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소녀전선
파일:GF_MG.png
레벨
개방
10
1차 편제 확대
20
장비 1슬롯(탄환)[1]
30
2차 편제 확대 & 3성 장비 착용 가능
45
4성 장비 착용 가능
50
장비 2슬롯(부속)[2]
60
5성 장비 착용 가능
70
3차 편제 확대
80
장비 3슬롯(인형)[3]
90
4차 편제 확대
100
인형개조 가능
110
MOD 2 스킬 개방 가능
115
호감도, 전용장비, 외형 해제
편제 수
탄약 보유량
식량 보유량
1
40
30
2
65
45
3
90
60
4
115
75
5
140
90
MG 스테이터스 정보

1. 개요2. 상세
2.1. 사속과 프레임2.2. 목표 설정2.3. 장전 캔슬
3. 역사
3.1. 1탄창 메타3.2. 떡장갑 메타
4. 진형버프5. 목록
5.1. ★★5.2. ★★★5.3. ★★★★5.4. ★★★★★5.5. EXTRA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소녀전선의 병종 중 하나로 높은 화력, 높은 관통, 높은 발사 속도[4]를 보유한 대신 낮은 명중을 보유한 병과. 별칭은 망가(Manga)이다.

주로 SG 병종과 조합되며 높은 관통과 화력을 단시간에 투사할 수 있으나, 그 대신 명중 수치가 낮으며 재장전이라는 병종 고유의 페널티가 있다. 전열 타격 고정인 AR, 후열 타격 고정인 RF과 다르게 MG는 랜덤 타격을 가지고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목표 설정 문단을 참조할 것.

2. 상세[편집]

공격 스타일은 순식간에 탄을 소모해서 적을 제압하는 형식이다. 다른 딜러 병종인 AR과 RF 모두 지속 화력을 투사하는 병종인 반면, MG는 순간 화력에 치중된 병종이다. 순간 화력은 엄청나지만 대신 파트너인 샷건 병종과 같이 소녀전선에 재장전이 존재하는 병종 중 하나로, 이를 잘 관리해줄 필요가 있으며 이 페널티를 어떤 식으로든 상쇄할 수 있는 인형들이 고평가를 받는 편이다.

실제 기관총은 대체적으로 1-2백발 이상이 들어가는 탄띠 급탄식 탄통을 써서 장탄수가 평균적으로 고작 3-40발 내외인 보병 화기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재장전 없이 가장 긴 지속화력을 낼 수 있다는 걸 생각해보면 굉장히 아이러니한 점. 아무래도 화력 투사 시간보다는 장전에 걸리는 시간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인다.

현실의 기관총처럼 엄청난 양의 탄약을 소모 하는 편이고, 만족스러운 성능을 내려면 어느 병과보다 장비작이 필수인 편이라 초보 유저에게 육성 우선순위는 크게 떨어지는 편. MG는 서로 버프를 교환할 수 있는 SG와 함께 운영되는 경우가 범용적인데, SG도 중형제조에서만 나오며 초보 유저가 굴리기에는 많은 자원과 재화를 소모한다. 전역 클리어에 MG가 필수적인 구역은 제한적이며 그나마도 혼합세력이 등장한 이후 이쪽을 택하면 되기 때문에 무리하게 처음부터 MG를 육성할 필요는 없다.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이후에도 이 소모량은 만만치 않은 편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역에 투입되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고 꼭 필요한 상황에 투입되는 결전병기의 느낌이 강하다. 비록 인형들의 스펙 인플레와 혼합세력의 등장 이후 MG가 독보적으로 활약할 수 있는 부분은 크게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쓰임새는 간간히 있는 편이다. 특히 샷라 제대가 메타에 이름을 올린다고는 해도 파트너 병종인 SG와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은 역시 MG 이기 때문에, 낮은 회피와 높은 장갑, 낮은 화력을 보유한 적이 물량으로 나온다면 여전히 MG는 써먹기 좋은 카드라 할 수 있다.

2018년 이전에는 기관단총과 더불어 EXTRA등급 캐릭터가 없었지만, 2019년에 발할라 콜라보에 처음으로 추가되었다.

2.1. 사속과 프레임[편집]

MG의 사속은 다른 총기들과는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작용한다. 다른 전술 인형들은 1초당 공격 횟수가 (사속/50)에 비례하는데, 기관총은 '사속' 스탯과는 무관하게 1초당 3회[5]라는 고정된 발사속도를 가진다.

