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이탈리아군
Forze Armate Italiane
Italian Armed Forces
국가
소속
이탈리아 국방부
상비군
340,147명[1]
예비군
42,000명
병역제도
육군력
[ 펼치기 · 접기 ]
200대(+132대)
장갑차
(APCs/IFVs)
1,578대
68문
21문(+21문)
수송 차량
6,552대
해군력
[ 펼치기 · 접기 ]
해군 전투함 총합
184척
주력 수상함
2척
2척
8척(+4척)
3척
12척(+4척)
모함, 상륙함, 수송함
2척
3척(+1척)
잠수함
4척(+4척)
4척
공군력
[ 펼치기 · 접기 ]
37기(+78기)
94기
71기
2기
7기
공군기 총합
716기
364기
항공기 총합
1,004기
예산
320억 달러

1. 개요2. 역사
2.1. 이탈리아 왕국군2.2. 현대 이탈리아군
3. 군종
3.1. 이탈리아 육군3.2. 이탈리아 해군3.3. 이탈리아 공군3.4. 이탈리아 헌병대(카라비니에리)

1. 개요[편집]

이탈리아군대.

이탈리아군은 남유럽에서 스페인군과 쌍벽을 이루는 강력한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다. 항공모함을 보유할 정도로 강력한 해군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육군력이 약하다는 느낌이 있으나, 보통 이상의 육군 무기에 대한 군사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육군력 자체도 수준 이상의 전력을 갖춰서 NATO의 대표적 육군 강국인 프랑스와도 대등하고, 지나친 군축으로 인해 군사강국의 위상이 유명무실해진 독일보다는 확실히 강력하다. 공군력 역시 보통 이상의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이탈리아군은 유사시러시아군튀르키예군발칸 반도그리스군[2]의 나토군 전력을 꺾고 흑해를 벗어나 지중해로 진출하게 되면 이를 저지해야할 주요전력이 되어야 하고, 또 다른 경우로 나토군이 아프리카로 진출할 일이 있을 때에도 이탈리아군이 주축을 맡거나 최소한 적극적이어야하기 때문. 나토군리비아에 군사개입했던 오디세이 새벽 작전에서 미군이 발을 빼고 이탈리아군이 소극적으로 나오자 나토군의 작전 효율이 추락한 것을 보면…

2. 역사[편집]

2.1. 이탈리아 왕국군[편집]

이탈리아군의 직접적 전신은 이탈리아 왕국의 군대였던 이탈리아 왕국군이다.

1861년에 창설된 이탈리아 왕국군은 사르데냐군의 후신으로 1946년까지 존속하다가 정식 명칭에서 왕국을 삭제하며 이탈리아군이 되었다.

2.2. 현대 이탈리아군[편집]

이탈리아 왕국군에서 이탈리아군으로의 명칭 변경 이후에도 이탈리아 왕국이라는 국가 자체는 잠시 동안 유지되었으나, 결국 국민투표를 통해 왕정 폐지가 확정되고 마지막 국왕 움베르토 2세(Umberto II)가 퇴위하면서 이탈리아군은 이탈리아 공화국 소속 군대가 되었다.

3. 군종[편집]

3.1. 이탈리아 육군[편집]

3.2. 이탈리아 해군[편집]

3.3. 이탈리아 공군[편집]

3.4. 이탈리아 헌병대(카라비니에리)[편집]

[1] 육군, 해군, 공군, 헌병대, 세무경대 총합.[2] 발칸 반도의 나토군루마니아군불가리아군도 있긴하지만 전력이 미약하므로, 실질적으로 발칸반도의 주력은 그리스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