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위키 BadaWiki | |||
![]() | |||
바다위키, 푸른 정보의 바다. | |||
개설일 | |||
폐쇄일 | |||
위키 엔진 | |||
위키 문법 | |||
가입 필요 여부 | 선택 | ||
국적 | 일본(이미지 서버는 미국) | ||
운영자 | |||
라이선스 | |||
영리 여부 | 비영리 | ||
주소 |
1. 소개[편집]
2. 역사[편집]
바다위키가 폐쇄된 지 4달 후에 나무위키 민선 운영진 폐지 사태이 터지자, 새로운 바다위키가 개설된다는 공지가 나왔으나 2년 넘게 감감무소식이다가.. 2019년 11월 8일에 처음 위키 갤러리에 모습을 드러냈으며, 초기에는 테스트 중이라 관리자들만 편집이 가능했고, 나무위키의 2019년 3월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크했다.
로고를 새로 만들었는데, 저작권 문제로 구 바다위키의 로고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투명성 보고서
openNAMU를 사용하기에 나무마크를 사용한다. 이전에는 일부 문법을 지원하지 않았고 서버도 상당히 불안정했는데, 엔진을 업데이트하고 모두 해결되었고, 프론트엔드 디자인을 센카와 스킨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더시드엔진의 특수 권한 틀도 동일하게 반영하여 운영 중이었다. 2020년 중순에 자체 UI로 변경하였고, 또한 엔진도 자체적으로 새로 개발하는 듯하며 오픈나무 3.1.6 기반으로 이름은 VientoEngine 이며 2021년 5월 11일 기준 판번호는 1.8.1이다.
2020년 5월, 2020년 3월자의 나무위키 문서들을 포크하며 위키가 정상운영되기 시작한다.
2020년 11월 8일, 개설 1주년을 맞이한다.
2021년 1월 6일, 관리자의 건강 악화로 인해 관리가 어렵다고 한다.
2021년 1월 13일, 관리자가 다시 업무에 복귀한다고 한다.
2021년 2월 10일, 서버점검을 하며 새로운 도메인으로 이전했다. 기존 도메인은 리다이렉트 처리했다고 한다.
2021년 9월 22일 기준으로 위키 서버 점검으로 인해 FrontPage 외에는 접속이 되지 않는다.
2021년 11월 2일 위키가 정상화 된다.
로고를 새로 만들었는데, 저작권 문제로 구 바다위키의 로고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투명성 보고서
openNAMU를 사용하기에 나무마크를 사용한다. 이전에는 일부 문법을 지원하지 않았고 서버도 상당히 불안정했는데, 엔진을 업데이트하고 모두 해결되었고, 프론트엔드 디자인을 센카와 스킨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더시드엔진의 특수 권한 틀도 동일하게 반영하여 운영 중이었다. 2020년 중순에 자체 UI로 변경하였고, 또한 엔진도 자체적으로 새로 개발하는 듯하며 오픈나무 3.1.6 기반으로 이름은 VientoEngine 이며 2021년 5월 11일 기준 판번호는 1.8.1이다.
2020년 5월, 2020년 3월자의 나무위키 문서들을 포크하며 위키가 정상운영되기 시작한다.
2020년 11월 8일, 개설 1주년을 맞이한다.
2021년 1월 6일, 관리자의 건강 악화로 인해 관리가 어렵다고 한다.
2021년 1월 13일, 관리자가 다시 업무에 복귀한다고 한다.
2021년 2월 10일, 서버점검을 하며 새로운 도메인으로 이전했다. 기존 도메인은 리다이렉트 처리했다고 한다.
2021년 9월 22일 기준으로 위키 서버 점검으로 인해 FrontPage 외에는 접속이 되지 않는다.
2021년 11월 2일 위키가 정상화 된다.
3. 운영진 체제[편집]
이용자 부족으로 인해 1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다만 나중에 두 문제가 해결되면 민선 체제로 운영할 의향이 있다고 한다.
4. 비판 및 문제점[편집]
- 사용자 수가 상당히 적다. 최근 한 달 내 편집한 사용자가 5명 미만이며 대부분의 기여는 관리자가 하고 있다.
- 역링크가 작동하지 않는다. 오픈나무 특성 상 DB에 모든 역링크를 저장하다 보니, 역링크가 차지하는 용량만 10GB에 달하며, 1500만개가 넘는 역링크가 존재하여 서버 성능 및 역링크 기능을 작동시키려면 한달 동안 서버를 닫아햐 하는 등 어려움으로 인해 지원하지 않는다.
