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25기 운영진 선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중앙경마의 경주 목록
ㅤ [ 평지 GII ]ㅤ
ㅤ [ 평지 GIII ]ㅤ
나카야마 금배 | 교토 금배 | 신잔 기념 | 페어리 스테이크스 | 케이세이배 | 코쿠라 암말 스테이크스 | 네기시 스테이크스 | 실크로드 스테이크스 | 도쿄신문배 | 키사라기상 | 퀸 컵 | 교도통신배 | 다이아몬드 스테이크스 | 코쿠라대상전 | 한큐배 | 오션 스테이크스 | 나카야마 암말 스테이크스 | 팔콘 스테이크스 | 플라워 컵 | 아이치배 | 마이니치배 | 마치 스테이크스 |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 | 처칠 다운스 컵 | 안타레스 스테이크스 | 후쿠시마 암말 스테이크스 | 유니콘 스테이크스 | 엡섬 컵 | 니가타대상전 | 헤이안 스테이크스 | 아오이 스테이크스 |
스프린트
하코다테 스프린트 스테이크스 | 후추 암말 스테이크스 |
마일
시라사기 스테이크스 |
2000
하코다테 기념 | 라디오NIKKEI상 |
2000
타나바타상 | 하코다테 2세 스테이크스 |
2000
코쿠라 기념 | 토카이 스테이크스 |
마일
주쿄 기념 |
스프린트
아이비스 서머 대시 | 퀸 스테이크스 |
스프린트
CBC상 | 레퍼드 스테이크스 | 엘름 스테이크스 |
마일
세키야 기념 |
스프린트
키타큐슈 기념 | 니가타 2세 스테이크스 |
스프린트
킨랜드 컵 | 삿포로 2세 스테이크스 |
2000
니가타 기념 | 주쿄 2세 스테이크스 |
마일
케이세이배 어텀 핸디캡 | 챌린지 컵 | 시리우스 스테이크스 | 사우디아라비아 로열 컵 | 아르테미스 스테이크스 | 판타지 스테이크스 | 미야코 스테이크스 | 무사시노 스테이크스 | 후쿠시마 기념 | 교토 2세 스테이크스 | 케이한배 | 나루오 기념 | 주니치신문배 | 카펠라 스테이크스 | 터쿼이즈 스테이크스
서머 시리즈 지정경주

[OPㆍORE-OPㆍL [*비중상] ]
ㅤ [ 장애물 ]ㅤ
ㅤ [ 폐지 ]ㅤ
그레이드제
이전
빅토리아 컵1976년 폐지 | 후쿠시마대상전1979년 폐지 | 쿠모하타 기념1981년 폐지
GII
NHK배1996년 폐지
GIII
페가수스 스테이크스1992년 폐지 | 사파이어 스테이크스1996년 폐지 | 교토 4세 특별2000년 폐지 | 카부토야마 기념2004년 폐지 | 크리스탈 컵2006년 폐지 | 가넷 스테이크스2009년 폐지 | 교토 암말 스테이크스2025년 폐지 | 머메이드 스테이크스2025년 폐지 | 코쿠라 2세 스테이크스2025년 폐지
장애물
도쿄 장해 특별1999년 폐지 | 한신 장해 스테이크스1999년 폐지 | 교토 대장해1999년 폐지
JRA 클래식 레이스
菊花賞
국화상[음역]
Kikuka-shō (Japanese St. Leger)
파일:국화상.webp
국화상 썸네일[2]
개최국
주최
개최지
창설
1938년 12월 11일
2022년 경주 정보
거리
잔디 3000m 우회전
등급
G1
상금
1착 2억 엔
출주조건
서러브레드계 3세 수말/암말 (국제, 지정)
부담중량
정량 (수말 57kg, 암말 55kg)
레이스 레코드
토호 자칼(2014년)
3:01.0

1. 개요2. 상세
2.1. 출주 조건2.2. 우선 출주권2.3. 상금
3. 역사
3.1. 여담3.2. 역대 우승마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클래식으로 구분되는 3세 G1 경주이며, 트리플 크라운의 최종전이다.

2. 상세[편집]

구 8대경주[3] 중 하나이다. 국화상의 영어 명칭이 'Kikuka-shō (Japanese St. Leger)'인 이유는 킷카상이 영국의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를 본떠 만들어진 경기이기 때문이다. 암수 모두 출전할 수 있는 혼성경주이나, 스태미너 면에서 숫말에게 암말이 현저하게 밀리기 때문에 사실상 수말 전용 경기로 꼽히며,[4] 숫말 삼관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국화상을 우승한 암말은 초창기인 1943년 쿠리후지, 1947년 브라우니 단 두 마리 밖에 없다.

3000m 경기에서 우승하려면 스태미나가 우수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기 때문에, 일본 경마에서는 '사츠키상은 가장 빠른 경주마가, 더비는 가장 운이 좋은 경주마가, 킷카상은 가장 강한 경주마가 우승한다'는 격언이 있으며,[5] 그 말에 걸맞게 킷카상을 우승한 말은 클래식 시즌 이후에도 사츠키상이나 더비 우승마 대비 실력 쇠퇴가 느리고 부상이 적어 롱런하는 경향이 있다.[6] 대표적으로 TTG의 일원인 그린 그래스, 헤이세이 3강인 슈퍼 크릭, BNW 중 가장 우수한 성적을 기록한 비와 하야히데, JRA 최강의 스테이어인 메지로 맥퀸이 해당한다. 물론 라이스 샤워, 나리타 브라이언, 세이운 스카이 등 여러 이유로 고마 시기의 커리어가 미끄러져버린 예외도 더러 있다. 심지어 킷카상을 우승하고도 그 이후 장애물 경주로 이적한 말도 있다![7]

