메우며 두 화산을 연결하는 ‘몰로카이 새들(Molokai Saddle)’을 형성했다.
현재 서 몰로카이 화산의 동쪽 절벽은 그 대격변의 유일한 흔적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이 붕괴는 이후 동 몰로카이 화산에서 발생한 훨씬 더 거대한 사태와는 별개의 사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