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리엔필드
기본
부상
> 번호
No.050
등급
분류
실제 총기명
성우
일러스트
Rei
1. 소개2. 성능
2.1. 능력치2.2. 스킬
3. 스킨
3.1. 2016 조용한 일상 - 제복 사냥꾼3.2. 2017 웨딩 - 평생의 수호자 -HIDDEN-3.3. 2017 아동절 - 양파 저격수
4. 여담5. 대사

1. 소개[편집]

리엔필드 No.4는 19세기 초반[3] 에 대량으로 생산됨과 동시에 본국의 제식 장비로 쓰였습니다. 후일 전쟁 중에는 저격소총으로 개조되어 계속해서 복무했습니다. 기나긴 전쟁의 역사를 뛰어넘음과 동시에 조국의 승리를 바치는 것이 저에게 최고의 명예입니다. 지휘관, 당신께서는 안심하시고 저에게 사명을 맡겨주시길.

한국에서는 원래 이름인 리엔필드를 그대로 부르거나 중섭의 표기한자를 그대로 읽은 이은비이덕에서 따온 은비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그 외 특유의 화풍 때문인지 아줌마(...)라는 별칭도 있다.

이전에는 성능과 일러 둘다 저평가를 받던 인형으로 M14와 WA2000때문에 빛을 못 보다가 SVD의 등장으로 화력 증가 스킬이 재조명을 받고 빛을 보게 된 인형이다. 제조 시간은 5시간으로 2성 MG인 MG34 · DP28들과 제조시간을 공유하는데 어지간한 마개조식이 아닌 이상 RF 제조조건과 MG제조조건을 동시에 성립시키는 식은 없으므로 5시간이 뜰 경우 리엔 필드의 드랍 가능성은 100%거나 0%이다. 4442 30 범용식에서 3:50으로 한양조로 고통받는 경우같은 건 안 생긴다는 뜻. 이는 WA2000도 동일하다.

상당한 인기 캐릭터이기도 한데 1차 인기투표에서 6위를 차지했다[4]. 다만 일러의 경우 기본 일러의 자세 때문에 호불호가 갈린다.[5] 일러레가 공식적으로 밝힌 키는 160cm. 허스키한 목소리도 호불호가 갈려서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이 꽤나 갈린다.

리-엔필드라고 하면 보통 가장 유명한 No.1 Mk3가 아니라 No.4 Mk1이 등장한 것도 눈여겨 볼 점. 아무래도 No.1이 등장하기에는 그 총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나 쓰이던 총이라 너무 오래되어서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No.1이든 No.4든 기술적으로 큰 차이는 없다. 둘 다 명품이긴 한데 No.1은 당대의 다른 볼트 액션식 총들보다 월등히 우수한 연사력*을 자랑한 반면 No.4는 시대가 시대니 만큼 M1 개런드같은 반자동 소총들이 많이 실용화되어서 빛이 바랬다. 그래도 No.1보다는 개량되서 사수에대한 배려가 좋아졌다. 다만 대검은 스파이크식을 주로 사용했지만 No.7 대검과 같은 전용대검도 존재한다. 중상일러스트에서의 대검이 바로 No.7 대검.

5성 라이플중에선 카구팔과 이유식이 너무 처참한 드랍율이라 사람들이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 모수 사이트등을 보면 의외로 낮은 드랍율로 중형제조든 일반제조든 WA2000의 드랍율의 절반 내외정도.

2. 성능[편집]

일반적으로 그 랭크이상의 성능을 보여주는 RF들 답게 성능은 5성답게 RF 중에서도 상위권으로, M14G28의 상위호환이다.[6] 아예 대 보스전 죽창으로 가는 죽창계 RF라던가 RF주제에 스킬을 통해 AR로 마개조되는 수준의 WA2000같은 특색이 뚜렷한 5성 RF중에서도 단순하게 화력집중인 화력증가계 버프로 특징이 없는 편이지만 그 탓에 어디서든 최소 평균은 간다는 것이 특징.