다만 현대 경마가 마일-중거리(1600~2400) 위주로 돌아가면서 3000미터 이상의 장거리 경주의 흥행 부진에 따라 점점 평가가 낮아지고 있다. 이는 경마의 종주라 할 수 있는 유럽 경마, 미국 경마도 마찬가지로 장거리 경주는 점점 흥행력도 떨어지고 생산 시장에서 평가도 낮아져 스태미너를 물려주는 스테이어 계열 종마가 사라짐에 따라 장거리 경주의 질도 하락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2.1. 출주 조건[편집]

서러브레드계 경주마 중 3세 수말/암말들만 출주할 수 있다. 출주두수 제한은 최대 18두.
지방경마 소속 : 벛꽃상, 사츠키상, 오크스, 일본 더비, NHK 마일 컵 2착 이내

2.2. 우선 출주권[편집]

2.3. 상금[편집]

1착 2억엔, 2착 8000만엔, 3착 5000만엔, 4착 3000만엔, 5착 2000만엔 순으로 상금이 부여된다.

3. 역사[편집]

  • 1939년 - "교토 농림성 상전 4세 호마" 창설 (교토 잔디 3000m)
  • 1943년 - 명칭을 "교토 농상성 상전 4세 호마"로 변경
  • 1945년 - 태평양 전쟁으로 중지
  • 1946년 - "농림성 상전 4세"로 명칭 변경
  • 1948년 - "국화상"으로 명칭 변경.
  • 1984년 - 국제 그레이드 도입, G1 부여
  • 1995년 - 지방 교류 경주로 지정, 지방경마 소속마가 출주할 수 있게 됨
  • 2001년 - 말의 연령 표시제 변경으로 '4세 수말/암말'에서 '3세 수말/암말'로 출주조건 변경, 혼합 경주로 지정되어 외국산 말이 2마리까지 출주할 수 있게 됨
  • 2004년 - "일본 중앙 경마회 창립 50주년 기념"의 부칭을 붙여 시행
  • 2007년 - 일본 경마의 파트1 지정에 따라 Jpn1으로 등급표기 변경
  • 2010년 - 국제 경주로 지정, 외국 조교마 / 외산마를 합쳐 9두까지 출주 가능하도록 변경, 국제 등급에 따라 G1으로 등급표기 변경
  • 2013년 - 외국 조교마의 출주 제한을 9두로 확대
  • 2014년 - "JRA 60주년 기념"의 부칭을 붙여 시행
  • 2021년 - 교토 경마장의 정비 공사에 따라 한신 경마장에서 시행(~2022). 한신경마장 내 3000m의 출주가능두수는 18마리로 변경

3.1. 여담[편집]

  • 1944년 대회의 경우 2차 대전 개전으로 일선에 투입할 군마 생산을 위해 종마와 번식마의 능력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이때 경주는 첫번째 바퀴와 두번째 바퀴 모두 내곽 코스(内回り, 우치마와리)로 구성되었으나 각 기수들에게 정보가 잘못전달되어 전부 외곽 코스(外回り, 소토마와리)로 돌게 되었다. 이 때문에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졌고, 결국 1945년 해당 회차가 경주 불성립 판정을 받게 되어 기록이 무효가 되었다.
  • 아직 암말 3관 경기가 완성되지 않았던 시기에는 이 상이 암말 3관의 최종전도 겸하고 있었는데 거리 문제상 이 경기에서 이긴 암말의 수는 많지 않다. 더욱이 암말 2관마가 이 경기에 도전한 경우도 많지 않은데 그 중에서도 특이한 케이스가 1964년 경기. 이 경기에선 당시 클래식 2관을 달성한 신잔과 암말 2관마인 카네케야키(カネケヤキ)[8]가 각각 3관을 걸고 격돌했고 결과는 사상 2두째의 삼관마 탄생의 뒤에 카네케야키가 5착으로 나름 선전하며 결국 최초의 암말 3관에 실패했다. 그리고 이 경기가 국화상에서 암수 각각의 2관마 3관째를 걸고 싸운 유일한 사례가 되었다.

3.2. 역대 우승마[편집]

4. 관련 문서[편집]


[음역] kra등에서는 음역해 킷카상,킷카쇼 등으로 칭하기도 한다[2] 우마무스메 한국판[3] 벛꽃상, 사츠키상, 오크스, 일본 더비, 국화상, 텐노상(봄), 아리마 기념[4] 게다가 트리플 티아라의 최종전인 추화상과 일정이 거의 겹치기 때문에 트리플 티아라 노선을 달리는 암말은 사실상 출주할 수 없다.[5] 사실 이 격언도 사츠키상, 일본 더비, 국화상의 원본인 영국의 2000 기니 스테이크스, 더비 스테이크스,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에 전해지는 격언을 벤치마킹한 것이다.[6] 반대로 더비는 경마인에게 최대의 영광이라는 상징성 때문에 출전마들이 오로지 더비만을 목표로 가혹한 조교를 받는 경우가 많아, 그 후유증으로 고마 경주에서는 부진하거나 심하면 아예 더비를 마지막으로 은퇴하거나 세상을 뜨는 경우도 있다.[7] 2010년에 우승한 빅 위크라는 말로, 7번 인기로 우승했지만 이후의 중상, 심지어 오픈에서도 착순권에 들지 못하며 결국 장애물 경주로 이적해 커리어를 마무리했다. 참고로, 카와다 유가에게 유일한 3000m 이상 장거리 중상을 안겨준 말이기도 하다.[8] 1995년까지 일본 경주마 최장수 기록을 가지고 있었고, G1급 우승 암말 최장수 기록은 현재까지도 1위다.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킷카상 문서의 r6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