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편집]
피의 임프 Blood Imp | ![]() | |
등급 | ||
세트 | ||
직업 | ||
종류 | ||
![]() | ||
효과 | 은신, 내 턴이 끝날 때, 다른 무작위 아군 하수인에게 생명력을 +1 부여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 임프들은 숨어서 주위의 모두를 도발하는 행위를 즐깁니다. 그냥 즐깁니다. (Imps are content to hide and viciously taunt everyone nearby.) | |
제작 또는 카드 팩 |
소환: 꼭 해야만 해? (Do I have to?)
공격: 좋아! 작은 고추 나가신다! (Sure, send the little guy!)
2. 평가[편집]
피의 임프는 하스스톤 초창기 메타를 정의했던 강력한 하수인으로, 너프를 통해 그 위상이 크게 변화하며 게임 밸런스의 중요성을 보여준 상징적인 카드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너프 이전의 독보적인 필드 유지 능력에 있었다. 초창기 피의 임프는 1마나 1/1 능력치에 "은신, 내 다른 모든 하수인에게 생명력을 +1 부여합니다"라는 지속 효과를 가졌다. 은신 덕분에 상대가 직접 제거하기 어려웠고, 이 카드가 필드에 존재하는 한 흑마법사의 모든 하수인은 추가 생명력을 얻어 상대의 영웅 능력이나 저비용 주문, 하수인 교환에서 살아남을 확률이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이는 위니 흑마법사가 초반 필드를 장악하는 핵심적인 원동력이었다. 너프 이후에는 무작위 아군 하수인에게 생명력 +1 부여로 효과가 변경되었지만, 여전히 은신을 통해 여러 턴에 걸쳐 지속적인 버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잠재력을 지녔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너프 이후의 불안정성과 낮은 템포다. 너프된 피의 임프는 공격력이 0이라 필드 싸움에 직접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며, 버프 효과가 무작위 대상에게 적용되어 원하는 하수인을 강화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광역 피해 효과에는 은신이 무력화되므로 취약하다. 결국 너프 전에는 덱의 핵심 엔진이었으나, 너프 후에는 특정 상황에서만 유용한 느리고 수동적인 카드로 전락하여 경쟁력을 상실했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너프 이전의 독보적인 필드 유지 능력에 있었다. 초창기 피의 임프는 1마나 1/1 능력치에 "은신, 내 다른 모든 하수인에게 생명력을 +1 부여합니다"라는 지속 효과를 가졌다. 은신 덕분에 상대가 직접 제거하기 어려웠고, 이 카드가 필드에 존재하는 한 흑마법사의 모든 하수인은 추가 생명력을 얻어 상대의 영웅 능력이나 저비용 주문, 하수인 교환에서 살아남을 확률이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이는 위니 흑마법사가 초반 필드를 장악하는 핵심적인 원동력이었다. 너프 이후에는 무작위 아군 하수인에게 생명력 +1 부여로 효과가 변경되었지만, 여전히 은신을 통해 여러 턴에 걸쳐 지속적인 버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잠재력을 지녔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너프 이후의 불안정성과 낮은 템포다. 너프된 피의 임프는 공격력이 0이라 필드 싸움에 직접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며, 버프 효과가 무작위 대상에게 적용되어 원하는 하수인을 강화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광역 피해 효과에는 은신이 무력화되므로 취약하다. 결국 너프 전에는 덱의 핵심 엔진이었으나, 너프 후에는 특정 상황에서만 유용한 느리고 수동적인 카드로 전락하여 경쟁력을 상실했다.
3. 역사[편집]
- 하스스톤 베타 및 오리지널 초창기, 피의 임프는 위니 흑마법사(Zoolock) 덱의 심장과도 같은 존재였다. 당시 1/1 능력치에 모든 아군 하수인의 생명력을 1 올려주는 지속 효과는 화염 임프, 공허방랑자 등 저비용 고효율 하수인들의 생존력을 극대화했다. 이로 인해 위니 흑마법사는 초반 필드를 압도적으로 장악할 수 있었고, 게임 최강의 덱 중 하나로 군림했다. 이 카드의 강력함은 결국 2014년 1월, 공격력을 0으로 낮추고 효과를 내 턴이 끝날 때, 다른 아군 하수인 하나에게 생명력을 +1 부여하도록 변경하는 너프를 이끌어냈다.
- 너프 이후 피의 임프의 채용률은 급격히 감소했다. 모든 하수인에게 적용되던 강력한 오라 효과가 단일 대상 무작위 버프로 바뀌면서 덱의 핵심 엔진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했기 때문이다. 일부 위니 덱에서 은신을 활용한 지속적인 버프를 노리고 채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전과 같은 필수 카드의 위상은 완전히 잃었다. 카드 풀이 훨씬 넓고 강력한 현대 야생 환경에서는 더 효율적인 카드들에 밀려 실전 덱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4. 기타[편집]
- 이 카드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흑마법사가 소환하는 가장 기본적인 악마인 임프에서 유래했다. 원작에서 임프는 물리적으로는 약하지만 교활하고 다양한 마법 능력을 사용하는 소환수로, 흑마법사의 여정을 처음부터 함께하는 동반자다.
- 아티스트는 Bernie Kang이다. 이 아트워크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TCG의 "Servants of the Betrayer" 세트에 등장했던 Gobloz 카드의 아트를 그대로 사용했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카드의 핵심 능력인 은신과, 작고 얄미운 악마라는 임프의 일반적인 이미지를 재치있게 결합한 문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