수치상의 사속이 높아지면 기본 재장전 시간[6]만 약간 감소하므로 MG는 사속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사속이 81로 가장 낮은 쇼샤에게 진형 버프로 사속 30%를 주는 것보다 화력 11%를 주는 편이 DPS가 더 높다. 그 외 사속이 빠르면 미세하게 첫 조준이 빠르기때문에 최초 사격시나 탄창을 교환시 재사격이 몇프레임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작 몇 프레임의 차이이기 때문에 자료추출 제대를 제외하면 거의 의미가 없다.

이처럼 사속 값 자체가 무의미하면서도 한편으론 사속 수치 자체가 높기 때문에 MG는 사속 페널티가 무의미하다. 따라서 사속을 깎아먹는 레드 닷과 이오텍 장비 등을 부담 없이 쓸 수 있다. 상대하는 적의 회피와 MG의 스킬에 따라 부속 장비의 효율이 달라지니 그때그때 적절한 장비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거의 모든 MG가 10프레임 당 1회, 1초당 3회의 발사속도를 지니지만 일부 인형은 11프레임 당 1회로 공격하는 경우가 있다.
사격간 프레임간격(초)
해당 인형
10프레임(0.33333초)
11프레임 MG 제외 모든 MG
11프레임(0.36666초)
★3 M2HB · ★4 PK · ★5 MG5 · ★5 PKP[7]

2.2. 목표 설정[편집]

기관총은 다른 병종과 다른 목표 설정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는데 적이 원거리에 있을 때에는 가장 먼 적을 타겟으로 하고 중거리[8] 이상 가까워지게 되면 중거리내의 무작위 적을 노리고 사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적을 고위력으로 빠르게 제거하지 못하면, 원거리에서 아군을 노리는 예거나 재규어(박격포)는 후순위로 밀리게 되며 중거리와 근거리 유닛이 섞일경우 바짝 붙게 되는 철혈 브루트나 정규군 다크틸, 패러데우스 퍼니시 등을 우선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사격 중 목표 재설정은 적이 죽거나 이동으로 사격을 중단시켜야 재설정시키는 것으로 가능하며 무작위 난사 스킬을 가진 HK21은 스킬로도 목표 재설정이 가능하다.

2.3. 장전 캔슬[편집]

2.030 클라이언트 이후 장전 캔슬이 완전히 없어졌다.

과거 기관총 병종은 장전 도중 적절한 타이밍에 이동하여 사격을 재개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장캔이 2초대에 가능했던 시절에는 컨트롤을 즐겨하는 소전 유저위주로 기관총을 기용하면서 구사했던 테크닉. 이렇게 함으로써 5~6초대에 이르는 재장전을 2초 정도로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장전캔슬을 너무 이르게 시도하면 처음부터 다시 장전하기 시작하여 오히려 장전이 늦어지므로 각자 다른 모션을 보고 최적 타이밍을 재야했지만, 네게브는 'STR UP' 문구가 뜨면 장전 캔슬을 시도할 수 있어 장캔이 편했다. 장캔 움짤

초기에는 장캔으로 재장전 거의 전체를 생략하고 사기적인 성능을 뽑아낼 수 있었으나, 1차 장전캔슬 패치 후엔 최소 재장전 쿨타임이 개조 M1918은 29프레임(약 0.96초), HK21은 30프레임(1초), 나머지 MG는 60프레임(2초)로 지연시간이 생겼다. # 이후 난류연속 당시의 2차 장전캔슬 패치로 개조 M1918과 HK21을 제외한 다른 MG들은 모두 120프레임(4초)로 변경되어 거의 장캔의 메리트가 사라지게 되었다. #

과거 장캔 테크닉은 2탄창 전투로 가면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단순히 재장전 시간을 줄이는 것 뿐만 아니라 권총 스킬의 활용 등, 다른 병종과 시너지에도 관계가 있었다. 권총이 가진 버프 스킬들 대부분이 6초의 선쿨을 가지고 있는데 장캔을 안해주면 타이밍이 맞지 않던 것을 장캔을 활용함으로 인해 2탄창 시작과 동시에 권총 스킬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었다.