5. 리그베다 위키와의 소송 가능성[편집]
서버가 대한민국에 있거나 운영자 신원이 드러날 경우 리그베다 위키의 청동(인물)가 소송을 걸 수 있다. 리그베다 위키 대 엔하위키 미러 가처분 신청 사건 결정문에 따르면 저작권과 데이터베이스권의 경우 개별 문서 편집자들이 권리자이며 리그베다 위키는 권리가 없다고 판단하였고,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나, 다, 아목의 경우 엔하위키라는 이름을 무단 사용한 것에 대한 것으로 엔하위키 미러가 아닌 바다위키와는 상관이 없다. 하지만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차목은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이 가능성들은 나무위키를 포크한 모든 위키에 적용되는 상황으로, 바다위키만이 아니라 알파위키도 해당된다. 그런데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차목의 경우 대한민국의 경우에도 2013년 7월 30일 법 개정으로 생긴지 3년 밖에 안 된 조항[5]으로 외국에 서버가 있으면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없다. 그러나 광고를 걸면 소송 가능성은 뛰어오른다.
이 가능성들은 나무위키를 포크한 모든 위키에 적용되는 상황으로, 바다위키만이 아니라 알파위키도 해당된다. 그런데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차목의 경우 대한민국의 경우에도 2013년 7월 30일 법 개정으로 생긴지 3년 밖에 안 된 조항[5]으로 외국에 서버가 있으면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없다. 그러나 광고를 걸면 소송 가능성은 뛰어오른다.
6. CCL BY 관련 문제[편집]
나무위키를 포크한 문서의 역사를 보면 정렬 순서가 숫자인 IP 주소가 윗부분에 있고, 영어로 된 아이디는 밑에 있다. 이는 namu가 배포한 데이터베이스에 편집 내역은 포함되지 않으며 CC BY에 따라 원저작자의 성명 또는 이명을 포함하고 있는데, 저작자 목록이 날짜순이 아닌 알파벳순으로 배치되어 있어서다.[6] 구 바다위키의 경우, 문서 역사에서 나무위키 사용자 아이디와 바다위키 사용자 아이디가 구별이 되지 않는다는 점은 CCL의 BY 위반 소지가 있었다. 리그베다 위키의 아이디가 기여한 내역의 경우 정상적으로 R:id로 뜨지만, 나무위키 아이디는 아니었다. 이 때문에 2016년 5월 16일부터 나무위키 포크본의 사용자에는 N:이 일괄적으로 붙었다.
구 바다위키는 나무위키의 사용자 문서 중 일부가 포크되기도 했다. 그러나 얼마 안되서 타 위키의 사용자 문서를 포크할 필요 없다는 이의 제기로 삭제되었다.
나무위키의 경우는 리그베다 위키의 자체 서버 업로드 이미지까지 포크하였으나, 바다위키는 그대로 깨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 바다위키는 2016년 6월 14일에 봇 'Maintenance script'이 나무위키 자체 서버 이미지를 업로드하며 이미지가 깨지는 문제가 해결했으나, 신 바다위키는 이미지 포크를 천천히 진행 중.
나무위키와 라이선스가 동일하기 때문에, 출처만 적으면 나무위키의 내용을 바다위키로 옮겨갈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구 바다위키는 나무위키의 사용자 문서 중 일부가 포크되기도 했다. 그러나 얼마 안되서 타 위키의 사용자 문서를 포크할 필요 없다는 이의 제기로 삭제되었다.
나무위키의 경우는 리그베다 위키의 자체 서버 업로드 이미지까지 포크하였으나, 바다위키는 그대로 깨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 바다위키는 2016년 6월 14일에 봇 'Maintenance script'이 나무위키 자체 서버 이미지를 업로드하며 이미지가 깨지는 문제가 해결했으나, 신 바다위키는 이미지 포크를 천천히 진행 중.
나무위키와 라이선스가 동일하기 때문에, 출처만 적으면 나무위키의 내용을 바다위키로 옮겨갈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7. 미디어위키 기반 바다위키(2017년)[편집]
7.1. 소개[편집]
2016년 5월 13일부터 2017년 5월 18일까지 운영했던 위키로 당시 운영자는 산지기였으며, 미디어위키를 기반으로 위키를 만들었다.
