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실론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실론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명일방주의 오퍼레이터에 대한 내용은 실론(명일방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
ශ්‍රී ලංකා ප්‍රජාතාන්ත්‍රික සමාජවාදී ජනරජය
Democratic Socialist Republic of Sri Lanka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장.svg
국기
국장
위치
기본 정보
수도
최대도시
면적
65,610㎢
접경국
없음 (섬나라)
상징
국가
Sri Lanka Matha
표어
없음
인문 환경
인구
22,181,000명[A]
인구 밀도
약 338명/㎢[A]
공용어
정치
아누라 쿠마라 디사나야케
총리
하리니 아마라수리야
여당
경제
경제 체제
혼합경제
통화
스리랑카 루피 (LKR)
기타 정보
국가 코드
LK
여행경보
여행자제
일부 지역[5]

1. 개요2. 국호3. 역사4. 정치
4.1. 정부4.2. 의회4.3. 외교
4.3.1. 인도와의 관계
5. 지리6. 문화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Sri Lanka

스리랑카는 남아시아 인도의 남동쪽 인도양에 위치한 섬나라이다. 본래 실론(Ceylon)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1972년 공화국으로 개칭하며 현재의 국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경제 수도는 콜롬보이며, 헌법상 수도는 인접한 스리 자야와르데네푸라 코테다. 불교가 주류 종교이며, 고대부터 실론 차로 유명한 차 생산국이자 천연자원이 풍부한 국가이다.

2. 국호[편집]

스리랑카라는 명칭은 산스크리트어로 '빛나는 섬'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한 싱할라어 국호이며, 지금의 공식 국호인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은 1972년 영연방 입헌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으로부터 전환하면서 이후 국호로 공식 채택되었다.

영어권에서는 대항해시대 이래 실론(Ceylon)이라 지칭했고 이는 식민시대를 거쳐 영연방 왕국으로 독립한 이후인 실론 자치령 시대에도 유지되다가, 1972년 이후부터는 영문 국호 역시 싱할라어 국호와 마찬가지로 스리랑카(Sri Lanka)가 되었다.

3.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리랑카/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정치[편집]

스리랑카는 공화제를 채택한 민주주의 국가로, 대통령과 총리가 각각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을 맡는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하고 있다.

4.1. 정부[편집]

공화국 수립 초창기에는 영연방 왕국이던 실론 자치령 시절 의원내각제의 요소가 강하게 남아있어서 총리의 실권이 대통령보다 강했다가, 1980년대에 대통령 직선제를 도입하면서 대통령제에 가까워졌다.

다만 대통령 직선제 전환 이후에도 마힌다 라자팍사처럼 총리 신분으로 대통령보다 막강한 권력을 행사한 인물들이 종종 있었기에 스리랑카는 한국처럼 대통령을 보좌하는 총리를 둔 대통령제 국가라기보다는, 프랑스처럼 대통령의 권한이 강한 이원집정부제로 분류된다.

4.2. 의회[편집]

4.3. 외교[편집]

4.3.1. 인도와의 관계[편집]

스리랑카는 지정학적으로 인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경제·문화적 교류가 활발하다. 그러나 타밀족 문제로 갈등이 있었던 과거도 존재한다.

5. 지리[편집]

스리랑카는 열대기후 지역으로, 고원과 해안지대가 어우러진 지형을 가지고 있다. 북동부는 건조하고, 남서부는 습윤한 환경이다.

6. 문화[편집]

스리랑카는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며, 불교문화가 깊이 자리잡고 있다. 아유르베다, 스리랑카 요리, 전통 무용, 크리켓 문화 등이 유명하다.

7. 둘러보기[편집]

[1] 헌법상 수도.[2] 헌법상 수도 지위 상실 이후에도 사실상 행정수도 지위는 유지하고 있다.[A] 3.1 3.2 2023년 기준.[5] 북부, 동부 일부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