허나, 이는 버그성 플레이에 가까웠고 장캔이 잔존되어야 하는가 수정되어야 하는가 여러 논란이 있었지만 2018년 8월 부터 패치로 서서히 수정되기 시작했다. 우선 2018년 8월 16일 난류연속 패치 이후 HK21과 개조 M1918(MOD2 이상) 이외에는 장캔 타이밍이 모두 4초로 미뤄진지라, #, #, 둘을 제외한 다른 MG들은 사실상 장전 캔슬을 활용할 수 없게 되었다. 저 둘은 예외 취급인 것처럼 생각되었으나, 2018년 9월 10일 카페에서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남은 두 MG들의 장전캔슬 또한 버그로 파악했고, 수정될 것이라는 것이 예고됐다. 결국 2018년 11월 15일 패치로 HK21의 장전 캔슬 시간대가 고쳐졌고 M1918마저도 2018년 12월 6일 패치로 고쳐지면서 4초의 장전 캔슬은 STR 표시로 정확한 타이밍을 알수 있는 네게브를 제외하면 실패시 디메리트가 너무 크기때문에 샷건 장전캔슬과 마찬가지로 크게 매리트가 없는 기술로 전락하였다.

2.030 클라이언트 도입과 함께 최종적으로 수정, 장전 완료 2프레임 전에 캔슬해야 캔슬이 가능하게 되어서, 이동 시간을 고려하면 무조건 더 느려지게 되었다. #

3. 역사[편집]

3.1. 1탄창 메타[편집]

소녀전선 초창기에는 적 유닛들이 그다지 세지 않았으며, 많은 적을 단시간에 처리하는 능력이 MG 병종에게 요구되었다. 따라서 1탄창 부터 막강한 딜을 쏟을 수 있는 스킬들이 상위권으로 꼽혔다.

당시 2탄창에서야 본격적인 딜링을 하는 MG를 사용하지 않았던 이유는, 2탄창에서야 강력한 샷망제대를 쓸 거면 자원을 훨씬 덜 먹는 SMG-AR제대를 쓰는 게 나았기 때문이었다. 안 그래도 탄식을 엄청나게 먹는 샷망제대가 2탄창 싸움을 노릴 경우 재장전 시간동안 딜을 전혀 못 넣기 때문에 남은 몹들한테 샷건이 엄청 얻어맞으므로 수리비까지 더 잡아먹을 게 뻔한데, 이런 상황에 재장전 없이 꾸준히 딜을 넣을 수 있는 AR제대를 두고 망샷을 쓸 이유가 전혀 없었다.

그 결과 초기 소녀전선 MG의 실전은 거의 대부분이 1탄창 내로 끝내는 1탄창 메타가 지배하게 되었고 장기전이 필요한 것은 일부 보스전등의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은 예외적 상황이었다. 설령 1탄창 안에 끝내지 못하더라도 공격이 최선의 방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1탄창째에 적을 가능한 한 줄여놓는 것이 2탄창 이후의 전투를 바라볼 때도 제대의 생존과 전투 지속력 측면에서 유리할 수 밖에 없었다. 거기에 아군 탱커가 터져나가는 걸 무릅쓰고서라도 2탄창째를 기다려줄 가치가 있을 만큼 화력전개나 준비만전이 패시브류 스킬을 압도할 정도로 강력한 것도 아니었다. 대충 계산해 봐도 준비만전이나 화력전개가 스킬을 발동해야 겨우 내주는 딜량은 사중극점이나 패시브 스킬들이 상시 낼 수 있는 딜량을 약간 상회할 뿐이었다.

1탄창 기준 DPS가 중시되다보니 당시 MG는 스킬 별로 티어가 갈렸다. 패시브로 발동되는 스킬인 '사중극점'과 '선전포고'가 최상위 티어, 1탄창 사격 도중에 발동할 수 있는 '사냥충동'은 +5 장탄 추가의 5성 탄통 장착시에 중간 티어, 1탄창이 끝나고 재장전한 뒤에 2탄창부터서야 발동 가능한 '화력전개', '준비만전'같은 기타 스킬들은 최하급으로 취급하는 식.

상황이 이러한 탓에 2.01 패치 이전 MG는 다른 총기류들에 비해 성능 차가 매우 극심한 상태였다. 4성이든 5성이든 MG에게 전혀 쓸모없는 체력, 회피나 거의 쓸모없는 사속에 스텟이 쓸데없이 많이 배분되어 있는 인형들도 많았고, 별이 낮은 인형을 애정으로라도 써먹기 힘든게 MG였다. 다른 병종이라고 해서 이런 의견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MG는 당시나 지금이나 인형 풀이 좁은 병종이다보니 유저들 사이에서는 "기관총 1티어 2호기, 3호기는 무조건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퍼지기도 했다.

