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펼치기 · 접기 ]
예외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각주
[A] 베가는 종종 리길 켄타우루스 보다 밝아진다.
[B] 베텔게우스는 변광성이라 리겔 보다 밝아질때도 있다.7위 에서 11위를 오고간다.
※ 틀 내 이미지 비율과 밝기는 실제 항성 크기,밝기와 같지 않다. “▶”표기는 세부 둘러보기 틀로 이동.
α CMa
시리우스
Sirius A / B
파일:attachment/시리우스/Example.jpg
아래 작게 빛나는 것이 시리우스 B, 크고 밝은 것이 시리우스 A다.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6h 45m 08.91728s
적위
-16° 42′ 58.0171″
별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분광형
A: A1Vm
B: DA2
거리
8.59±0.04 광년
2.64±0.01 파섹
반지름
A: 1.711 R
B: 0.0084 R(5,844 km)
질량
A: 2.063±0.023 M
B: 1.018±0.011 M
평균 온도
A: 9,940 K
B: 25,000 K
나이
A: 2억 4,200만 년
B: 2억 2,800만 년
운동
시선속도
-5.5 km/s
(적색편이량 : z = -0.000018)
자전 속도
A: 16 km/s
공전 주기
A-B: 50.1284(±0.0043) 년
궤도 장반경
A-B: 7.4957(±0.0025)″
이심률
A-B: 0.59142(±0.00037)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A:-1.47
B: +8.44
절대 등급
A: +1.42
B: +11.18
광도
A: 25.4 태양광도
B: 0.056 태양광도
명칭
큰개자리 알파(Alpha Canis Majoris, α CMa), 9 Canis Majoris, 천랑성(天狼星), Dog Star, Canicula, Al Shira, Mrgavyadha, Lubdhaka, Tenrōsei
HD 48915, HIP 32349, HR 2491, GJ 244, SAO 151881, GC 8833
IRAS 06429-1639, 2MASS J06450887-1642566, TYC 5949-2777-1
1. 개요2. 어원3. 상세 정보4. 시리우스 A5. 시리우스 B6. 여담

1. 개요[편집]

천랑성(天狼星) 또는 시리우스(Sirius)는 지구에서 큰개자리 방향으로 약 8.59광년 떨어져 있는 백색 주계열성과 백색왜성 쌍성계이다. 또한 시리우스 A는 큰개자리알파성이며 겉보기 등급이 -1.47등성[3] 정도로 되어서 현재 지구 하늘에서 가장 밝은 항성이다.[4][5] 오리온자리베텔게우스작은개자리프로키온과 함께 겨울철 밤하늘을 수놓는 겨울의 대삼각형을 이룬다.

동양에서는 천랑성(하늘의 늑대)이라 부르기도 한다.

2. 어원[편집]

서양에서 쓰이는 시리우스는 라틴어 Sīrius에서 유래한 말로 이는 다시 고대 그리스 Σείριος 세이리오스, (불탐, 빛남을 뜻한다.)에서 온 것이다. #

3. 상세 정보[편집]

많은 사람들이 천랑성이 단일 항성계라 알고 있으나 사실 백색왜성인 시리우스 B가 있어 쌍성계이다. 많은 사람들이 천랑성이 태양처럼 단성계라고 오해하는 이유는 시리우스 A와 B가 알파 센타우리계보다 조금더 가깝기 때문이다. 참고로 시리우스 A와 B가 서로 가장 가까워 지는 근일점이 무려 태양부터 목성-토성 사이(8.1AU)까지의 거리에 맞먹는 거리다.[6][7] 이는 리길 켄타우루스톨리만의 근일점이 태양과 토성까지의 거리,원일점은 태양과 명왕성까지의 거리인 것을 보면 알파센타우리계에 비해 더더욱 가깝다는 걸 알수 있다. 그래서 고성능 망원경[8]으로 봐야 구분이 된다.

4. 시리우스 A[편집]

백색 주계열성이다. 수소선을 기준으로 하면 분광형은 A1V이다. 표면 온도는 9,940K으로 굉장히 뜨거운 별이라서 관측할 시 청백색으로 보인다. 자전 속도는 백색 주계열성 치고는 느려[9] 근접 촬영시 구형으로 보일 것이다. 그러나 이 별은 대기에 중원소가 많아 금속선이 높게 측정되는 AM별이라서 금속선으로 관측할 시 A0V로 측정된다.[10]

5. 시리우스 B[편집]

현재 백색 왜성이다. 원래는 청백색 주계열성이었으며 분광형은 B4V였다. X선 파장으로 관측 시 온도가 높아 시리우스 A보다 더 밝게 보인다. 반지름은 지구정도다. 그러나 질량이 태양과 비슷하다. 어두워서 1843년 쯤에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 별은 시리우스 A의 운동을 보고 수학적 계산을 통해 시리우스 A 주변에 천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 뒤에 발견되었다. 즉, 수학적 계산으로 이미 존재가 예측된 천체이다.

6. 여담[편집]

  • 시리우스 C가 있다는 낭설도 있다.
  • 이 항성을 모티브로 한 얼불춤 맵이 존재한다.
[1] 시리우스는 수소선 및 헬륨선 스펙트럼으로는 A1V형이지만, Am별로 분류되어 실질적인 스펙트럼은 A0이다. 자세한 것은 후술.[2] 형성되었을 당시에는 시리우스 A보다 더 밝은 B형 주계열성이었다.[3] 절대 등급은 1.43으로 겉보기 등급에 비해 높은 편인데, 이유는 시리우스 A의 지구로부터의 거리가 약 8.6광년으로 매우 가까운 편이기 때문이다.[4] 태양 제외[5] 너무 밝아서 운이 좋으면 히말라야와 같은 고산지대에서 낮에도 관측할 수 있다. 참고로 2번째로 밝은 남극노인성(카노푸스)보다 약 2배정도 더 밝다.[6] 원일점은 태양부터 천왕성 거리 정도된다.[7] 각으로 표현시 가장 근접했을 때 3초각, 떨어졌을 때 11초각이다.[8] 천문대 망원경이나 개인이 소유한 복합 광학계 망원경 등. 웬만해선 성능이 평균 이상 정도만 되어도 구분할 수 있다.[9] 당장 백색 주계열성 중 유명한 직녀성(베가)는 자전이 빨라 타원 형태다.[10] 수소선으론 앞에서 말한 것처럼 A1V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