기능인 화력집중 덕에 한 발 한 발의 위력이 높은 편이고 높은 사속을 바탕으로 DPS를 뽑아내는 스타일이 아니기 때문에 특히나 사속 버프와 궁합이 좋다. 사속 위주 HG들과 조합할 경우 모든 RF중 2위에 달하는 DPS를 자랑한다. [7] 그러나 사속을 한계까지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소위 환상종 취급을 받는 캘리코가 반드시 필요하며, 리엔필드 자체의 드랍률도 그다지 높지 않아 조합을 맞추기까지의 여정이 험난하다.

HG조합을 맞출 경우 공속30%와 명중50%를 진형버프로 제공하고 스킬도 공속을 올려주는 캘리코, 화력12%, 공속24%를 주고 공속 스킬에 의한 공격 특화형의 스테츠킨이나 화력20% 공속16%를 올려주며 적의 명중률을 낮춰 안정적인 장기전이 가능하게 하는 웰로드등이 조합하기 좋다. 탱 부담까지 생각한다면 SMG에게 회피 버프를 씌울 수 있는 그리즐리 또한 매력적인 선택지다. 1HG 편제라면 mk23 이나 자체 버프 위치가 그리 좋지 않은 M950A 등과 직접 버프를 주고 받기는 어려우나 3HG 2RF등의 편제라면 이점은 상쇄된다.

4HG 1RF의 한때 엑조디아로도 불렸던 이유식 제대가 예능 제대의 한계를 안고 있어 이를 실속성 있게 보완한 3HG 2RF의 리유식 소대 (리엔필드 + IWS2000) 제대의 일원이기도 하다. 리유식 제대 자체가 이유식 제대보다 딜 미터기 상으로 앞서고, 3HG 2RF 조합이 많이 사용하는 조합이기도 하기 때문.

굳이 HG 조합 없이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단일 DPS 역시 탑3안에 들 정도로 높아 범용성 역시 뛰어나다고 할 수 있겠다.

2.1. 능력치[편집]

능력치(성장 S)
체력(C)
40/80
화력(A)
45/135
회피(B)
5/40
명중(B)
9/78
공속(B)
23/36
전투력
/
이속
7
치명타 확률
40%
자원 소비(편제 인원당)
탄약
15 / 25 / 35 / 45 / 55
식량
30 / 45 / 60 / 75 / 90
버프 진형
진형 버프 효과(HG 한정)

□ ■ □
기능 쿨다운 18% 감소
획득 방법
제작 시간
5시간
드랍
없음

2.2. 스킬[편집]

스킬
지속시간 동안 자신의 화력 증가
레벨
선 쿨다운
쿨다운
지속시간
화력 상승치
1
5초
10초
3초
45%
2
9.8초
3.2초
48%
3
9.6초
3.4초
52%
4
9.3초
3.7초
55%
5
9.1초
3.9초
58%
6
8.9초
4.1초
62%
7
8.7초
4.3초
65%
8
8.4초
4.6초
68%
9
8.2초
4.8초
72%
10
8초
5초
75%

3. 스킨[편집]

스킨들은 기본일러의 어정쩡한 자세와는 다르게 제대로 서있는 자세 덕분에 성숙한 외모가 더욱 부각되서 지휘관들의 혼을 불태워 준다. 게다가 어째서인지 피부 톤도 더 밝아진 편.

