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펼치기 · 접기 ]
예외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각주
[A] 베가는 종종 리길 켄타우루스 보다 밝아진다.
[B] 베텔게우스는 변광성이라 리겔 보다 밝아질때도 있다.7위 에서 11위를 오고간다.
※ 틀 내 이미지 비율과 밝기는 실제 항성 크기,밝기와 같지 않다. “▶”표기는 세부 둘러보기 틀로 이동.
α Ori
베텔게우스
Betelgeuse
파일:베텔게우스.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55m 10.30536s
적위
+07° 24′ 25.4304″
별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분광형
거리
408~548+90-49 광년
125[2]~168.1+27.5-14.9[3] 파섹
반지름
640[4]~764+116-62[5] 태양반경
질량
14[6]~19[7] 태양질량
평균 온도
3,400[8]~3800[9] K
나이
8[10]~14[11] 백만 년
운동
시선속도
21.91 km/s
자전 속도
5.47±0.25 km/s[12]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0.5[13]
절대 등급
-5.85[14]
광도
87,100+20,500-11,200 태양광도[15]
명칭
Betelgeuse, α Ori, 58 Ori, HR 2061, BD+7°1055, HD 39801, FK5 224, HIP 27989, SAO 113271, GC 7451, CCDM J05552+0724, AAVSO 0549+07[16]
파일:베텔게우스.webp
파일:베텔게우스02.webp
베텔게우스의 표면 활동[17]을 나타낸 이미지.[18]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affronto_supergiganti.png
베텔게우스, 리겔, 카노푸스의 크기 비교.
1. 개요2. 여담3. 운명

1. 개요[편집]

베텔게우스 또는 오리온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오리온자리 방향으로 약 548광년 떨어져 있는 적색초거성이다.그리고 지구 밤하늘에서 평균적으로 10번째로 밝은 별이다.그러나 베텔게우스는 변광성이라서 밤하늘에서 7번째로 밝을수도 11번째로 밝을수도 있다.또한 오리온자리의 알파성이다.
작은개자리프로키온큰개자리시리우스과 함께 겨울철 밤하늘을 수놓는 겨울의 대삼각형을 이룬다.

2. 여담[편집]

알파성이지만 베타성인 리겔 보다 어두울 때가 훨씬 많다.변광성이다.

3. 운명[편집]

이 별은 초기 질량이 태양의 약 20배 정도되는 청색 주계열성이였으므로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이다.이 별은 참고로 사람으로 치면 임종 직전의 별이라 1백만년 안으로는 반드시 초신성으로 폭발한다.만약 초신성으로 폭발한다면 548광년 떨어져 있는데도 무려 -12 ~ -15등급 정도로 보름달과 비슷한 수준의 밝기로 보일 것이며 청색으로 빛날 것이다.즉, 낮에서도 아주 밝게 보인다.이 정도의 밝기와 색은 3개월 이상 지속된다고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대부분의 적색초거성이 그렇듯 대류환(쌀알무늬)의 크기가 대략 지름 1억 8000만 km 정도로 매우 크다. 참고로 지구-태양 간 거리가 대략 1억 5000만km 정도 된다. 대류환 하나만으로도 지구-태양 거리를 통째로 덮고도 남을 만하니 실제 별의 크기는 어마어마한 셈. 다만, 우주 공간에는 베텔게우스보다 큰 항성이 널려있다.[18] 위 사진을 자세히 보면 울퉁불퉁한 모습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