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아스날 FC
Arsenal FC
정식 명칭
Arsenal Football Club[1]
The Gunners (거너스)[2][3]
약칭
ARS, ASNL
창단
창립자
소속 리그
연고지
잉글랜드 런던 울리치구
(London Borough of Woolich) (1886~1912)
잉글랜드 런던 이즐링턴구
(London Borough of Islington) (1913~ )
홈구장
에미레이트 스타디움 (Emirates Stadium)
(60,704명 수용)
훈련 시설
아스날 트레이닝 센터 (Arsenal Training Centre)
라이벌
소유주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크랑키 스포츠 & 엔터테인먼트 (KSE)
의장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스탠 크랑키 (Stan Kroenke)[5]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조쉬 크랑키 (Josh Kroenke)[6]
부의장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팀 루이스 (Tim Lewis)[7]
종신 회장
CEO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리차드 갈릭 (Richard Garlick)
스포츠 디렉터
감독
수석 코치
주장
부주장
UEFA 랭킹
15위 출처
역대 한국인 선수
공식 웹사이트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
파일:아스날 FC 로고.svg[8] | 파일:아스날 FC 로고.svg[9] |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10] |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에펨코리아 아이콘.svg
우승 기록
1930-31, 1932-33, 1933-34, 1934-35, 1937-38,
1947-48, 1952-53, 1970-71, 1988-89, 1990-91,
1997-98, 2001-02, 2003-04
FA컵
(14회 / 최다)
1929-30, 1935-36, 1949-50, 1970-71, 1978-79,
1992-93, 1997-98, 2001-02, 2002-03, 2004-05,
2013-14, 2014-15, 2016-17, 2019-20
EFL컵
(2회)
1986-87, 1992-93
1930, 1931, 1933, 1934, 1938, 1948, 1953, 1991*,
1998, 1999, 2002, 2004, 2014, 2015, 2017, 2020,
2023
1993-94
1969-70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고 이적료 영입
최고 이적료 방출
최근 영입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빅토르 요케레스 (Viktor Gyökeres)
(2025년, From 스포르팅 CP, 5,500만 £)
최근 방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토미야스 타케히로 (Takehiro Tomiyasu)
(2025년, To FA)
최다 출장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데이비드 오리어리 (David O'Leary) - 722경기 (1975~1993)
최다 득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티에리 앙리 (Thierry Henry) - 228골 (1999~2007, 2012)
최다 도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데니스 베르캄프 (Dennis Bergkamp) - 124도움 (1995~2006)
리그 득점왕
(12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테드 드레이크 (Ted Drake) - 42골 (1934-3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로니 루크 (Ronnie Rooke) - 33골 (1947-4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말콤 맥도널드 (Malcolm Macdonald) - 25골 (1976-7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앨런 스미스 (Alan Smith) - 23골 (1988-8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앨런 스미스 (Alan Smith) - 22골 (1990-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이안 라이트 (Ian Wright) - 29골 (1991-9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티에리 앙리 (Thierry Henry) - 24골 (2001-0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티에리 앙리 (Thierry Henry) - 30골 (2003-04)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티에리 앙리 (Thierry Henry) - 25골 (2004-05)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티에리 앙리 (Thierry Henry) - 27골 (2005-0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로빈 반 페르시 (Robin van Persie) - 38골 (2011-12)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 (Pierre-Emerick Aubameyang) - 22골 (2018-19)
리그 도움왕
(6회)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데니스 베르캄프 (Dennis Bergkamp) - 13도움 (1998-99)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로베르 피레스 (Robert Pirès) - 15도움 (2001-0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티에리 앙리 (Thierry Henry) - 20도움 (2002-03)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세스크 파브레가스 - 20도움 (2007-08)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로빈 반 페르시 (Robin van Persie) - 10도움 (2008-09)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메수트 외질 (Mesut Özil) - 19도움 (2015-16)
리그 골든글러브
(4회)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보이치에흐 슈체스니 (Wojciech Szczęsny) - 16회 (2013-14)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페트르 체흐 (Petr Čech) - 16회 (2015-16)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다비드 라야 (David Raya) - 16회 (2023-24)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파일:기.svg
속령
다비드 라야 (David Raya) - 13회 (2024-25)

1. 개요

1. 개요[편집]

영국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소속 프로 축구 클럽. 연고지는 영국수도 런던의 북부이며, 홈 구장은 에미레이트 스타디움이다.
[1] /ˈɑːsənəl/[2] 동일한 구단명을 사용 중인 러시아의 FC 아르세날 툴라도 같은 별칭을 사용한다. 다만 러시아어로 번역해서 Канониры(Kanoniry) 또는 Пушкари(Pushkary)라고 칭한다.[3] 아스날의 선수들을 거너스(The Gunners)라 칭하고, 팬들을 구너스(The Gooners)라 칭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거너스와 구너스는 분명하게 차이가 있는 명칭이다.[4] #[5] 정확히 말해 대주주였다. 아스날은 유한회사 형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탠 크랑키가 우스마노프가 가지고 있던 모든 주식을 사들이면서 100% 주주로 등극했기 때문에 현재는 사실상 구단주라고 불러도 무방하다. 참고로 스탠 크랑키는 미국인으로 로스앤젤레스 램스 (NFL), 덴버 너기츠 (NBA), 콜로라도 애벌랜치 (NHL)의 소유주이기도 하다. 또한 e스포츠 대회인 오버워치 리그에 출전하고 있는 LA 글래디에이터즈의 소유주이다.[6] 스탠 크랑키의 아들로 실질적인 아스날 운영을 책임지고 있으며 한국 시각 2023년 3월 15일 아버지와 함께 공동 의장으로 선임되었다. #[7] 한국 시각 2023년 3월 15일 부의장으로 선임되었다. #[8] 구단이 인증한 공식 서포터즈 클럽. 정회원으로 가입하면 티켓 예매 등 구단과 연계된 혜택을 받을 수 있다.[9] 하이버리[10] 아스날 마이너 갤러리[11] 한화 약 1,740억 원.[12] 모이세스 카이세도, 엔소 페르난데스에 이은 브리티시 레코드 3위.[13] 한화 약 530억 원.[14] 이전까지는 트렌스퍼마크트에서 마르크 오버르마르스를 클럽 레코드로 표기했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매체에서 체임벌린을 클럽 레코드라고 언급하고 있으며 트렌스퍼마크트에서도 수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