3.1. 2016 조용한 일상 - 제복 사냥꾼[편집]

기본
부상

3.2. 2017 웨딩 - 평생의 수호자 -HIDDEN-[편집]

'
3월 초, 선행 공개되었던 스텐의 웨딩스킨에 이어, 웨딩스킨 후보군으로 올랐는데, 본인이 패용하고 있는 아프리카 전선 기념장의 리본과 일러레화풍 때문에 거의 확정적 * 점점 노출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대망의 풀 이미지가 공개되었는데 조용한 일상 제복 사냥꾼 스킨때와 달리 표정에서 묻어나오는 당혹감이 일품(?) **

그리고 G36C(소녀전선)의 히든 스킨에 이어서 두번째로 라이브 2D를 적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3.3. 2017 아동절 - 양파 저격수[편집]


6월, 중국 아동절을 맞이하여 스킨이 공개되었는데 다른 캐릭터들이 어느정도 연령이 있는 수준으로 어려졌다면 이쪽은 성숙한 외모에 대한 반동이 크게 작용했는지 거의 아기 수준으로 어려져버렸다. 일명 로리엔필드.

4. 여담[편집]

  • 한 영국군 마니아가 기본일러의 고증을 분석(!)한 글도 존재한다. # 참고로 리엔필드가 달고 있는 메달은 아프리카 전선에서 싸운 군인들에게 주는 africa medal이다.그외에도 일러레가 그린 수영복 일러스트에서 목에 France & Germany medal을 달고있다.북아프리카부터 싸우기 시작해서 독일까지 전투를 했다는 이야기.
  • 같은 작성자가 일러스트 상에서 총의 길이를 이용해 신장을 분석한 글도 있다. # 제복 사냥꾼 스킨 기준으로 172cm, 평생의 수호자 기준으로 177cm 정도로 어지간한 남자보다 큰 장신이다. 198cm의 PTRD에 비하면 현실적인 수준의 키다. 그런데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린 팬아트에 따르면 키가 160cm라고 한다. 링크의 작성자는 마치 절망속에서 한줄기 빛을 보는 기분이였다고 (...)
  • 일러레가 꽤나 아끼는 캐릭터인 듯. 직접 리엔필드를 이용해서 쓴 소설이 있으며 번역판, 픽시브에 리엔필드를 소재로한 리엔필드 Log라는 삽화모음을 올리기도 했다. 웨이보엔 19금 일러스트도 공개하기도 했다.

5. 대사[편집]