이러한 1탄창 메타는 적 스펙이 오르고, 점차 1탄창 내에 녹일 수 있는 적들이 나오지 않게 되면서 메타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다. 물론 여전히 단기간 고화력 투사를 할 수 있는 병종인 것은 맞지만, 그런 상황은 다른 병종으로도 극복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의미가 크게 퇴색되었다. 선쿨 기준으로 나누던 스킬 티어도 이제는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다만 이후 찾아온 떡장갑 메타는 '1탄창을 최대한 길게 가져가거나, 재장전 딜로스가 거의 없는 인형'들이 주로 기용되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1탄창 자체를 길게 가져가는 식으로 변질되었을 뿐, 인형 기용의 논리는 당시와 비슷하게 건재하다고 볼 수 있다.

3.2. 떡장갑 메타[편집]

딥다이브 플러스에서부터 서서히 극단적으로 화력을 올려도 1탄창에 적을 섬멸하는 것은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졌다. 때문에 다소 화력을 포기하더라도 안정적으로 2탄창까지 샷건 체력을 보존할 수 있는, 장갑 진형 버프를 가진 기관총들과 방패 요정의 실용성이 주목받으며 이른바 떡장갑 제대가 대두되었다.

여기에 이성질체부터 추가된 EX철혈유닛의 경우 고화력과 더불어 상당한 관통 수치를 가진 공격을 무력화하려면 장갑 50%버프에 5성 방패요정이 필수가 되었는데 EX예거의 관통공격을 무력화하려면 100대의 장갑수치가 필요하므로 이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네게브와 15%의 장갑버프를 가진 MG 두명의 기용이 필요했다.

이후 편극광 랭킹전 비경수위, 이중난수 랭킹전 핏빛 파도, 거울단계 랭킹전 안개 거두기 등 점차 '1탄창에 모든 적을 섬멸시킨다'는 개념에서 탈피하여 쉴드 등 유지력을 보유한 SG에 장갑 수치를 올려 탱킹력을 보태고 여러 탄창에 걸쳐 대규모 물량을 처리하는 능력이 MG 병종에게 요구되기 시작했다.

4. 진형버프[편집]

최초 출시이후 오랜 기간 MG는 진형 버프를 권총으로부터 받기만 하고 주지 않는 입장이였지만, 저체온증 패치 이후 MG와 짝을 이루게 설계된 산탄총의 추가로[9] AR과 짝을 이루는 SMG처럼 산탄총과 진형 버프를 교환하게 되었다. 다만 샷건의 버프 진형과 동일하게 2열을 넘어가는 간접 버프인지라, 진형 버프가 추가된 이후로는 후열 배치가 강요된다.

샷건 자체의 딜량은 얼마 되지 않기때문에 샷건의 방어력을 올리는 장갑 버프가 최우선적으로 선호되며 조합에 따라 명중, 화력, 사속의 선호도가 달라진다. 샷건 병종의 의미가 탄탄한 방어력으로 아군을 감싸며 넉백 사격으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므로 잘버티고 잘 맞춰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명중이 선호되며 샷건의 넉백 발동 확률이 올라가는 것이 MG의 안정적인 사격을 보장해주기 때문이다. 단 확정 명중의 스킬을 가진 엘펠트, 사이가나 사속이 빠른 우사스 같은 경우 화력이 최우선으로 선호되기도 한다.

사속 버프의 경우 우사스는 스킬 최대 시 사속 제한에 걸리고 , 딜 스킬 SG들은 스킬 타이밍과 재장전이 꼬이는 경우가 생겨서 딜 스킬 샷건들과는 궁합이 안 맞는 경우도 발생[10] 하므로 생각보다 배치에 신경 써줘야 할 항목이다.

5. 목록[편집]

이름 왼쪽에 있는 국기는 원본총기의 제조국, EXTRA 등급은 해당 인형이 등장하는 원작의 제작국이다.

5.1. ★★[편집]

5.2. ★★★[편집]

5.3. ★★★★[편집]

5.4. ★★★★★[편집]

