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전(하스스톤)
,
,
,
,
,
1. 개요2. 평가3. 역사4. 기타5. 관련 카드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공허방랑자
Voidwalker
파일:공허방랑자.png
등급
세트
직업
종류
파일:하스 마나.png 1
효과
도발
(기울임 효과 텍스트 작성)
플레이버
텍스트
내 이름은 보이드. 별명은… 몸빵.
(No relation to "The Voidsteppers", the popular Void-based dance troupe.)
야생전 잠금 해제

카드팩

확장팩 예약 구매
소환: 왜… 나를… 불렀지…? (Why do you call?)
공격: 명령대로… 하겠다… (As you command...)

흑마법사고전 무료 카드.

2. 평가[편집]

공허방랑자는 1마나라는 낮은 비용으로 비용 이상의 뛰어난 능력치를 제공하여, 흑마법사 초반 필드 싸움의 상징과도 같은 카드다.

이 카드의 가장 큰 강점은 1마나에 공격력 1, 생명력 3, 그리고 도발이라는 능력치를 보유했다는 점이다. 이는 중립 1코스트 도발 하수인인 황금골 보병(1/2)보다 월등한 능력치로, 직업 카드의 강력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이 튼튼한 능력치 덕분에 게임 초반에 상대의 공격적인 하수인(특히 공격력 1~2의 하수인)들을 효과적으로 막아내고, 화염 임프단검 곡예사처럼 체력이 낮지만 중요한 아군 하수인을 보호하는 방패 역할을 훌륭히 수행한다. 또한 악마 종족 값을 가지고 있어 핏빛약탈자 굴단이나 말가니스 등 다양한 흑마법사 카드와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반면, 가장 큰 약점은 공격력이 1에 불과하여 단독으로는 상대편 하수인과 효과적으로 교환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가혹한 하사관이나 광포한 늑대 우두머리 같은 공격력 버프 카드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본질적으로 공격적인 카드라기보다는 수비적인 카드이므로, 게임 후반으로 갈수록 필드에 미치는 영향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3. 역사[편집]

  • 오리지널 위니 흑마법사(Zoolock) 덱의 탄생과 함께 덱의 핵심 카드로 자리 잡았다. 저비용 고효율 하수인들을 대량으로 전개하여 필드를 장악하는 위니 덱의 전략에서, 공허방랑자는 상대의 무기나 저비용 하수인으로부터 아군의 다른 핵심 하수인을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방패였다.
  • 고블린 대 노움 기계 하수인이 대거 추가된 확장팩에서도 위니 흑마법사는 여전히 강력한 모습을 보였으며, 공허방랑자는 변함없이 덱의 초반을 책임지는 핵심 하수인으로 기용되었다. 당시 여러 서버에서 전설 등급을 달성한 Xixo의 위니 덱 리스트에도 빠짐없이 두 장이 포함될 정도로 위상은 굳건했다.

4. 기타[편집]

  • 이 카드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흑마법사가 소환하는 동명의 소환수 공허방랑자에서 유래했다. 원작에서도 공허방랑자는 높은 체력과 도발 능력을 가진 탱커형 소환수로, 흑마법사 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흥미롭게도 워크래프트 세계관 설정상 공허방랑자는 악마가 아닌 공허의 존재이지만, 하스스톤에서는 게임플레이의 편의성과 직업 특성을 위해 악마 종족으로 분류되었다.
  • 아티스트는 알렉스 홀리 오를란델리(Alex Horley Orlandelli)다. 그는 광기의 화염술사를 비롯해 워크래프트와 하스스톤의 수많은 상징적인 아트를 그린 베테랑 아티스트로 알려져 있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카드의 핵심 능력인 도발과 1마나에 3이라는 높은 생명력을 바탕으로 초반 피해를 흡수하는 역할을 재치있게 표현한 것이다.

5. 관련 카드[편집]

5.1. 공허군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허군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악마의 맹공[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악마의 맹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대도의 마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도의 마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