상황
대사
획득
今日から配属されましたリーエンフィールドナンバーフォーエムケーワンです。
从今天起我就是您的部下了,李·恩菲尔德,将永远跟随您的指挥。
오늘부터 배속된 Lee-Enfield No.4 Mk I 입니다.
접속
報告、異常はありません!
报告,没有异常!
보고. 이상은 없습니다!
편성
イエス、サー
是的,长官!
Yes, Sir!
대화
命令とあらば…
只要有您的命令…
명령이라면…
指揮官なら…もう少しシャキッとすべきでは?
如果是指挥官的话,就会令我感到可靠。
지휘관이라면…좀 더 깔끔한 편이?
この制服は…宝物です。
这件制服…我会好好珍惜的。
이 제복은…보물입니다.
추가
대화
계약 후
指挥官,上次推荐您的书看完了吗?……正好我又读了一遍呢,一起来交流感想吧。
지휘관, 저번에 추천해준 책 다 읽으셨습니까? ...마침 저도 다시 읽었는데, 같이 감상을 나눠보죠.
크리스마스
ケーキの味…悪くないですね。メリークリスマス!
蛋糕的味道…不坏呢。圣诞快乐!
케이크의 맛…나쁘지 않습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신년
ハッピーニューイヤー、指揮官!今年も優雅に任務を遂行したいものですね。
新年快乐,指挥官!希望今年也能优雅地完成任务呢。
Happy new year 지휘관! 신년에도 우아하게 임무를 수행하고 싶습니다.
발렌타인
バレンタインは特別な日なんかではありません、任務に集中してください!
情人节不是什么特别的日子,请集中精力到任务上!
발렌타인 데이는 특별한 날이 아닙니다! 임무에 집중하시기 바랍니다!
출격
行くぞ!
出发了!
가자!
전투
正々堂々、戦おう!
堂堂正正,与我一战吧!
정정당당, 싸우자!
공격
攻撃陣形を取ります。
采取攻击队形。
공격 진형을 취합니다.
방어
防御陣形を取ります。
采取防御队形。
방어 진형을 취합니다.
스킬사용
用意…射て!
准备…射击!
준비…발사!
これが血統の差というものを、思い知るがいい!
记清楚了,这就是你我之间血统的差距!
이것이 혈통의 차이라는 것을 깨닫는게 좋을거다!
この一撃を決めて、凱旋のファンファーレを響かせましょう!
就用这一击,奏响凯旋的号角吧!
이 일격으로 결판을 지어 개선의 팡파레를 울리죠!
부상
な…制服に、傷が…
什…制服被,弄坏了…
제…제복에 상처가…
후퇴
力が…入らない…
使不上…力了…
힘이…들어가지 않아…
MVP
あっけない勝利だ。
真是场不足道的胜利啊。
시시한 승리다.
지원 출발
そろそろ参ります、指揮官もお元気で。
差不多该出发了,指挥官也请保重。
슬슬 가겠습니다. 지휘관도 건강히.
지원 귀환
戻りました、全て順調でした。
回来了,一切顺利。
돌아왔습니다. 전부 순조로웠습니다.
자동전투
支援であろうと、栄誉を獲得チャンスに変わりはありません。
即便是支援作战,也无疑是能够获得荣誉的机会。
지원이라해도 명예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변함없습니다.
강화
火力が上がったようです。
火力上升了的样子。
화력이 증가한 것 같습니다.
수리
指揮官、次の戦いは…必ず栄誉を取り戻します!
指挥官,下次的战役…一定会为您挽回名誉!
지휘관. 다음 전투는.. 반드시 명예를 되찾아드리겠습니다.
제조완료
新しい武器が完成したようです。
新武器完成了的样子。
새로운 무기가 완성된 것 같습니다.
편제확대
編成を増やすのですか。勲章は…どうやって分配するのです。
编制扩大了是吗?那勋章…该怎么分配呢?
편성의 증가입니까…훈장은 어떻게 배분하는 겁니까?
계약
いつもお迷惑をかけていただき、感謝します!でも、指揮官、私は本当にあなたにふさわしいでしょうか。…いいえ、そうではなくて、ええと…とても嬉しいのです!これから、私があなたをお守りします、これこそ、私の生涯最大の栄誉!
感谢您一直的照顾,但是指挥官,我真的是您合适的人选吗?不,我很乐意!从此刻开始,请让我永远地守护您,这是我毕生的荣耀!
항상 불편함을 감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지휘관. 저는 정말로 당신에게 어울립니까? …아니요 그런 것이 아니고…음…너무 기쁩니다! 앞으로 제가 당신을 지키겠습니다. 이것이야 말로 내 생애 최대의 명예!

