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큰 대
부수
나머지 획수
大, 0획
총 획수
3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ダイ, タイ, タ, ダ
일본어 훈독
おお, おお-きい, おお-いに
-
표준 중국어
dà, dà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
3.1. 단어3.2. 고사성어/숙어3.3. 인명3.4. 지명
3.4.1. 국내3.4.2. 국외
3.5. 국호3.6. 지하철역3.7. 기업3.8. 연호3.9. 기타
4. 부수5. 유의자6. 상대자7. 모양이 비슷한 한자8. 여담

1. 개요[편집]

'큰', '커다란', '크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로, '태'라는 음도 있지만 보통은 '대'로 읽는다. 접두사로 쓰이면 어떠한 사물이나 단체(국가, 학교 등)에 대하여 크다는 의미 외에도 위대하다는 의미를 포함하며, 접미사로 쓰이면 대학을 뜻하기도 한다(서울 등).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크다
대, 태
daai6, daai6-1[1], daai6-2[2]
thai
duōi
duâi
tāi[文] / tōa[白]
da (T3)[文] / du (T3)[白]
음독
ダイ, タイ, タ, ダ
훈독
おお, おお-きい, おお-いに
đại

유니코드에는 U+592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K(大)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ㄉㄚˋ으로 입력한다.

사람(人)이 팔을 최대한 뻗어 크다를 뜻하는 상형자이다.

이체자로는 亣가 있다. 고문을 직접적으로 계승한 자형이다.

보통 용언이 한자의 훈으로 오면 '-(으)ㄹ' 어미를 사용하는데, (흰 백)과 더불어 몇 안 되게 '-(으)ㄴ' 어미를 사용하는 한자이다. 아래 유의자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크다'란 뜻을 가진 다른 한자는 많이들 '클'로 쓴다.[7]

3. 용례[편집]

'크다'와 관련된 단어에는 거의 다 붙는 한자이기에 굉장히 용례가 많다.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가가대소(呵呵大笑)
  • 능소능대(能小能大)
  • 대기만성(大器晩成)
  • 대해일속(大海一粟)
  • 박장대소(拍掌大笑)
  • 입춘대길(入春大吉)
  • 적소성대(積小成大)
  • 침소봉대(針小棒大)

3.3. 인명[편집]

인명에도 자주 쓰이는 한자이며, 보통은 남자 이름이 쓰인다.

3.3.1. 한국[편집]

3.3.2. 일본[편집]

3.4. 지명[편집]

3.4.1. 국내[편집]

3.4.2. 국외[편집]

3.5. 국호[편집]

3.6. 지하철역[편집]

3.7. 기업[편집]

3.8. 연호[편집]

3.9. 기타[편집]

4. 부수[편집]

5. 유의자[편집]

6. 상대자[편집]

  • (작을 마)
  • (작을 미)
  • (작을 소)

7.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절름발이 왕)

8. 여담[편집]

  • 팔을 양쪽으로 벌리고 다리를 약간 벌려 크게 누우면 몸이 大의 모양처럼 된다는 점에서 이를 두고 '대자로 눕는다'고 표현한다.
[1] 的咁大에서[2] 老大에서[文] 3.1 3.2 문독[白] 4.1 4.2 백독[7] 大夫, 大城에서[8] 한 무리의 우두머리라는 뜻의 대장[9] 우리 몸의 큰창자를 의미하는 대장[10] 다만, 鳳인 경우도 있으니 구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