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테살로니키 Θεσσαλονίκη | Thessaloniki | |||||
깃발 | 문장 | ||||
Η Νύμφη του Θερμαϊκού Κόλπου 테르마이코스만의 요정 | |||||
행정 | |||||
국가 | |||||
지역 | |||||
주 | |||||
도시권 | 테살로니키 | ||||
지역번호 | 2310 | ||||
시간대 | UTC+2 (서머타임 준수) | ||||
인문지리 | |||||
면적 | 도시[A] | 19.307㎢ | |||
도시권[B] | 111.703㎢ | ||||
인구 | 317,778명 | ||||
인구 밀도 | 3,084.29명/km² | ||||
정치 · 경제 | |||||
시장 |
| ||||
PPP | $208억 3천만 (2015) | ||||
1. 개요[편집]
2. 언어별 명칭[편집]
3. 역사[편집]
3.1. 고대[편집]
3.1.1. 헬레니즘 시대[편집]
헬레니즘 시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도시로 건설되었는데, '테살리아의 승리(니카)'라는 의미를 담아 테살로니카로 명명되었다.
3.1.2. 고대 로마 시대[편집]
3.2. 중세[편집]
3.2.1. 동로마 제국의 테살로니키[편집]
3.2.2. 테살로니카 왕국[편집]
3.2.3. 테살로니키 제국[편집]
1224년 테살로니카 왕국을 멸망시킨 동로마 잔존국 이피로스 전제군주국의 군주 테오도로스 콤니노스 두카스는 황제로 즉위하여 일명 테살로니키 제국을 수립했다.
그러나 그의 제국은 불가리아 제2제국과의 클로코트니차 전투에서 대패하여 몰락했고, 1246년 니케아 제국에 정복당했다.
그러나 그의 제국은 불가리아 제2제국과의 클로코트니차 전투에서 대패하여 몰락했고, 1246년 니케아 제국에 정복당했다.
3.2.4. 니케아 제국과 재건 동로마 제국[편집]
1246년 이래 테살로니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수복을 위한 니케아 제국의 유럽 방면 전진 기지로서 역할을 수행했고, 이는 126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수복과 로마 제국 재건을 통해 실현되었다.
재건된 동로마 제국에서 테살로니키는 점차 제국 제2의 도시라는 위상을 회복해나갔고, 동로마 중앙정부에서는 방계 황족을 테살로니키의 데스포티스로 책봉하거나, 테살로니키 일대만을 통치하는 공동 황제를 두기도 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이 본격적으로 발칸 반도로 진출하자 테살로니키의 안보 역시 위태로워졌고, 이에 15세기 동로마 제국은 강제로 빼앗길 바엔 스스로 포기하는 게 낫다고 제3국인 베네치아 공화국에 양도하였으나, 베네치아 역시 장기간 방어전을 수행하지 못해서 결국 테살로니키는 오스만 제국에 넘어갔다.
재건된 동로마 제국에서 테살로니키는 점차 제국 제2의 도시라는 위상을 회복해나갔고, 동로마 중앙정부에서는 방계 황족을 테살로니키의 데스포티스로 책봉하거나, 테살로니키 일대만을 통치하는 공동 황제를 두기도 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이 본격적으로 발칸 반도로 진출하자 테살로니키의 안보 역시 위태로워졌고, 이에 15세기 동로마 제국은 강제로 빼앗길 바엔 스스로 포기하는 게 낫다고 제3국인 베네치아 공화국에 양도하였으나, 베네치아 역시 장기간 방어전을 수행하지 못해서 결국 테살로니키는 오스만 제국에 넘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