5.5. EXTRA[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gf-logo.png의 등장 전술인형
  [  HG  ]  
  [  SMG  ]  
파일:GF_SMG.png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P40 · 베레타 38형 · PPSh-41 · M3 · Spectre M4 · IDW · 64식 · PP-2000 · m45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AC-10 · 스콜피온 · PPS-43 · 스텐 Mk.II · 마이크로 우지 · FMG-9 · Z-62 · EVO 3 · MT-9 · SCW · TMP · F1 · M12 · OTs-39 · T77 · MP41 · 43M · MAS-38 · SUB-2000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P5 · UMP9改2D · UMP45改2D · PP-19 · PP-90 · 시프카 · UMP40 · KLIN · PP-19-01 · 허니뱃저 · Cx4 스톰 · MAT-49 · KAC-PDW · CF05 · SAF · AR-57 · PPD-40 · 비뉴홍 M2 · MPK · MPL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톰슨 · Vector · 수오미 · G36C · 79식 · SR-3MP · RO635改2D · MP7 · C-MS · PM-06 · 100식 · AK-74U · JS 9 · P90 · X95 · PM-9 · Lusa · AUG Para · VP1915 · SP9 · SR-2 · 스털링
파일:gf_icon_extra_star.png
  [  RF  ]  
  [  AR  ]  
파일:GF_AR.png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L85A1 · G3 · 갈릴 · SIG-510 · F2000 · 63식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AK-47 · FNC · StG44 · OTs-12 · CZ-805 · ARX-160 · AR70 · 6P62 · ASh-12.7 · T65 · Model L · 03식 · 마갈 · HK33 · INSAS · Vepr · StG-940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AS Val · 56-1식 · FAMAS · TAR-21 · G36 · 9A-91 · 리베롤 · Ak 5 · CZ2000 · XM8 · A-91 · SAR-21 · EM-2 · CR-21 · M82 · FX-05 · 표도로프 · APC556 · FARA 83 · AK74M · CMR-30
M4A1改2D · M4 SOPMOD II改2D · M16A1 · ST AR-15改2D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HK416改2D · FAL · G41 · G11改2D · OTs-14 · 95식 · 97식 · RFB · ART556 · T91 · K2 · Zas M21 · AK-12 · AN-94 · MDR · AUG · K11 · 64식 소총 · ADS · ACR · SIG-556 · R5 · AK-15 · 89식 소총 · AK-Alfa · S-ACR · VHS · SIG MCX · TKB-408 · KH2002 · A-545 · QBZ-191 · SCR · AR-18
파일:gf_icon_extra_star.png
  [  MG  ]  
파일:GF_MG.png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G34 · DP28 · AAT-52 · LWMMG · FG42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1919A4 · MG42 · M2HB · 브렌 · M249 SAW · RPD · HK23 · 62식 · K3 · CAR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PK · MG3 · M1918 · M60 · Mk48 · AEK-999 · 아멜리 · 80식 · Mk46 · UKM-2000 · 쇼샤 · M1895 CB · PM1910 · LS26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G5 · MG4 · 네게브 · PKP · HK21 · 88식 · 루이스 · MG36 · Kord · RPK-16 · ZB-26 · RPK-203 · MG338 · M240L
파일:gf_icon_extra_star.png
  [  SG  ]  
파일:gf_fsticon.png
파일:GF_ATW.png
파일:GF_AGL.png
파일:GF_MTR.png
2B14 · M2 · PP-93
파일:GF_SF.png
파일:white star.png
파일:white star.png파일:white star.png
파일:white star.png파일:white star.png파일:white star.png
파일:패러데우스 로고.png
파일:white star.png파일:white star.png파일:white star.png
미등장
더미 데이터1
SCAR · K7 · KGP-9
추가 예정2
마인드맵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전술인형
改2D MOD3 일러스트에 Live2D가 추가된 전술인형
1 사건 사고로 인해 추가가 취소되었거나 내부 데이터 등으로 존재가 확인된 경우
2 공식 매체나 방송, 정식 공개된 실루엣 등을 통해 추가가 확정된 경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소녀전선/MG 문서의 r50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철갑탄, 저격탄, 특수철갑탄만 가능[2] 야시장비, 소음기는 장착 불가[3] 탄통, 사격 통제 장치(M1918, 아멜리 전용 장비만 구현)[4] MG 병종은 소녀전선 인형이 보유한 '사속' 스탯과는 다르게 탄환의 발사 속도가 고정되어 있으며 사속은 재장전 속도에만 영향을 끼친다. 자세한 것은 후술.[5] 2.01 패치 이전에는 11프레임당 1발로 공격했고, 2.01 버전 패치이후에는 일부 인형을 제외하면 10프레임 당 1발로 공격한다. 소녀전선에서는 30프레임이 1초다.[6] 재장전 시간 = 4 + 200 / 사속 (초)[7] 추가탄 발사시 1프레임 가산[8] 일반 철혈 유닛이 사격이 가능한 거리.[9] 이전에는 MG가 애초에 진형버프가 없었다.[10] 수동 스킬과 무빙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추가 컨트롤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