하지만 2017년 5월 18일에 위키가 운영이 중단되면서 사라지는 듯 했으나.. 2019년 새로운 운영자가 운영을 하면서 다시 살아나게 되었다[8]
하지만 2017년 5월 18일에 위키가 운영이 중단되면서 사라지는 듯 했으나.. 2019년 새로운 운영자가 운영을 하면서 다시 살아나게 되었다[8]
7.2. 역사[편집]
나무위키 영리 논란을 계기로 탄생한 위키로, 나무위키의 2016년 4월 24일 분 포크 데이터를 이용해서 만들었으며, 탄생 당시 명칭은 십덕위키. 2016년 5월 14일에 이름을 십덕위키에서 바다위키로 변경하였다. 바다위키의 상위 사이트는 커뮤니티 사이트 뒷산이다. 원래 "바다위키"라는 명칭은 어떤 위키러가 2015년 9월 자신의 위키에 사용하려던 것으로 보이는 데 5월 14일 위키 이름을 "바다위키"라고 바꾼다는 소식에 그 위키러가 달려와 항의했지만[9], 서로 소통 후 그 사람이 해당 위키 이름을 기부했다고 한다(기부한 사람은 임시 관리자가 되었다.)
사이트 스킨은 미디어위키 엔진에 리브레 위키의 리버티를 그대로 가져왔으며, 나무위키 문법과의 호환을 위해 오리마크를 사용한다. 다만 바다위키의 오리마크는 Admin이 자체적으로 개선한 방식으로, 원래의 오리마크와 미묘하게 문법이 다르다. 2017년 4월 기준으로는 #!wiki문법이나 #!syntax 문법 등 일부 문법을 지원하고 있지 않아 나무위키의 문서 중에서 일부 문서가 깨진다.
형태로 보면 나무위키+리브레 위키+오리위키. 이용자들이 작성한 문서가 과거 버전으로 포크 되었기 때문에 수정하는 사람들도 있다. 다만 이후에 5월 30일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해서 좀 더 새로운 버전이 재포크되었다. 2016년 12월에는 나무위키의 10월 31일 데이터베이스를 재포크했다.
모바일 IP가 막혀있는 나무위키와는 달리 모바일 IP 수정이 막혀있지 않다.
2016년 5월 14일 나무위키의 전·현직 운영진을 비롯하여 수많은 회원과 똑같은 계정명들이 가입했는데, 모두 레어닉을 먹기 위한 짭으로, 짭 본인이 사칭을 인정했고 탈퇴를 원한다고 한다.[10] 혼동에 주의할 것.
토막글 기준이 나무위키보다 더 낮다. 나무위키는 450자, 바다위키는 800바이트. 그러므로 나무위키에서 토막글이라도 바다위키에서는 토막글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포크가 이 모양이었다[11]
저명성을 따지는 나무위키와 위키백과와는 달리 저명성을 거의 따지지 않는다. 하지만 너무 저명성이 없는 문서는 삭제될 수 있다.
2016년 9월 12일, 나무위키 포크를 자제해 달라는 공지가 올라왔다.[12]
2017년 들어서는 출처를 명시하고, 논쟁을 일으킬 여지가 있는 여러 목록형 문서들을 삭제하는 나무위키의 분위기와는 반대로 엔하계 위키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서술을 시도하고 있다. 그래서 나무위키에서는 칼삭제당할 취소선드립, 개드립, 낚시 같은 것들도 바다위키에서는 별 문제없이 작성할 수 있다.
2017년 5월 17일, 개설 1주년을 맞은 지 얼마 안 돼 갑작스럽게 운영이 중단된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그리고 다음날에 운영종료되었다. 이후 전 관리자가 게시글을 통해 라이센스가 같은 바다위키의 대안위키를 소개했으나 바다위키와 완전히 편집스타일이 같은 곳은 없다. 그래서인지 6월, 전 관리자가 새문위키라는 위키를 만들었으나 문서 수가 매우 적고 사용자들의 참여도 극히 저조하다.
사이트 스킨은 미디어위키 엔진에 리브레 위키의 리버티를 그대로 가져왔으며, 나무위키 문법과의 호환을 위해 오리마크를 사용한다. 다만 바다위키의 오리마크는 Admin이 자체적으로 개선한 방식으로, 원래의 오리마크와 미묘하게 문법이 다르다. 2017년 4월 기준으로는 #!wiki문법이나 #!syntax 문법 등 일부 문법을 지원하고 있지 않아 나무위키의 문서 중에서 일부 문서가 깨진다.
형태로 보면 나무위키+리브레 위키+오리위키. 이용자들이 작성한 문서가 과거 버전으로 포크 되었기 때문에 수정하는 사람들도 있다. 다만 이후에 5월 30일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해서 좀 더 새로운 버전이 재포크되었다. 2016년 12월에는 나무위키의 10월 31일 데이터베이스를 재포크했다.
모바일 IP가 막혀있는 나무위키와는 달리 모바일 IP 수정이 막혀있지 않다.
