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25기 운영진 선출
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차르
분류
차르
1
. 개요
2
. 역사
2.1
. 중세:
불가리아
와
세르비아
2.2
. 근대
2.2.1
.
러시아
2.2.1.1
.
루스 차르국
2.2.1.2
.
러시아 제국
2.2.2
.
불가리아 왕국
2.2.3
. 세르보크로아트어권
3
. 별명
3.1
. 인물
3.2
. 사물
4
. 창작물에서의 차르
1.
개요
[편집]
차르는 슬라브어권의 군주 칭호 가운데 하나로
율리우스 카이사르
에서 유래했다.
2.
역사
[편집]
2.1.
중세:
불가리아
와
세르비아
[편집]
10세기
불가리아 제1제국
의 시메온 1세가
동로마 제국
의
황제위
를 요구하면서
불가리아인
과
로마인의 황제
를 칭하면서
차르
칭호의 사용이 시작되었고, 그 뒤를 이은
불가리아 제2제국
과 14세기 세르비아 왕국의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이 칭제하면서 수립된
세르비아 제국
에서도 차르가 황제의 칭호로 쓰였다.
2.2.
근대
[편집]
2.2.1.
러시아
[편집]
2.2.1.1.
루스 차르국
[편집]
모스크바 대공
이반 3세가 콘스탄티노스 11세의 조카딸 조이 팔레올로기나(소피아 팔레올로기나)와 결혼하고
제3의 로마
를 선포한 것을 시작으로 차르를 칭하기 시작했고, 이반 4세 시대에는 공식 국호 역시 모스크바 대공국에서 루스 차르국으로 변경했다.
2.2.1.2.
러시아 제국
[편집]
서구화 개혁을 통해 국력을 일신한 표트르 대제는 1721년부터 서방식
임페라토르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때부터 차르는 공식 칭호가 아닌 비공식 칭호가 되었으며, 러시아어를 비롯한 동슬라브계 언어에서
황제
와
왕
사이의 애매한 위치에 있는 단어가 되었다.
2.2.2.
불가리아 왕국
[편집]
19세기
오스만 제국
으로부터 독립한
불가리아
는 1908년부터 다시
차르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당시 불가리아는
임페라토르
(
황제
)보다 위상이 내려간 러시아어의 차르 용법을 받아들였기에, 중세가 아닌 근대 불가리아의 차르는 각국 언어에서 황제가 아닌
왕
에 대응되는 칭호로 번역되었다.
2.2.3.
세르보크로아트어권
[편집]
세르보크로아트어권
[1]
에서는 중세 세르비아 제국이 멸망한 이후로는 차르를 칭한 국가가 등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은
임페라토르
(
황제
)보다 위상이 내려간 동슬라브어권 및 불가리아어의 용법을 받아들이지 않았기에 지금까지 차르는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 황제에 대응되는 단어로 쓰이고 있다.
3.
별명
[편집]
오늘날에는 칭호가 아닌 단순한 별명으로 붙는 경우가 많은데 사람에게 붙을 때는 주로 러시아인 등 슬라브권의 인물에게 붙으며, 이외의 용법으로는 미국에서 특정 업무의 총책임자
[2]
를 가리킬 때 쓰는 경우가 있다.
사물의 경우에는 차르 봄바처럼
크고 아름다운
(...) 무언가를 가리킬 때 쓰인다.
3.1.
인물
[편집]
이오시프 스탈린:
붉은 차르
[3]
블라디미르 푸틴:
푸차르(푸짜르)
3.2.
사물
[편집]
차르 봄바
4.
창작물에서의 차르
[편집]
[1]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
[2]
마약 단속을 총괄하는 Drug Tzar 등
[3]
계급 해방을 외치는 공산주의자가 차르라니 뭔가 어색한 건 같지만 신경 쓰면 지는 거다(...)
이 문서는
2025-05-09 07:10:30
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Liberty
|
the s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