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무사
분류
동음이의어
1
. 武士
1.1
.
일본
의 무사 계급
1.2
.
인도
의 크샤트리아
1.3
.
유럽
의 기사 계급
1.4
. 중근동의 맘루크, 예니체리
2
. 인명
2.1
. 아랍권 남성 인명
2.1.1
. 실존인물
2.1.2
. 가상인물
2.2
.
파르티아
여제
무사
1.
武士
[편집]
무술을 업으로 삼는 사람 또는 무력을 바탕으로 부와 권력을 세습하는 지배 계급을 일컫는 단어.
오늘날에는
일본
의 무사 계급이 가장 유명하지만 전근대 다른 나라의 전근대
귀족
계급들도 종교적 권위에 기반한 사제 계급을 제외하면 무사 계급에서 기원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사(士)라는
한자
자체도 처음에는 이러한 의미로 쓰이다가 유교와 문치주의가 자리잡은 이후부터 선비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1.1.
일본
의 무사 계급
[편집]
헤이안 시대 중엽부터 지방 유력자들이 스스로 무장하고 사병을 거느리면서 형성된 계급으로, 헤이안 시대 말기에 이르러서는 기존의 중앙귀족인 공경 계급을 무력화시키고 중근세 일본의 실질적인 지배 계급이 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신정부에서
작위
와 관직을 얻은 소수를 제외하면 대부분 법적 특권을 잃었으나, 상당수의 무사 후손들은 현대 일본 사회에서도
자민당
소속 국회의원으로서 지역구를 세습하거나, 지역유지 노릇을 하며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1.2.
인도
의 크샤트리아
[편집]
인도 카스트제의 크샤트리아 역시 본래 무사 계급으로서 시작된 신분이다.
1.3.
유럽
의 기사 계급
[편집]
1.4.
중근동의 맘루크, 예니체리
[편집]
2.
인명
[편집]
2.1.
아랍권 남성 인명
[편집]
구약성경 출애굽기(탈출기)에 등장하는 모세의
아랍어
이름.
이슬람
경전 쿠란에는 무함마드 이전에 활동한
알라
의 사도(라술)로서 등장하며, 아랍어로 번역된
유대교
타나크 및
기독교
구약성경에서도 같은 이름으로 불린다.
튀르크계 국가지만 유대교를 믿었던
중세
유목제국인 하자르 카간국에서는 이슬람권과 교역할 때 '무사 라술룰라(알라의 사도 무사)'가 새겨진 주화를 사용했는데, 무사(모세)는 유대교와 이슬람이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성인이었으므로 별 문제 없이 통용될 수 있었다.
2.1.1.
실존인물
[편집]
2.1.2.
가상인물
[편집]
2.2.
파르티아
여제
무사
[편집]
본래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
가 파르티아와 강화 조약을 체결하면서 선물한
이탈리아
출신 여자 노예였으나,
파르티아 샤한샤
의 후궁과 황후를 거쳐 여제로 즉위한 입지전적인 인물이었다.
이 문서는
2025-06-18 03:49:03
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Liberty
|
the s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