2016년 5월 14일 나무위키의 전·현직 운영진을 비롯하여 수많은 회원과 똑같은 계정명들이 가입했는데, 모두 레어닉을 먹기 위한 짭으로, 짭 본인이 사칭을 인정했고 탈퇴를 원한다고 한다.[10] 혼동에 주의할 것.
토막글 기준이 나무위키보다 더 낮다. 나무위키는 450자, 바다위키는 800바이트. 그러므로 나무위키에서 토막글이라도 바다위키에서는 토막글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
저명성을 따지는 나무위키와 위키백과와는 달리 저명성을 거의 따지지 않는다. 하지만 너무 저명성이 없는 문서는 삭제될 수 있다.
2016년 9월 12일, 나무위키 포크를 자제해 달라는 공지가 올라왔다.[12]
2017년 들어서는 출처를 명시하고, 논쟁을 일으킬 여지가 있는 여러 목록형 문서들을 삭제하는 나무위키의 분위기와는 반대로 엔하계 위키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서술을 시도하고 있다. 그래서 나무위키에서는 칼삭제당할 취소선드립, 개드립, 낚시 같은 것들도 바다위키에서는 별 문제없이 작성할 수 있다.
2017년 5월 17일, 개설 1주년을 맞은 지 얼마 안 돼 갑작스럽게 운영이 중단된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그리고 다음날에 운영종료되었다. 이후 전 관리자가 게시글을 통해 라이센스가 같은 바다위키의 대안위키를 소개했으나 바다위키와 완전히 편집스타일이 같은 곳은 없다. 그래서인지 6월, 전 관리자가 새문위키라는 위키를 만들었으나 문서 수가 매우 적고 사용자들의 참여도 극히 저조하다.
7.3. 운영진 체제[편집]
5월 15일 오전 12시 12분 경 임시 관리자가 추가되었다. 선거 등이 없으면 15일 연장되었으나 7월부터는 1개월 단위로 연장한다. 다만 연장 신청을 하지 않으면 운영자가 아니게 된다. 허나 2017년 들어서는 운영진의 지원이 끊겨 별다른 조치 없이도 임기가 계속 연장되고 있다.
7.4. 비판 및 문제점[편집]
- 신규 유저가 문서를 편집할 때 과도한 수정이 일어나면, 편집을 막는다. 문서 훼손을 방지하고 무단으로 위키백과와 나무위키를 불펌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로 보인다.다만 반달성 내용을 추가하는 것은 못 막는 것으로 보인다.
- 뒷산을 그냥 음란물 광고로 도배될정도로 방치하고 있고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갤러리 사진 삭제 권한을 산지기만 가지고 있어서 산지기가 나타나지 않으면 갤러리 사진 삭제가 불가능하다.
[1] 알파위키와 동일. 그래서 출처만 적으면 알파위키의 내용을 바다위키로 옮겨갈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2] 주소가 처음에는 badawiki.ml였다가 badawiki.site으로 다시한 번 바뀌다가 .kr로 바뀌었다. 현재는 .wiki 도메인을 사용한다. 기존 도메인은 리다이렉트 처리했다고 한다. 다만 .ml 도메인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3] 구 바다위키와 이름과 디자인만 비슷한 사실상 다른 위키[4] 그래도 절대적인 양이 적기 때문에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닌 것을 고려해야 한다.[5] 예전 법 https://ko.wikisource.org/wiki/대한민국_부정경쟁방지_및_영업비밀보호에_관한_법률_(제11112호) 개정된 법 https://ko.wikisource.org/wiki/대한민국_부정경쟁방지_및_영업비밀보호에_관한_법률_(제11963호)[6] CCL의 BY에 따르면 원저작자의 성명이나 이명을 표기하면 되고, 기여 내역은 표기할 의무가 없으니 저작자 목록만 있으면 CC BY(출처 표시)가 지켜진다.[7] 이후 재개장[8] 하지만 위키 문법과 운영자가 달라서 보통 구 바다위키, 신 바다위키로 표현한다[9] 그런데 바다위키의 이름을 지어준 사람도 원래는 자신의 위키에 사용하려고 했다고 한다. # 시기를 보면 위의 바다위키보다 뒤인데, 우연히 겹친 듯 하다. 해당 위키러는 그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10] 위키 갤러리발 캡쳐를 가져온 것으로 보아 짭 본인이 위키 갤러리를 눈팅한 것 같다.[11] 나무위키:대문 문서도 포크되었다.[12] 하지만 무시하고 무단 포크한 유저들도 있다.[13] 계정을 생성할 때 필요한 정보가 계정과 암호 단 2개뿐이다. 나무위키 등 웬만한 위키에서 물어보는 이메일 주소조차 묻지 않는다.[14] 하지만 준보호는 할 수 있다.
#redirect 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