파일:gf-logo.png의 등장 전술인형
  [  HG  ]  
  [  SMG  ]  
파일:GF_SMG.png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P40 · 베레타 38형 · PPSh-41 · M3 · Spectre M4 · IDW · 64식 · PP-2000 · m45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AC-10 · 스콜피온 · PPS-43 · 스텐 Mk.II · 마이크로 우지 · FMG-9 · Z-62 · EVO 3 · MT-9 · SCW · TMP · F1 · M12 · OTs-39 · T77 · MP41 · 43M · MAS-38 · SUB-2000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P5 · UMP9改2D · UMP45改2D · PP-19 · PP-90 · 시프카 · UMP40 · KLIN · PP-19-01 · 허니뱃저 · Cx4 스톰 · MAT-49 · KAC-PDW · CF05 · SAF · AR-57 · PPD-40 · 비뉴홍 M2 · MPK · MPL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톰슨 · Vector · 수오미 · G36C · 79식 · SR-3MP · RO635改2D · MP7 · C-MS · PM-06 · 100식 · AK-74U · JS 9 · P90 · X95 · PM-9 · Lusa · AUG Para · VP1915 · SP9 · SR-2 · 스털링
파일:gf_icon_extra_star.png
  [  RF  ]  
  [  AR  ]  
파일:GF_AR.png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L85A1 · G3 · 갈릴 · SIG-510 · F2000 · 63식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AK-47 · FNC · StG44 · OTs-12 · CZ-805 · ARX-160 · AR70 · 6P62 · ASh-12.7 · T65 · Model L · 03식 · 마갈 · HK33 · INSAS · Vepr · StG-940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AS Val · 56-1식 · FAMAS · TAR-21 · G36 · 9A-91 · 리베롤 · Ak 5 · CZ2000 · XM8 · A-91 · SAR-21 · EM-2 · CR-21 · M82 · FX-05 · 표도로프 · APC556 · FARA 83 · AK74M · CMR-30
M4A1改2D · M4 SOPMOD II改2D · M16A1 · ST AR-15改2D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HK416改2D · FAL · G41 · G11改2D · OTs-14 · 95식 · 97식 · RFB · ART556 · T91 · K2 · Zas M21 · AK-12 · AN-94 · MDR · AUG · K11 · 64식 소총 · ADS · ACR · SIG-556 · R5 · AK-15 · 89식 소총 · AK-Alfa · S-ACR · VHS · SIG MCX · TKB-408 · KH2002 · A-545 · QBZ-191 · SCR · AR-18
파일:gf_icon_extra_star.png
  [  MG  ]  
파일:GF_MG.png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G34 · DP28 · AAT-52 · LWMMG · FG42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1919A4 · MG42 · M2HB · 브렌 · M249 SAW · RPD · HK23 · 62식 · K3 · CAR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PK · MG3 · M1918 · M60 · Mk48 · AEK-999 · 아멜리 · 80식 · Mk46 · UKM-2000 · 쇼샤 · M1895 CB · PM1910 · LS26
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파일:gf_icon_star.png
MG5 · MG4 · 네게브 · PKP · HK21 · 88식 · 루이스 · MG36 · Kord · RPK-16 · ZB-26 · RPK-203 · MG338 · M240L
파일:gf_icon_extra_star.png
  [  SG  ]  
파일:gf_fsticon.png
파일:GF_ATW.png
파일:GF_AGL.png
파일:GF_MTR.png
2B14 · M2 · PP-93
파일:GF_SF.png
파일:white star.png
파일:white star.png파일:white star.png
파일:white star.png파일:white star.png파일:white star.png
파일:패러데우스 로고.png
파일:white star.png파일:white star.png파일:white star.png
미등장
더미 데이터1
SCAR · K7 · KGP-9
추가 예정2
마인드맵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전술인형
改2D MOD3 일러스트에 Live2D가 추가된 전술인형
1 사건 사고로 인해 추가가 취소되었거나 내부 데이터 등으로 존재가 확인된 경우
2 공식 매체나 방송, 정식 공개된 실루엣 등을 통해 추가가 확정된 경우

[1] 정식 명칭은 No.4 Mk I.[2] M4A1, WA2000 중복[3] 오역. 원어는 지난 세기의 초반이라고 되어있다. 실제 리-엔필드의 개발은 1891년, 대량생산은 1차대전 부근이다.[4] 인기투표때는 유저들의 참여 비율이 높을수 밖에 없으므로 대외적 인기가 압도적인 Kar98k을 성능이 훨씬 뛰어난 NTW-20이 200표차이로 이기고 1위를 먹기도 했다.[5] 좋아하는 쪽은 전투에 임하는 자세라고 평하고, 싫어하는 쪽은 어정쩡한 자세라고 평가한다.[6] 다만 기본 사속은 M14가 리엔필드보다 더 높다.[7] 1위는 사속을 낮추면서 화력을 무지막지하게 뻥튀기시키는 어느 화력덕후 대물저격총. 단 저경우는 작정하고 사속을 받쳐주지 않으면 기대값이 그리 높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