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umanle S.R.L.의 서비스 | |||
아이콘 | 로고 | |
표어 | ||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 ||
주소 | ||
기본 정보 | ||
종류 | ||
현재 상태 | 운영 중 | |
위키 엔진 | ||
위키 문법 | ||
상징 | ||
캐릭터 | ||
운영 및 역사 | ||
소유주 | ||
설립일 | 2015년 4월 17일(7주년) | |
설립자 | ||
기타 정보 | ||
언어 | ||
라이선스 | ||
영리 여부 | 영리[1] | |
회원가입 | 선택 |
1. 개요[편집]
나무위키는 namu가 2015년 4월 17일에 namu가 설립한 리그베다 위키의 포크 위키이자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에 반발하여 설립되어 결국 규모가 매우 커진 위키[2]이다. 현재 Umanle S.R.L.이라는 파라과이의 회사에 소유권이 이전된 상태.
2. 영향력[편집]
한국어의 특성상 대한민국이 주된 원어민이고[3], 그에 따라 한국의 인터넷 특성이 한국어 이용자의 인터넷 사용경향과 일치하는 모양새를 보인다. 2018년 현재 대한민국의 포털 시장 점유율은 네이버가 약 74%, 구글이 약 16%를 차지하고 있는데[4], 특히 구글에서 검색시 검색 결과의 최상단, 혹은 차상단에 나무위키의 링크가 위치한다. 때때로는 공식 사이트를 밀어내고 최상단에 위치하기도 한다. 과거 리그베다 위키, 엔하위키에서는 구글 검색에 노출되지 않았지만[5], 나무위키는 구글 검색에서 높은 위치를 점함으로써, 구글링을 하는 한국어 사용자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3. 알파위키와의 관계[편집]
4. 비판 및 문제점[편집]
나무위키에 대한 비판은 운영사의 독재 및 영리화, 이용자의 문제가 가장 큰 비판을 받는 부분.
4.1. 위키백과화[편집]
리그베다 위키를 포크한 초기에는 엔하계 위키의 특성이 강했으나 현재에는 낚시, 집단연구, 취소선 등을 제한하는 등 위키백과화가 상당히 진행되었다. 한때 엔하계 표현 개선 프로젝트라는 위키백과화를 주도하는 프로젝트가 있었으나 지금은 폐지되었다. 현재 나무위키에는 위키백과화에 찬성하는 사람들과 일명 취소서노포비아들이 많이 남아 있는 상태이다. 알파위키로 넘어와서 취소선이나 유머를 날리는 등 알파위키를 위키백과화하려는 시도는 아직 없었으나 그럴 가능성도 충분하다. 만약 당신이 알파위키를 위키백과화하려 왔다면 나무위키, 한국어 위키백과등 다른 정보전달 중심의 위키에서 활동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알파위키는 기본규칙에 따라 정보성 서술과 재미있는 서술[6]을 동시에 지향한다.
5. 역사 및 사건사고 요약[편집]
|
5.1. 2015년[편집]
- 2015.04.17 나무위키 설립
- 2015.04.24 나무위키 기여자 로그 무단 삭제 사건
- 2015.05.19 나무위키 토론 게시판 삭제 사건
- 2015.06.20 나무위키 리뷰왕 김리뷰 임시조치 사건
- 2015.11.05 정식 운영진 1기 시작
- 2015.11.09 2015년 나무위키 DMCA 테이크다운 사태
- 2015.11.13 나무위키 중재자 Orbit 권한 남용 사건
- 2015.12.21 나무위키 운영진 친목질 사건
5.2. 2016년[편집]
- 2016.02.05 정식 운영진 2기 시작
- 2016.04.24 나무위키 영리화 논란
- 2016.05.07 나무위키 소유권 이전 사태
- 2016.07.01 나무위키 휴대폰 인증 논란
- 2016.08.06 정식 운영진 3기 시작
- 2016.11.07 정식 운영진 4기 시작
5.3. 2017년[편집]
- 2017.01.17 2017 나무위키 대형 반달 사건
- 2017.01.23 2017 나무위키 젠더 이퀄리즘 날조 사건
- 2017.02.07 정식 운영진 5기 시작
- 2017.05.07 정식 운영진 6기 시작
- 2017.08.14 2017 나무위키 XSS 공격 사건 및 나무위키 관리자 Great_Blue 권한 남용 사건
- 2017.08.15 정식 운영진 7기 시작
- 2017.09.21 관리자 nimda 권한 남용 사건[7]
- 2017.09.22 나무위키 민선 운영진 폐지 사태
5.4. 2018년[편집]
- 2018.07.13 나무위키 IP 이용자 편집권 제한 사건
- 2018.09.13 나무위키 위키 갤러리 이용 금지 사건
- 2018.09.15 나무위키 2차 분서갱유 사건, 나무위키 제 2차 영리 논란
5.5. 2019년[편집]
- 2019.04.10 나무위키 텔레그램 유출 논란
- 2019.08.11 나무위키 심영물 작성금지 사건
5.6. 2020년[편집]
5.7. 2021년[편집]
- 2021.02.03 나무위키 유저박스 삭제 사건
- 2021.06.19 나무위키 사용자 문서 편집 요청권 제한 사건
- 2021.06.22 나무위키 일반 이용자 위키 갤러리 이용 금지 예고 사건
5.8. 2022년[편집]
- 2022.04.01 만우절을 기념하여 나무위키 대문을 구글과 비슷하게 바꿨다.
5.9. 2023년[편집]
6. 미래[편집]
7. 별명[편집]
8. 관련 문서[편집]
[1] 2018년까지는 비영리라고 주장됐으나 비영리적으로 운영된다는 증거물은 없었으며, 심지어는 2015년 나무위키 DMCA 테이크 다운 사건 이후 광고가 부착됐다가 2016년 나무위키 영리 운영 의혹이 발생했다. 2018년 9월 15일부터 광고가 부착되기 시작했으며, 2019년 8월, 전자신문과의 합작 법인인 나무위키비즈코리아라는 마케팅 업체가 설립된 것은 물론, 8월 31일부터 사측에서 한 유저의 편집 요청을 승인해 영리 여부를 밝히면서 영리 목적 사이트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더 자세한 것은 나무위키 영리 논란 문서 참조.[2] 그러나 나무위키의 운영은 리그베다 위키보다 안 좋은 부분도 있다.[3] 북한 주민도 있지만, 인터넷 자체가 거의 불가한 국가인지라..[4] 2017/12/31일 기준[5] 트래픽 부담을 막기 위해 봇을 막았다.[6] 독자/집단연구, 유머 등[7] 아래 나무위키 민선 운영진 폐지 사태의 도화선이 된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